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후기 7217
- 후기-카드 1880
- 후기-발권-예약 1341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61821
- 질문-기타 22669
- 질문-카드 12532
- 질문-항공 10905
- 질문-호텔 5584
- 질문-여행 4402
- 질문-DIY 246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507
- 정보 25865
- 정보-친구추천 2
- 정보-자가격리 133
- 정보-카드 5498
- 정보-기타 8469
- 정보-항공 4081
- 정보-호텔 3437
- 정보-여행 1186
- 정보-DIY 235
- 정보-맛집 237
- 정보-부동산 81
- 정보-은퇴 304
- 여행기 3633
- 여행기-하와이 408
- 잡담 16115
- 필독 63
- 자료 67
- 자랑 737
- 금요스페셜 107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2
- 구라 2
- 요리-레시피 71
- 오프모임 200
- 나눔 2790
- 홍보 14
- 운영자공지 34
개인 정보 부분을 조금 덜 구체적으로 수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요즘 같은 시기에 은퇴 플랜을 조정해야 하나 고민이 되어 조언을 구합니다.
나이: 30대 중반.
학력: 석사 보유.
결혼 여부: 미혼.
거주지: suburb. 한달 렌트비 및 유틸 2천불 초반.
연봉: 15만불.
401k: 15만불.
HSA: 2만불.
올해 연봉이 좀 오르면 집 살 계획으로 다운페이할 돈을 모으려 했는데 헛된 꿈이었나 싶기도 하고.. 아니면 401k 넣는걸 좀 줄여서 다운페이할 돈을 만들어야 할지..
먼저 이 길을 걷고 계신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_ _)
- 전체
- 후기 7217
- 후기-카드 1880
- 후기-발권-예약 1341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61821
- 질문-기타 22669
- 질문-카드 12532
- 질문-항공 10905
- 질문-호텔 5584
- 질문-여행 4402
- 질문-DIY 246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507
- 정보 25865
- 정보-친구추천 2
- 정보-자가격리 133
- 정보-카드 5498
- 정보-기타 8469
- 정보-항공 4081
- 정보-호텔 3437
- 정보-여행 1186
- 정보-DIY 235
- 정보-맛집 237
- 정보-부동산 81
- 정보-은퇴 304
- 여행기 3633
- 여행기-하와이 408
- 잡담 16115
- 필독 63
- 자료 67
- 자랑 737
- 금요스페셜 107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2
- 구라 2
- 요리-레시피 71
- 오프모임 200
- 나눔 2790
- 홍보 14
- 운영자공지 34
32 댓글
포트드소토
2025.05.12 13:08:54
아주 잘하고 계시는 듯 한데요.
가급적 401K 는 늘 맥스로 킾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거 맥스로 하면, 굶어야 할 지경이 아니라면요. 세금을 안 낸다는게 (미룬다는게) 어마어마하더라구요. 그리고, 젊을때는 너무 보수적으로 하지 마시고, 나스닥 인덱스나 Growth 에 한 20년 ~ 30년 넣어두세요. 내가 그때 그랬더라면 ~~~ ㅎㅎ
똑띠
2025.05.12 13:53:38
감사합니다! 401k 그냥 2055 타겟에 붇고 있는데 이거부터 공부하고 바꿔야겠습니다ㅠㅠ
골드마인
2025.05.13 09:50:48
포트드소토님 제가 궁금한게 있어서요. 401k 멕스 의미가 매칭까지인가요? 아님 실질적으로 401(k) 한도인 $23,000를 의미하나요?
포트드소토
2025.05.13 11:03:33
23000불이요.
그냥 세제혜택이면 무조건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세금 다 뗀 생돈도 투자하고 싶어서 안달인데요. 거기에 세제혜택까지 준다는데 안하면 바보입니다. 여기 그 바보가 있어요.. 정말 나중에 후회됩니다. ㅜㅜ
골드마인
2025.05.13 12:29:15
감사합니다. 매칭까지만 넣고 있었는데 가능하면 더 넣어야겠네요. 바보 여기에도 있습니다...
똑띠
2025.05.13 11:26:14
Employer matching은 우리가 아는 $23k 맥스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23k은 employee가 넣을 수 있는 최대 한도 금액입니다
포트드소토
2025.05.13 11:39:05
역시 저보다 똑띠하시는 분이시네요.
저는 첫 직장 잡고 10년간 그걸 잘 못 알았습니다.. ^^ 더 어이없는건, 주변에 무지했던 한인 직장 동료들도 저처럼 잘 못 알고 있어서, 더 확증편향 이었네요.
저처럼 무지하게 살지 마시고, 부자 되세용 ~~ ㅎㅎ.. 20대 후반부터 401K 맥스로 붓기 시작하시면 60대 전에 무조건 화려하게 일찍 은퇴 가능한걸로 압니다. QQQ 비중을 좀 늘려서 가지고 계셨으면요.
똑띠
2025.05.13 11:42:57
화려하지 않더라도 적당히 오늘도 행복하고, 적당히 노후도 행복하면 좋겠습니다ㅜㅜ 저는 주식 쪽 무지랭이입니다.. QQQ가 무엇인지 여쭤도 될까요?
쌤킴
2025.05.13 11:49:58
NASDAQ 100 지수로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시총 100개 기업에 분산투자되는 ETF라고 보심 됩니다. 기술주 중심의 ETF라고 생각하셔도 되고요.
똑띠
2025.05.13 12:27:49
오 그렇군요! 쉅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포트드소토
2025.05.13 12:04:10
이제 공부하시면 됩니다
저도 초보지만 일단 몇개 찍어 드릴께요.. 그걸로 시작해서 더 공부하시면 될겁니다.
예를 들어 봅니다.. 예 인겁니다.. ㅎㅎ
* 401K 투자 - Mutual fund + ETF
FZROX (Total market) - 10%, 관리비 0% 라서
FNILX (Large cap) - 10%, 관리비 0% 라서
FXAIX (S&P 500) - 20%, 기본, 낮은 관리비
QQQM - 40%, 나스닥 따라가려고. QQQ 보다 낮은 관리비.
VGT - 20%, IT 시대라서
* 일반 투자 계좌 - No MF, ETF
VOO (S&P 500) - 20%, 기본
QQQM - 40%, 나스닥 기본
VGT - 20%, IT 시대라서
SOXX - 20%, 반도체 필요하니까
똑띠
2025.05.13 12:29:49
무지랭이라 뭐가 뭔지 모르겠지만...ㅠㅠ 그래도 이것들이 뭔지를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라이트닝
2025.05.13 13:01:28
401k 투자의 예로 드시긴 하셨지만 약간 조심해야 될 것 같아서 추가합니다.
FZROX와 FNILX는 Fidelity 이외의 brokerage로 transfer가 안되기 때문에 taxable 계좌에서는 강력하게 비추천합니다.
은퇴계좌(IRA, CA/NJ 제외한 HSA, 401k의 brokeragelink)에서는 팔았을 때 capital gain이 없으므로 큰 문제는 아닙니다.
제 경우도 이런 불편함이 예상이 되어서 IRA와 brokeragelink에서 FNILX 다 정리했습니다.
401k는 MF로 투자를 잘 하고 있습니다.
그외의 mutual fund도 flexibility는 상당히 떨어지게 만드는데요.
401k는 보통 mutual fund로 투자를 하게 되어 있으니 어쩔 수 없지만, 다른 투자는 가능하면 ETF로 투자하시는 편이 한 브로커리지에 묶이지 않아서 좋긴 합니다.
어떤 회사든지 망할 수 있고 이는 브로커리지도 예외는 아니거든요.
투자 금액 날리고 하는 일은 드물지만, 몇 년간 묶여버리는 경우는 발생할 수 있으니까요.
똑띠
2025.05.13 13:51:47
오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이쪽으로 잘 아셔서 아는 만큼 보이는가 봅니다!! 401k도 쉽게 타겟상품에 넣어놨던 만큼 모르는게 많은데 앞으로 이 설명도 잘 참고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쌤킴
2025.05.12 14:29:21
포트님 말씀처럼 맥스를 유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01k는 5만불까지 Loan으로 댕겨올 수도 있고요. 1st home buyer의 경우 아마 페널티 없는 인출이 가능할 겁니다. 물론 401k loan을 하는게 좀 더 나을지도 모르고요.
TDF (=Target Date Fund)의 경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주식과 채권의 비율에서 채권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해줘서 편리하지만 그만큼 상대적으로 자산이 덜 오릅니다.
저는 "피를 내 피같이 소중히 아끼고 피하시오" (도코님의 비슷한 글도 있을겁니다.) 라는 생각이고요. 그냥 인덱스 펀드에 묻따말 투자를 하셔도 괜찮을 겁니다.
TDF가 그렇다고 해서 fee가 엄청 높은 것은 아니지만 보통은 인덱스펀드보다는 높습니다.
만약 TDF를 계속 유지하고 싶으시다면 회사 401k상에 가장 높은 년도 은퇴 타켓으로 되어 있는 TDF 이를테면 2080 (있다면요..)등으로 바꾸시길 추천드립니다.
숫자가 높을 수록 초기 주식 투자비율이 좀 더 높아서 상대적으로 수익이 좋을 겁니다.
똑띠
2025.05.12 21:06:18
네 401k 초기 목표를 10만불로 잡았었어요. Loan 받을 수 있는 맥스가 보유 금액의 반; 최대 5만불이라고 해서요. 조언해주신대로 401k 맥스는 안 건드리는 걸로 해야겠습니다ㅠㅠ
투자 쪽으로는 잘 몰라서 타겟펀드 숫자의 의미까지도 몰랐는데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Oneshot
2025.05.12 16:29:10
젊을때는 공격적으로 하라고 하니 30대중반이시면 구지 변경할 필요는 없어 보이는데요. 집을 사실 계획이 있으시면 현금 비율을 좀 더 늘리는게 좋을거 같긴하네요. 아직 미혼이시고 결혼의사가 있으시면 결혼상대에 따라 이사를 갈수도 있으니 집사는것보다 렌트로 사는게 좋을거 같아요. 아무래도 미혼이면 직장에 따라 이주하기도 쉽고하니 당장 집사는데 촛점을 마추실필요는 없을거 같네요.
똑띠
2025.05.12 21:07:48
렌트비가 계속 오르기도 해서 모기지 이율이 떨어질 때를 기다리며 다운페이할 현금 보유를 최대한 늘려보려 했는데.. 다시 고민해봐야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포트드소토
2025.05.13 11:54:19
원글님이 집 사셔야 하는 고민 때문에 401K 비중을 고려하시는 것 같은데,, 저도 Oneshot 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서브프라임 사태 정도 와서 집이 헐값 아닌 다음에야, 결혼도 안 했는데, 굳이 집 모기지에 돈 부을 필요 없다 봅니다.
자가 집이 생기면, 이직 로케이션에 걸림돌이 생기고, 좋은 기회를 놓치실 수 있습니다.
지금 연봉만 보지 마시고, 아직 한창 젊으시니, 자기 발전에 집중하시고 커리어 기회를 활짝 열어두세요.
401K 자산은 수동적으로 저절로 불어나는 거고, 자기 연봉은 능동적으로 불리셔야 되요.
벌써부터 이런거 잘 고려하시니 성공하실 분이십니다.
cf. 선무당 집값 점치기..
저는 현재 집 버블에 베이비 부머들의 영향도 아주 크다고 보는데요. (양적완화 꿀들을 주식이나 집으로 잔뜩 모아서, 집을 팔고 은퇴 타운으로 갈 필요가 없음.) 베이비 부머들도 불로장생은 못하니, 챗쥐에 물어보니..
The aging and eventual declin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born 1946–1964) will indee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U.S. housing market.
Mortality rates rise sharply in late 70s and 80s, mean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deaths is expected starting in the 2030s, peaking in the 2040s.
즉, 아직 집 안 사셨으면, 결혼 먼저 하시고, 아이 학교 갈 때 쯤, 학군 좋은 곳에서 2035년 쯤 집 사시려고 하면, 마켓에 집들이 넘치지 않을까요?
똑띠
2025.05.13 12:32:43
네 맞습니다. 갑자기 재정에 변동이 있지는 않으니 주어진 재정에서 비율을 어떻게 할까, 현재와 미래에 대한 밸런스는 어떻게 해야할까 이런 부분이 고민이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베이비부머에 대한 gpt의 데이타도 아주 흥미로운 접근이네요!!
도코
2025.05.12 16:35:09
Roth IRA가 안 보이네요. 다른 건 다 잘 하고 계신 것 같네요. 지금 시점에서 밸런스보다는 저축률이 중요하겠죠.
똑띠
2025.05.12 21:10:18
현금 저축률을 말씀하시는 거겠죠? 현금 비상금을 늘리는 방향이 나을까요 아님 roth IRA를 시작하는게 나을까요? 은퇴 후 노후를 대비하고는 싶지만 현재를 졸라메며까지 할 생각은 안하고 있었어요..ㅠㅠ 은퇴자금 다 쓰고 죽을지, 그 전에 죽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 같아서..ㅠㅠ
도코
2025.05.12 21:24:14
Roth IRA는 비상금으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이글 참고해보세요: https://www.milemoa.com/bbs/board/7459856
(은퇴자금 못 쓰고 죽을거면 401k도 하는 의미가 없겠죠..)
똑띠
2025.05.12 22:03:47
오 이 바이블! 이 글 보면소 은퇴준비를 시작했었는데 roth IRA는 빠뜨려놓고 있었네요. 중요한 포인트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라이트닝
2025.05.12 21:39:06
은퇴자금이 남아돌면 유산으로 줄 수는 있는데요.
은퇴자금이 모자라면 은퇴를 못하게 되실 수도 있거든요.
오래 일하실 수 있는 직종이고, 오래 일하실 생각이시라면 급하게 하실 필요는 없다고 보는데요.
은퇴계좌가 일찍 많이 넣고 나중에 천천히 모으는 것이 효과가 좋긴 하거든요.
똑띠
2025.05.12 22:09:50
유산까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ㅎㅎ 아직 결혼도 안해서 자녀가 있을런지도 미지수인데다 자식한테 손 벌리지 않고 살다가 죽는것만 해도 충분하다 생각해서요 (태어나지도 않은 그들의 동의는 생각지도 않았습니다🤣)
조언해주신대로 일찍 많이 넣는 것! 위에 분들도 언급하신 맥스 아웃 잘 지키고 roth IRA까지 도전해보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라따뚜이
2025.05.12 22:35:57
저는 401k를 조금 줄이고 다운페이먼트 돈을 모으시길 추천합니다. 그래도 나중에 사려는 집값의 10% 정도는 모아야 할거같습니다. 당연히 은퇴 미래만 보면 401k 맥스에 Roth IRA가 맞지만.. 그래도 항상 financially smart decision만 내리면서 살수는없으니까요. 나중에 집 구매하시면 그 내집이라는 보금자리가 생기는게 마음의 안정을 주기에 저는 다운페이먼트를 조금 모으시는걸 추천합니다.
똑띠
2025.05.13 10:57:42
마음의 안정! 잦은 이사의 부담과 계속 오르는 렌트비의 부담을 생각할 때 이것도 고려해볼 부분인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사과
2025.05.13 06:45:32
역시 30대는 401k Roth IRA 맥스로 종잣돈 모으는게 최고죠
사는지역이 렌트 대비 집가격 비교해서, 다운페이 넣어 매달 익스펜스 원금, 이자, 세금, 택스 (PITI) 비교해 살만하고 유지할만 하면 사고, 너무 비싼 지역은 렌트가 오히려 더 쌀수도 있으니까요.
사는 집을 사는건 생각보다 중요한데, 유지만 해도 자산 상승이 부동산에서 확확 되기 때문이예요. 살때 무리하지 않는 대신 위치가 좋은집, 향후 오를 가치있는집 잘 사시고요
크레딧이 왠만하게 650이상되면 적게 다운페이하고 살수있는 FHA loan 이 있고, 0% 다운페이 론도 있습니다.
월 페이먼이 원금안에서 저축 (은퇴연금불입) 안에서 감당할만 한 선을 유지하는게 관건이고요
가족들이 없을때는 멀티홈도 자산 모으기에 좋습니다. 한유닛은 본인이 살고, 다른유닛을 세를 주는 듀플렉스 트리플렉스는 본인 거주비를 0으로 만들고, 추가 캐시플로우도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그리고 자산 상승은 덤.
은퇴연금만 차곡차곡 모아도 시간이 도와주어 은퇴때는 밀리언 자산을 이루지만
부동산과 주식을 같이 병행하면, 눈덩이처럼 빠르게 자산이 늘어납니다. 남의돈 (은행대출)으로 투자해서 내자산이 늘어나는 레버리지 효과가 크거던요
똑띠
2025.05.13 11:03:24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크레딧 스코어가 780-800대로 유지 중이라 말씀하신 FHA 론도 알아봐야겠어요. 늦깎이 사회 초년생이라 일단 401k만 생각했었는데 부동산도 미리 공부해두어야 정말 집을 살 때 벼락치기가 아닌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ㅠㅠ
AlwaysLucky
2025.05.15 14:32:08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보통 Target fund는 S&P에 비해 더 잘 안오르고 더 잘 안떨어지죠. 그래서 S&P의 고점 (가령 전고점 돌파) 분위기나 혹은 저점 (Fear & Greed lower than 10 or 지수 고점대비 15~20% 이상 하락) 을 파악하면서 리밸런싱을 하는 게 더 나은 생각일까요? 저점 시엔 S&P 비율을 Target 보다 현저히 늘려서 저점매수하고 고점에서는 다시 반대로 해서 상승장에서 고점분 먹고 Target으로 재전환해서 하락대비. 어차피 은퇴계좌라서 은퇴전에 tax 맞고 꺼낼거 아니면 꺼낼 일이 없다고 생각되다보니 ㄹㅇ장투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을 거 같아서요.
쌤킴
2025.05.15 17:46:35
TDF와 SPX로 그렇게 플레이하실거면 차라리 TDF대신에 SGOV와 같은 단기 채권과 SPX를 가지고 플레이 하시는게 나을 겁니다.
TDF가 덜 오르고 잘 안떨어지는 것은 채권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고요. 그렇게 마켓 타이밍을 잘 하실 수 있다면 VOO:SGOV을 비율조절해보시는게 더 나을 거에요. 물론 버펫옹께서 말씀하셨듯이 "Time in the market beats market timing every time." 이라고 하셨어요. 타이밍 맞추는 것은 정말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재미로 조금 해보시는 것은 괜찮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