- 전체
- 후기 7077
- 후기-카드 1865
- 후기-발권-예약 1312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60331
- 질문-기타 22015
- 질문-카드 12262
- 질문-항공 10679
- 질문-호텔 5469
- 질문-여행 4271
- 질문-DIY 233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475
- 정보 25310
- 정보-친구추천 2
- 정보-자가격리 133
- 정보-카드 5395
- 정보-기타 8315
- 정보-항공 3990
- 정보-호텔 3376
- 정보-여행 1151
- 정보-DIY 228
- 정보-맛집 232
- 정보-부동산 61
- 정보-은퇴 292
- 여행기 3577
- 여행기-하와이 402
- 잡담 15899
- 필독 63
- 자료 66
- 자랑 734
- 금요스페셜 107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1
- 구라 2
- 요리-레시피 71
- 오프모임 200
- 나눔 2769
- 홍보 14
- 운영자공지 33
마모 글을 열심히 검색해서 Eufy로 갈까 고민했는데, 또 다른 마모글에선 Eufy 회사에서 모든사람들의 정보공유를 했다는거 보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습니다
2024년도에 집을 구입했는데 꽤나 안전한 커뮤니티지만, 이제 아이들도 곧 출산 예정이고 그래서 마음의 평화를위해 시큐리티 카메라를 구입할 예정입니다
도어벨 카메라는 기존 집에있는 기능이있어서 아직은 구입하지않을 예정이고요 (추후에 새로운 도어벨로 할 수도있습니다. 현재는 무료 기능이라 저장 기능에 제한)
아마 설치를 한다면 백야드에 1개, 가라지/백야드 입구쪽에 한개 설치를 할거같습니다 (총 2개). LED같이 모션디텍트 하면서 불켜지는 키능은 딱히 필요가없을거같습니다. 현재 집안내부 홈캠은 생각이없지만 나중에 애들도 있고 그러니 뭐 한개쯤 달 수도 있을거같습니다.
필요한 기능은 딱
1) 모션 디텍션 / live camera 기능 (+ 마이크 기능이 되련지 모르겠지만 있으면 좋고 없어도 상관은 없을거같네요)
2) 어느정도 기간동안 비디오 저장가능해서 필요하면 돌아가서 체크할수있는 기능
3) 좀 reliable한 app을 사용해서... 쾌적하게 엑세스 가능 했으면 좋겠습니다. 끊기거나 크래쉬 되거나 그러지않고
Subscription 가격도 저렴하면 금상첨화 이겠습니다. (Ring 옵션중 한달에 10-12 정도는 오케이, 한달에 39.99-49.99 같은 것들은 불가능)
현재 Ring을 알아보고있는데... 혹시 다른 베스트 옵션이있나 궁금합니다. 링은 카메라 퀄리티/unreliable motion detection 그리고 한번 링 제품을 사면 다 링으로 해야하는? 단점들이 있는거같더라구요
검색해보니 중국 제품들은 보안/개인정보 문제가 꽤 있는거같고...
Ring이 그냥 최선일까요?
- 전체
- 후기 7077
- 후기-카드 1865
- 후기-발권-예약 1312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60331
- 질문-기타 22015
- 질문-카드 12262
- 질문-항공 10679
- 질문-호텔 5469
- 질문-여행 4271
- 질문-DIY 233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475
- 정보 25310
- 정보-친구추천 2
- 정보-자가격리 133
- 정보-카드 5395
- 정보-기타 8315
- 정보-항공 3990
- 정보-호텔 3376
- 정보-여행 1151
- 정보-DIY 228
- 정보-맛집 232
- 정보-부동산 61
- 정보-은퇴 292
- 여행기 3577
- 여행기-하와이 402
- 잡담 15899
- 필독 63
- 자료 66
- 자랑 734
- 금요스페셜 107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1
- 구라 2
- 요리-레시피 71
- 오프모임 200
- 나눔 2769
- 홍보 14
- 운영자공지 33
25 댓글
JoshuaR
2025-01-11 08:26:26
매달 구독료를 무조건 내야하는 제품은 sustainability 관점에서 피하는게 좋을 것 같고요 (구독을 끊더라도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는 옵션이 있으면 선택지가 있는거니까요)
그리고 비디오가 어디에 저장되느냐에 따라서 제품 선택이 달라지고요 (무조건 클라우드 / 클라우드 + 로컬 / 무조건 로컬) -- 이게 중요한게, 인터넷이 종종 끊기는 동네의 경우엔 카메라에 움직임이 감지된 타이밍에 인터넷이 불안정해서 클라우드에 접근이 안되면 그 영상은 유실됩니다.. 로컬에 동시저장이 되면 영상 유실은 안되는데, 이것도 카메라에 SD 카드를 직접 꽂는 방식과 홈허브 같은곳에 저장되는게 장단점이 다릅니다.
또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만 녹화되느냐 (대부분 소비자 제품들) / 아니면 상시 녹화를 해서 모든 비디오가 저장되고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이 마킹 되느냐 (좀 고급 소비자 제품들이나 아니면 기업용 제품들) 에 따라서도 제품 선택이 달라집니다.
마지막으로 예산을 얼마나 쓸 수 있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지고요..
저는 지금 집 Security System 이 Abode iota 제품으로 되어있어서 Abode 카메라들로 집 내외부를 다 꾸며놨는데.. 나쁘지는 않은데, 첫째로 클라우드에만 저장되는게 단점이고요, 둘째로 카메라가 HomeKit 이나 Homebridge 호환이 안되어서 그게 가장 큰 불만입니다. 움직임 감지는 너무 민감해서 나뭇가지만 좀 흔들려도 감지가 되는데 그것도 조금은 불만이긴 합니다. 제가 원하는 모든걸 다 만족할만한 제품은 잘 없는거 같더라고요.
집 도어벨로는 Eufy 를 쓰는데, 로컬에 비디오 저장 + Mechanical Bell 호환 + 유선 상시전원 호환 + Homebridge 호환 정도를 다 만족하는 제품은 시장에 진짜 이것밖에 없어서 선택지가 없었습니다.. 근데 클라우드에 비디오를 업로드 하지 않고 로컬에 모든 비디오를 저장한다는 관점에서 (도어벨 자체에 저장되는건 아니고 Eufy 홈허브에 저장됩니다) 다른 도어벨 다 제치고 이걸로 설치했는데.. 뭐 앱은 진짜 별로입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원하는 모든걸 만족하는 제품은 없더라고요.. 제가 이거 샀을 때 로지텍에서 HomeKit Security Video 를 지원하는 도어벨도 나왔어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결과적으로 비디오 녹화시작 시점이 너무 느려서 대부분의 경우 떠나는 사람 뒷통수만 찍힌다는 리뷰를 보고 포기했습니다.. 이런 사소한 디테일도 중요하니 리뷰를 많이 보셔야 뭐가 좋을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큰 금액을 투자해서라도 안정적으로 오래 쓸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면 기업용 제품군으로 가는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설치와 세팅이 가정용 제품군에 비해 좀 복잡하기는 하지만요. 저는 나중에 집을 지으면 (지금집은 오래된 집이라 대충 삽니다만..) 집안에 네트워크는 UniFi 시스템 (많은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업용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으로 꾸미고 PoE 방식으로 UniFi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서 시큐리티 카메라를 구성하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MCI-C
2025-01-11 10:43:57
UniFi secure 가 나쁘지는 않은데, 기기 가격이 좀 비싸죠.
UDM pro + POE 스위치 만해도 $500 이 넘으니까요. 거기에 카메라도 싼걸로 해도 대당 $150은 하니...
메릴랜더
2025-01-11 09:26:14
기존에 갖고계신 스마트 장비들과의 연결-관리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저는 모든 스마트 장비들이 구글 제품이라 카메라도 구글로 설치하였습니다.(라이트 포함)
화질, 동작감지, 영상확인 전부 만족스러웠습니다. 스마트워치나 핸드폰, TV에서(전부 구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좋고요.
무료로 이용하면 영상 저장이 하루 뿐이지만.. 카메라를 구입하면 연간 구독 할인을 제공합니다. ($80 50%할인> $40)
$40에 1년이면 나쁘지 않은 금액이라고 생각하고.. 더 긴 영상 저장, 안면인식 등 추가 기능들이 제공됩니다.
이 기기, 제품을 관리하려고 새로 앱을 깔고, 확인하기 위해 그 앱에 따로 들어가야하고 그런 것이 번거롭고 싫어서 통일하긴 했는데요.
구글 카메라가 가격이 좀 비싼 편 같기도 한데 종종 할인할 때도 있어요.
아무튼 저는 아주 만족하며 쓰고 있습니다. 굳이 구글 아니더라도 카메라 설치해두면 확실히 안심되더라고요.
라따뚜이
2025-01-11 23:16:38
전부 애플제품들만 있는데 구글 카메라도 알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포트드소토
2025-01-11 10:09:21
집 밖이면 그냥 eufy 추천요.
2개 달아 보시면 곧 여러개 더 달고 싶어지십니다.
이 가격에, 이 정도 퀄리티에, 빠른 앱 속도에.. 딴게 없어요.
라따뚜이
2025-01-11 23:19:17
Eufy는 구독료 없이 그냥 저장된 SD카드에 저장 하는 식인가요? 검색해보니 홈베이스? 구입하면 컴퓨터 본체처럼 쓸수있는거같긴한데
솔라 제품을 원해서 eufy 4G LTE Cam S330 제품(지붕 아래 설치 예정이라 아무래도 따로 솔러패널이 있어야 충전가능할거같습니다) 보고있는데 혹시 뭐쓰는지 여쭈어봐도될까요?
doomoo
2025-01-12 09:02:37
저도 같은 고민을 했었는데요 만약 subscription fee가 상관이 없으시다면 Ring, 그렇지 않으면 Eufy가 맞다는 결론을 내리고 현재 e340 도어벨, S120, S220 두 대, S340을 홈베이스와 같이 사용중입니다. 이 모델들은 전부 솔라 패널을 이용한 방식인데요 가끔 보면 이 솔라 패널 부분의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전 6개월 이상 문제없이 사용중입니다. 매번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나사를 돌리고 뺐다 끼웠다 하면서 충전하는 것도 귀찮고 그 때마다 카메라 각도가 틀어져서 맞춰줘야 하는 것도 일이라서요.
MCI-C
2025-01-11 10:26:07
어쩌다보니 ring, eufy, blink, myQ, unifi 를 쓰고 있는데요.
가격으로 보면 blink 가 괜찮은것 같아요.
unifi는 섭스 없고 엡이 꽤 괜찮은점이 있는데, 기기 가격이 좀 비싸요.
ring은 섭스가 그리 비싸지 않고 세일할때 사면 꽤 싼가격에 home security 를 설치할 수 있어서 좋네요. amazon echo가지고 있으면 ring이 참 편해요.
myQ는 그라지 오프너하고 연동되는 카메라인데, 그냥 그래요.
eufy는 다 좋은데 중국회사라...
이번에 apple에서도 IoT기기들 나온다고 하는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Face ID 사용되는 스마트도어 나온다는 루머가 있네요.
shilph
2025-01-11 10:29:14
혹시라도 시놀로지 나스 쓰시면 연동되는 IP 카메라들 있을겁니다. 한 번 확인해 보세요.
노말한사람
2025-01-11 10:29:39
혹시 wyze를 써보신 분 계신가요? 저도 같은 고민이 있는데, 찾다보니 wyze도 가성비로는 괜찮은 것 같은데 사용하시는 분글 후기가 궁금합니다.
playoff
2025-01-11 10:52:17
Wyze를 앞뒤뜰에 몇개 몇년째 쓰고 있는데 가성비로는 좋습니다. Micro sd 카드를 지원해서 끊임없는 녹화를 할 수 있고 나중에 앱을 통해서 엑세스 할 수도 있고요. 사람만 디텍션해서 알림주는 기능도 다른 카메라와 비교했을때도 나쁘지 않고요. 구독을 하지 않아도 micro sd 용량에 맞게 다 저장이 되니까 그것도 마음에 들고요.eufy도 있고 blink도 있고 구글도 있는데 제가 다시 처음부터 셋업한다면 차라리 wyze로 하면 가격이 싸니까 몇개 더 사서 보이는 커버리지를 더 늘리면 좋다는 생각입니다.
집 도어벨은 구글 네스트 도어벨과 디스플레이를 연동해서 누가 벨을 누르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뜨게 해두었는데 구글에서 이런거는 다른 제품과 연동이 안되게해두어서 아쉽게도 매달 돈을 내면서 사용중입니다.
뽀통령
2025-01-11 12:25:03
Costco에서 https://www.costco.com/wyze-floodlight-pro-2.5k-qhd-security-cam-with-color-night-vision%2c-2-pack.product.4000281458.html
이제품을 쓰고있는데요 SD Card 연결시 subscription로 필요없고 카메라가 초 광각이라 원래는 차고위에 설치할걸 side door쪽 outdoor light자리에 연결해도 커버되는 범위가커서 만족스럽게 쓰고있습니다 ㅎㅎ. 기능중에 AI detection기능으로 차,사람,동물 별로 분류해주는거도 편하구요.
흰색
2025-01-11 13:02:48
Wyze V3(1080p)랑 V4(2.5k)를 쓰고 있는데요. V4는 확실히 화질이 좋습니다. 핸드폰으로 보면 매우 깨끗해요.
하지만 20ft 정도 떨어진 자동차 번호판은 식별이 어렵네요.
찐돌
2025-01-11 10:32:31
저는 Ring사용합니다. Doorbell로 시작해서 Flood Light + Cam하고, Solar panel을 연결해서 집 구석하고, 제가 있는 곳 Street을 볼수 있도록 6개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카메라 개수와 상관없이 1년에 $100 (Standard)혹은 $200(Alarm까지 포함)이니까 크게 부담되는 금액은 아닙니다.
Ring의 장점이라면, 언급하시는 기능 다 되고, 개선이 됩니다. Ring doorbell도 구입한지 꽤 되는 제품인데, 처음에는 Motion Detection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Firmware update로 Motion Detection이 추가 되었는데, Motion Detection기능도 계속 향상이 됩니다. Stick cam하나를 Solar panel에 연결해서 gutter에 올려놨는데, 배터리로 동작하는 조그만 카메라 치고는 놀랄만큼 Human detection이 잘 되어서, 딱 사람이 있을때만 저에게 알람이 옵니다. 유용하게 써먹는 기능으로, 집에 배달이 오면 항상 알람이 오고, snapshot을 저에게 보내 주니까, Apple watch에서 바로 누가 오는지 알수 있습니다.
제 집은 Fire TV로 Netflix를 보거나, YouTube를 보거나 하는데, Ring camera의 Live feed가 바로 FireTV 한 구석으로 보여서, 밖에 누가 있는지 바로 볼수 있습니다.
Echo가 있으면 거기로도 Ring 화면의 Live feed이 제공됩니다. 이런식으로 아마존 Echo system에 융합이 잘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indoor camera의 경우에는 모드 설정을 해서, away가 아니라면 녹화가 되지 않도록 설정해서, 가족이 있으면 따로 녹화하지 않습니다. 녹화할땐 blue LED가 커져서 알수 있어요.
제가 집에 지출하는 비용 (재산세나, 보험료등등)에 비한다면 Ring Camera에 들어가는 비용은 정말 소소하죠. 그리고 Ring device들이 세일을 많이 해서, 쉽게 쉽게 카메라 갯수를 늘릴수 있습니다. 만듬세도 좋고, 아직 고장나거나 한건 하나도 없습니다. 제가 2020년부터 시작했으니까, 꽤 오래 되었습니다.
단점은, 24시간 레코딩을 하지 않습니다. 일단 event 상황이 되면 그걸 녹화해서 기록합니다. event가 없다면, 15초나, 5분이나 이런간격으로 snapshot을 찍어서 저장합니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stick cam은 빨라야 3분에 한장씩 찍습니다. 전력이 연결되어 있는 flood light cam은 15초당 한번씩 찍습니다. 이 snapshot을 browsing해서 최장 6개월간 저장합니다. 저는 제 집 drive way만 motion zone에서 설정했는데, 만약 거리 전체를 설정하면 물론 차가 지나가던지, 사람이 지나가던지 하는걸 모두 녹화하긴 합니다만, Amazon에 저장되는 만큼 인터넷 사용량이 늘어나겠죠.
24시간 녹화하는 목적으로는 저는 Synology NAS의 Surveillance Station을 사용하고, 여기에는 따로 IP Camera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카메라들은 인터넷 연결은 막아놓고, 집 밖에서 access하기 위해서 Synology의 built in app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Synology에선 Motion detection같은건 없어서, Ring이 따로 필요 한거죠.
딩동딩동
2025-01-11 13:16:01
뉴스 좀 찾아보면 (비교적 저렴하거나 합리적인 수준의 가격으로) 클라우드에 올라가서 편하게 앱으로 사용가능하게 해둔 것들 중에 데이터 유출 사고가 없는걸 찾기가 힘들어요. 개인적으로 여러 브랜드 써봤는데 데이터 유출 부분만 무시하면 Eufy가 기능이나 가격 모두에서 압도적으로 만족스럽습니다. 실내같은 개인 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곳에는 어느브랜드든 상관없이 클라우드와 연결되는 시큐리티 카메라를 설치하고 않았고, 외부는 어차피 유출되도 상관없다는 마음으로 Eufy 쓰고 있습니다.
라따뚜이
2025-01-11 23:20:44
저도 아웃도어라 크게 신경안쓰는데 어떤제품 쓰는지 여쭈어봐도될까요? 그리고 홈베이스도 쓰시나요? 장점이있는지 궁금합니다
딩동딩동
2025-01-12 01:03:54
eufy s330 + homebase (+ ssd) 씁니다. 야간 화질이 좋고, 홈베이스에서 바로 사람/차/동물 인식해서 선택적으로 레코딩/알람을 보낼수 있고요, 인식이 홈베이스에서 바로 되는거라 디텍션을 켜도 알람이 꽤 빠른 편이고요. ssd 있으면 1년 이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고 서브스크립션 피도 없고요. 배터리 기반이라 설치가 쉬운데 태양열 충전으로 적당한 곳에 설치만 하면 배터리 갈일도 없죠. (보안 관련 걱정 뺴고) 기능만 비교하면 다른 비교군 시스템들과의 격차과 꽤 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거면 홈베이스 있는게 좋고, 번들 딜이 자주 바뀌고 할인율도 많이 왔다갔다하니까 좋은 딜 잘 확인하시고 사시길 바랍니다.
라따뚜이
2025-01-12 01:23:59
저는 지붕 아래쪽에 설치할거라 s330보다는 솔러패널을 다른곳에설치할수있는 s340을 보고있었습니다. 정성답변 감사합니다!
딩동딩동
2025-01-12 02:11:45
s330도 외부 솔라패널 연결됩니다. 저는 s330 4개 있는 번들 샀는데 아래 링크랑 동일한 외부 솔라패널도 2개 들어있었어요.
https://www.eufy.com/products/t8705011?variant=44324045029562
라따뚜이
2025-01-12 12:01:24
답변 감사합니다. Subscription fee 도 아끼고 평도 좋아서 Eufy로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저는 S340 제품이 맘에드는데, 이 번들이 좋아보이네요 (딜덕분에 홈베이스 $20불 가격...)
컨트롤타워
2025-01-12 10:50:32
링이 편한데, apple home support 제품도 https://www.apple.com/shop/accessories/all/homekit?f=securitycam&fh=482b%2B463d
보안적 부분과 iCloud storage 가 가능해서 좋습니다.
라따뚜이
2025-01-12 12:01:57
결정장애가 너무심해서 Ring과 Eufy중에서 고민하다가 우선 Eufy로 가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좀 사용해보고 후기올리겠습니다!
Hi123
2025-01-13 11:50:44
카메라 예기는 아닌데요. 요즘 갤리포니아에 ( 엘에이 카운티 ) 집 도둑이 많은데요. 집 혹은 타운하우스. 빈집털이도 있지만 요즘엔 권총강도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밖에서 기다렸다 같이 들어가는경우 (저는 고등학교때 당해본경험 있음 ) 혹은 집 앞에서 만 터는경우.
그리고 새벽에 그라지 밖에 주차 되어있는 혹은 길에 주차 되어있는 차 문을 한번씩 다 열어보고 다니는 좀 도둑들. 가로등이 약한 혹은 없는 지역 중심으로 좀 사는동네 중심으로 사건이 많아지고 있어서. 좀 어둡고 멀면 카메라가 아주 자세히 보이진 않더라구요. 항상 낮이든 밤이던 다들 조심하시고. 그냥 밤엔 하우스 기준 그라지 앞쪽공간 으로 엄청 환하게 비추는 라이트가 있다면 센서 등은 전체적으로 환한게 없는것 같아서. 그런 아주 밝은 등 다신분 있을까요 ? 아니면 멀리서 줌해도 자세히 보이는 카메라 ?
physi
2025-01-13 13:19:29
Wyze 프로덕트 중에 floodlight 달려있는거 (https://www.wyze.com/products/wyze-cam-floodlight-v1) 처갓집에 3대 달아 드렸는데 모션센서에 걸리면 아주 환하게 비춰줍니다. 단점은 전원이 110v라인이 필요해요. 기존 floodlight 있던 위치에 교체하는건 쉽지만, 아닌 경우에는 로멕스 전기선 새로 끌어야 합니다.
저희 집에도 선 공사하고 달아놔야지 생각중인데, 이미 벌여놓은 공사들이 많아서.... 그 공사들 수습부터 하고 하려면 올 하반기에나 달을거 같습니다.
워터딥의게일
2025-01-13 13:29:45
전 Blink 썼다가 핸드폰에서 배터리 엄청 쓰고 있다고 경고알람 뜨길래 더이상 쓰고 있지 않아요. 현재 제가 사용하는 건 구글에서 쓰는 네스트캠 (https://store.google.com/category/nest_cams?hl=en-US)이랑 Nooie(https://nooie.com/?srsltid=AfmBOoods6upTfAX-BCFWAeFNVM_-_v_vWy2dZxi1Te6VIj3QMYtARPi) 사용하고 있어요. 둘다 UI사용이 편해서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