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후기 7217
- 후기-카드 1880
- 후기-발권-예약 1341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61821
- 질문-기타 22669
- 질문-카드 12532
- 질문-항공 10905
- 질문-호텔 5584
- 질문-여행 4402
- 질문-DIY 246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507
- 정보 25865
- 정보-친구추천 2
- 정보-자가격리 133
- 정보-카드 5498
- 정보-기타 8469
- 정보-항공 4081
- 정보-호텔 3437
- 정보-여행 1186
- 정보-DIY 235
- 정보-맛집 237
- 정보-부동산 81
- 정보-은퇴 304
- 여행기 3633
- 여행기-하와이 408
- 잡담 16115
- 필독 63
- 자료 67
- 자랑 737
- 금요스페셜 107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2
- 구라 2
- 요리-레시피 71
- 오프모임 200
- 나눔 2790
- 홍보 14
- 운영자공지 34
올해 말에 졸업 예정인 취준생입니다.
이번학기에 PhD candidate 됐구요. 12월까지 논문 열심히 써서 졸업한다음에 돈벌 계획인데, 교수님께 잘못 보여서 너 듀얼 Ph.D. 할래 하고 꼬셔지도 있는 중입니다.
지금 하고 있는것은 Nursing 이고 새로 시작하려 하는 것은 Biostatistics 입니다.
요즘 fund 가 없어서 PhD 해도 스타이픈 받을 수 있는 프로젝은 없다고 하네요. GRA 정도는 할 수 있을꺼라고 하는데...요...
PhD nursing 가지고 할 수 있는게 academia 에서 티칭, post-doc 해서 학교에서 리서치, 인더스트리 넘어가서 리서치, Public health policy 리서치, 정도?입니다.
저는 인더스트리에서 리서칭 하고 싶은데, job market 이 영 안좋네요. Clinical research analysis 로 작년 여름부터 해서 대충 100군데 지원했고 final interview 10번, offer 는 3 곳에서 받았습니다. 제가 생각하던 금액하고 너무 안맞아서 안하기로 했습니다. (그냥 RN으로 일해도 더 받을 수 있는 금액이라..)
statistics 가 적성에 맞는 것 같고 지금 봐도 biostatistics 학위가지고 일할 수 있는 자리는 꽤 있네요. 대부분 master +3 year experience, 아니면 PhD 요구 하는군요.
듀얼 PhD 면 나름 경쟁력이 있을 것 같은데... 아니면 그냥 시간낭비일지 모르겠네요.
이미 course work을 몇개 해놔서 이번 가을학기부터 시작하면 진짜로 빨리 하면 2년 뒤에 Ph.D. Biostatistics 끝낼수도 있다고 합니다.
- 전체
- 후기 7217
- 후기-카드 1880
- 후기-발권-예약 1341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61821
- 질문-기타 22669
- 질문-카드 12532
- 질문-항공 10905
- 질문-호텔 5584
- 질문-여행 4402
- 질문-DIY 246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507
- 정보 25865
- 정보-친구추천 2
- 정보-자가격리 133
- 정보-카드 5498
- 정보-기타 8469
- 정보-항공 4081
- 정보-호텔 3437
- 정보-여행 1186
- 정보-DIY 235
- 정보-맛집 237
- 정보-부동산 81
- 정보-은퇴 304
- 여행기 3633
- 여행기-하와이 408
- 잡담 16115
- 필독 63
- 자료 67
- 자랑 737
- 금요스페셜 107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2
- 구라 2
- 요리-레시피 71
- 오프모임 200
- 나눔 2790
- 홍보 14
- 운영자공지 34
57 댓글
으리으리
2025.05.16 09:20:49
Biostatistics가 좋긴 하죠... 2년만에 딴다면 좋긴 할 것 같은데요.
MCI-C
2025.05.16 09:24:59
Biostatistics / data Science 수업 들어봤는데 재미 있어보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senior 포지션만 나오고 있어서, 3-4년 후에 job market 어떻게될지 모르겠네요.
Morehope
2025.05.16 09:33:08
Dual degree로 PhD in Biostatistics 가지고 졸업하시면 인더스트리에서 기회는 정말 많은 것 같아요. 제약업게는 물론이고 사실상 테크쪽 data science도 많이 갑니다. 그런데 통계 백그라운드가 탄탄하시지 않으면 졸업은 쉽지 않을 수 있어요 물론 학교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Qualifying Exam도 치르셔야하는거죠? 퀄 통과 못하고 마스터만 받고 졸업하거나, 리턴하는 유학생도 많이 봐왔는데요, 졸업이 얼마나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지도 중요할 것 같아요. 하지만 통계 박사는 하실 수 있다면 정말 추천입니다.
MCI-C
2025.05.16 09:38:42
Qual 은 코스웍 끝나고하는데 6시간짜리 테스트 본다고 하더군요 ㅎㄷㄷ 울 학교는 qual 떨어지는 경우는 그리 많이 않은것 같아요.
통계학이 쓰이는 곳이 엄청 많더군요.
데싸는 기본적?으로 통계라..
비건e
2025.05.16 09:38:19
교수님께 잘못 보여서 너 듀얼 Ph.D. 할래 하고 꼬셔지도 있는 중입니다. >> ??
자랑글이네요 ㅋㅋ 잘하실 것 같습니다. 화이팅
MCI-C
2025.05.16 09:44:14
화팅 입니다 ㅠㅠ
요즘 취업전선이 영 안좋아요. PhD 끝내면 뭐든것을 할줄 알았는데 말이죠 ㅠㅠ
edta450
2025.05.16 09:41:18
소년이 죄를 지으면 소년원에 가고 대학생이 죄를 지으면...
놀리는거 아닙니다 저도 전과자에요MCI-C
2025.05.16 09:44:37
전생에 뭔 죄를 이리 졌길래 ㅌㅌ ㅠㅠ
Prodigy
2025.05.21 17:05:41
이 정도면 죄를 지어도 엄청난 죄를 지은거 같은데요? ㅇㅊㅊ
효월
2025.05.16 09:50:00
Biostatistics 전공하시면 경쟁력은 확실히 올라갈 것 같아요. 다만, 미리 course work을 하셨다고 해도 2년 안에 졸업은 정말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평균적으로 4년 정도 걸리는 것 같아요. 윗댓분 말처럼 stat 쪽이 퀄도 쉽지 않은 편이구요. 그리고 모두가 그런 건 아니지만 너무 빠른 졸업은 물박사로 비춰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이는 좋은 논문들로 커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넉넉하게 4년 정도 투자하실 의향이 있으시면 진학하시는 것 추천드립니다.
MCI-C
2025.05.16 10:00:36
학위를 빨리 하려면 좋은 adviser 만나서 프로젝트 잘 해야 되는데, 그게 말처럼 쉬운게 아니죠.
지금 하고있는 Ph.D. 도 매일이 드라마 네요.
KeepWarm
2025.05.16 10:07:34
와... 주변에서 농담으로도 언급하지 않는것을 실제 고민하시다니... 존경합니다.. ㅎㄷㄷ
MCI-C
2025.05.16 13:27:02
ㅎㅎㅎ
전생에 뭔 죄를 졌길래 말이죠 ㅌㅌㅌ
제읻쓰
2025.05.16 10:20:31
사실 인더스트리는 좀 낮게 시작해서 이직 하면서 올리는 경우가 많죠. Foot in the door 가 힘들어서 그렇지 한번 들어가면 옮기기는 쉽습니다.
Biostat 이 demand 가 높긴한데 PhD 두개를 할정도 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특히 펀딩도 불확실하면요. Clinical scientist 는 알아보셨나요? RN 이랑 PhD 하신거 잘 맞을텐데요. Pharma 에선 dual PhD 가 하나보단 경쟁력이 더 있진 않습니다. MD/DO 아니면 모를까. 돈을 더 주지도 않구요. Pharma 에선 biostat or data science 가게 되면 그냥 biostat degree 하나로 들어가는거랑 마찬가지예요.
MCI-C
2025.05.16 11:51:15
요즘 clinical scientist 포스팅이 안나오네요. Foot in the door 가 중요하다는것 절실하게 느낍니다. Parma 보다는 병원에서 일하고 싶은데 모르겠어요.
poooh
2025.05.16 10:27:52
사실 biostatistician을 하시려면 nursing bs + stat ph D 가 가장 좋은 결합 같더라구요.
예전에 CRO 일을 할때에 보니 biostat ph D 가 프로젝 리드를 하더군요. 그런데 저라면 stat을 하지 biostat을 할것 같지 않습니다.
특별히 career path를 CRO 나 bio 쪽 한정이 아니시라면요. 그런데 DS 관심 있으시다면서 STAT을 하시게 되면, biostat 끝나고 나시면 DS PhD 로 triple PhD 하면 어때요 하고 질문이 올라 올것 같은 느낌 아닌 느낌이...
그리고 CRO 쪽은 결국에는 MPH 를 하더라구요.
아... 또 하나 코스웍 하셔야 하는데, 수학를 간호쪽보다는 훨씬 더 많이 하셔야 할겁니다. 통계쪽이 기본으로
수학을 nonlinear diff eq (calc1,2,3, ODE, PDE), linear algebra, stat 입니다. 어쩌면 set theory, numerical analysis 까지 하셔야 할지도...
아마 널싱을 하셨으면, calc 2 정도 까지 마치셨을텐데, 수학만 기본으로 코스웍 2년 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뭐 공부를 좋아 하시는건 이해가 가는데, 그쪽 관심이 있으시면, 교수 하시면서 그쪽 프로젝을 하시던지 협업을 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어차피 PhD 라는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디그리 인데, 한번 했는데, 굳이 다른 서브젝트로 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이상은 뭣도 모르는 가방끈 짧은이의 푸념 이였습니다.
MCI-C
2025.05.16 11:56:26
ㅎㅎ triple 은 좀... 그런데 informatics 쪽으로 갈지도 모르겠네요.
Nursing 만 이라면 pre-Calc만 있어도 됩니다.
제가 engineering degree 도 있어서 Undergraduate math 는 다 했네요. Calc 3, diffeq, linear algebra,
PhD elective class 들으면서 코스웍은 1년치는 했어요.
Stat 코스들도 많이 들었어요. ANOVA, regression..., non-parametric, survival...
제 논문이 secondary data analysis 라. Biostat department 하고 co-op 하고 있어요. 그러다가 교수님이 Biostat 전공해보라고 하셨....
guestspeaker
2025.05.16 10:45:02
임상경험이 충분히 있으시면, CRNA (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마취전문간호사에 도전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주변에서 하시는 분들 뵈었고, 무엇보다 친동생이 현재 Level 1 Trauma Center 대학병원에서 풀타임RN 임상일을 하면서, 전액학비 면제로 CRNA 과정하고 있어요. CRNA 입학허가는, 중환자실 임상경험이 필수입니다. 입학하는 것 자체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훌륭한 가치가 있어보였습니다. 어떤 선택이든 본인이 가시고자 하는 길에 늘 축복이 있으시기를 소망합니다.
MCI-C
2025.05.16 11:58:31
저는 CRNA는 별로...
저는 psych-mental health APRN 입니다.
classmate 중에 하나가 CRNA인데 돈 많이 번다고 하더군요.
야자나무
2025.05.16 10:45:06
DNP는 어떠세요?
MCI-C
2025.05.16 11:59:18
MSN 이미 있어요.
야자나무
2025.05.20 16:26:01
NP로 direct patient interaction은 옵션이 아니신가보군요.
간호 phD는 아카데미아 이외엔 별 다른 선택지를 찾기 힘들어서 꼭 교수가 될 분들 이외에는 선호도가 낮습니다.
MCI-C
2025.05.20 18:54:00
맞는 말입니다. 제 Cohorts 선배들은 졸업 2~3년 전부터 accademia 에서 assistant professor 로 일하고 있더군요.
의외로 Healthcare researcher 중에 Ph.D. nursing 하신분들도 꽤 있어요. 그런분들 보면 MPH 나 MBA들 같이 하더군요.
Oneshot
2025.05.16 10:45:14
통계 어려워요. 수학같은 관련과가 아니면 들어야할 수업도 많을텐데 3년이상은 잡으셔야할듯요.
MCI-C
2025.05.16 11:47:22
그렇군요. 노력해보겠습니다.
저도 2년만에 PhD 는 못할것 같아요.
Oneshot
2025.05.20 17:16:09
과거엔 긴호학전공자가 갈데가 많아서 교수자리가 쉽다고 들었는데 이젠 아닌가 보네요. 통계과쪽 바이오스텟은 이론위주로 공부하시는거라 생각하시는거랑 배우는게 많이 다를수 있어요. 데이타분석쪽이 공부하시고 싶은거면 아예 데이터분석쪽을하시거나, 퍼블릭헬스/바이오쪽에서 제공하는 바이오스탯으로 하세요. 응용수학쪽으로 하시면 잘못하면 수학과 해석학부터 다시공부하실수도 있고, 퀄통과도 웬만한 수학지식없이는 힘들어요.
MCI-C
2025.05.20 19:00:31
교수자리는 아직도 부족한데, 요즘 fund 가 부족해서, hire freeze 됐어요. 내년에는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네요.
통계이론이 생각보다 재미 있던데요. 어렵기는 한데, 뭐.. 그냥 할만한것 같아요.
브룻이
2025.05.16 11:08:41
하고 싶으신 리서치 분야가 어떤 건가요? 통계 phd하시게되면 솔직히 그냥 통계 박사하는거보다 돈 더 받으시기 어려우실거에요. 그냥 통계 하나로 박사하는거랑 같아요. 지금 바이오/제약 업계가 전반적으로 안 좋아서 빡시긴한데 일단 영주권이 없으면 뽑지도 않고 (친구 통계 박사인데 결국 영주권 서포트 못 받아서 리퍼럴 해준거 안됨.. ㅠㅠ), 차라리 간호학 관련 전공 살리시려면 에피 쪽을 가볍게 프로젝트 졸업전에 하셔서 페이퍼를 내시던지 에피를 석사를 하시던지 하시는게 시간 투자 대비 효율은 나을거같구요.
간호학 쪽 분들은 보통 클리니컬 사이트에서 트라이얼 매니지먼트 하는거 많이 하시던데요. 어디건 들어가서 경력을 쌓는게 더 중요할거같아요. 글고 돈으로 따져도, 빅파마 기준으로 통계 박사도 3년 미만급은 130-140k이럴거고 시니어 매니저급은 5년해야 줄걸요. 여기서 박사를 하나 더 하시고 또 주니어급으로 시작하시는게 돈만 보면 좋아보이지 않아요.
MCI-C
2025.05.16 11:46:08
지금 Ph.D. Nursing 쪽 마켓이 영 안좋아서 biostatistics 을 더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지금 생각으로는 리모트로 일하면서 $150k 받으면 행복할것 같아요.
사과
2025.05.16 11:19:29
리서치가 꼭 하고 싶으세요? 통계가 정말 재미나세요?
널싱 자체만으로 인컴은 훨 나은텐데요.
정 더 하고싶으면 NP 어떠신지
MCI-C
2025.05.16 11:43:20
저는 리서치 좋아하고 통계 좋아요. 매일 숫자보고 모델 돌리고 하는것 재미있네요.
MSN APRN는 이미 있어요. Burnout 와서 PhD 시작했어요. APRN 생각보다 그리 많이 벌지는 못해요.
atlast
2025.05.16 11:55:40
간호학 쪽은 교수 자리가 꽤 가능한 걸로 알고 있는데 세부전공에 따라 다르기도 할 것 같네요.
바이오스탯을 전공하신다면, 박사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간호학 교수자리를 잡는 데 더 유리하지 않을까 싶네요. --석사학위정도만 되어도 실제로 통계를 가르칠 수 있고 논문을 쓸 수 있으면 좋아합니다.
간호학과에 통계를 하시는 분들이 적어서 박사과정을 가르칠 교수도 필요하고, 양적 방법론으로 박사논문을 쓰는 학생의 커미티에도 꼭 들어가야하거든요.
MCI-C
2025.05.16 13:16:16
제가 academia 를 별로 안좋아해서요.
제 지도교수님이 quant 쪽으로 post doc 하셨네요. 학위는 안받으셨지만요.
미키홀스
2025.05.16 12:10:42
파트타임으로 DS/Stats 마스터 공부하면서 인더스트리에서 리서치 경력 쌓고 마스터 끝나면 MS+인터스트리 리서치 경력 인정받고 DS잡 알아보는 걸 추천합니다.
MCI-C
2025.05.16 13:38:25
인더스트리 경험이 중요하군요. 추천 감사합니다.
남쪽
2025.05.16 13:53:59
재미와 취미로 하시는거면 상관없는데, 취직하시는 거면 경험이 중요하지, PhD 학위 많은거 필요 없습니다. 하나만 있으셔도 충분 합니다. 다른건 postdoc 이나 취직을 하셔서 하시면 됩니다.
MCI-C
2025.05.16 13:58:37
요즘 job market 이 안좋아서, 학교 더 다녀볼까 생각해봤습니다. Nursing post doc 포지션이 전국에서 별로 없어요.
달래쫑
2025.05.20 18:44:34
PMHNP 있으신건가요? 요새 엄청 붐인데 그쪽으로 잡 찾아보시면 안되나요? 재택에 페이가 괜찮다고해서 요새 제 주변은 이쪽으로 많이가요
MCI-C
2025.05.20 18:49:59
PMHNP 있는데요. 페이가 그리 좋지는 않아요.
재택으로 하는것 해봤는데요, 이거 잘못하면 내 라이센스가 날라갈것 같은 위험을 느꼈습니다.
달래쫑
2025.05.20 18:58:52
엇 정말요? 제 동료들은 PMHNP 요새 많이들 하구 아니면 FNP 하더라구요 ㅜ 저도 곧 입학 앞두고 있는데😭
MCI-C
2025.05.20 19:05:10
psych mental health 경험이 없다면 PMHNP shadow 한번 해보고 결정하세요.
그리고 preseptor 찾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지금부터 preseptor 찾으셔야 할꺼에요.
Prodigy
2025.05.21 17:07:21
근데 굳이 왜 dual Ph.D를?? 고민할 가치조차 없는 것 아닌가요? ... 차라리 Qual Exam에 뭐에 귀찮은게 많을텐데 차라리 biostats 석사를 하는게 어떨까요? 석사야 뭐 코스웍만 빡빡하게 들으면 1-2년이면 졸업할텐데요?
MCI-C
2025.05.21 20:16:45
요즘 job market 이 junior 포지션은 없고 senior 들만 뽑네요. 보통 master +3-5 경력 아니면 PhD 이라서 생각중입니다.
뭐.. 전생에 죄를 많이 져서...Prodigy
2025.05.22 14:52:38
아 아니죠. Ph.D 경력을 들고 가고 biostats MS로 거들어야죠. 목표하는 직급은 당연히 senior...는 아니고 fresh Ph.D로 가야하구요. 보통 senior들은 fresh Ph.D + 3-5년 경력입니다. 저희쪽은 그런데 MCI-C님 쪽은 분야가 워낙 달라서 이름도 다를거 같아요.
브런치
2025.05.22 10:29:17
저는 공학전공으로 시골주립대에서 교수하고 있는 사람이라 nursing, biostatistics 잘 모르지만요, academia 가는게 아니면 dual PhD는 커리어에 도움 안된다고 생각해요. 주변에서 PhD 뒤에 잡서치가 잘 안되서 전공 바꾸고 MS, PhD 더 하는 사람을 보긴 했는데, 새로 받는 degree가 원래 degree와 시너지를 내기 어려운거 같았어요. 현직에서 일하면서 추가로 하는건 예외인거 같구요.
혹시 주변에 nursing + biostatistics dual PhD 가진 분들이 있나요? PhD 라는게 졸업한 뒤에도 계속 자기 전문분야를 확장하기 마련이잖아요? dual PhD가 꼭 있어야 특정 job에 qualify 하는 아니라면, 일하시면서 biostatistics 실무경험을 통해 본인 분야를 넓혀가는게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아무래도 PhD 하려면 돈/시간/노력이 많이 드니까 기회비용도 생각하셔야 할겁니다.
MCI-C
2025.05.22 12:56:43
Nursing PhD 가 워낙에 하는 사람이 없어서요. 듀얼 한 사람은 본적이 없네요.
지금 돌아보면 저는 처음부터 biostat 했어야 했어요.
계속 Job search 하면서 자아탐색!도 같이해야할것 같네요. 의건 감사합니다.
아몬드밀크
2025.05.22 11:18:33
주변에 박사+통계 석사를 하는 분들 종종 있었습니다. 만약 아카데미아 관심 있으시면 통계하시는 분이랑 팀을 이뤄 페이퍼 쓰면서 배울수 있는것도 많고요. 다만 업계든 학계든 요즘 잡이 워낙 적고 뽑다가도 하이어링 프리즈 하는 등 많은 면이 불확실 하므로 석사하면서 실력을 쌓고 시간을 버는것도 방법이겠습니다. 박사 2개는 투자 대비 효용이 매우 적다고 봅니다.
MCI-C
2025.05.22 13:07:25
MS 프로그램으로 들어가서 졸업하면 퀄 통과한걸로 인정되서, PHD dissertation 시작하는 study plan 도 가능합니다.
요즘 job market 이 너무 안좋아요.
AI 가 코딩도 팍팍 뽑아주니 biostat 하기도 점점 쉬워지고 있어서 졸업한다음에 자리가 있을지도 걱정이네요.
뉴레옹
2025.05.22 13:07:28
22 차라리 after Ph.D. career를 발전시키시는게 낫지 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아카데미아에서 교수하는걸 노리신다면 새 Ph.D. 하면서 논문 성과를 무지막지하게 찍어서 그 다음 포닥 때 과제들 쓸어담는것도 전략일 수 있긴해요
아무쪼록 잘 계획세우시길 바랍니다
MCI-C
2025.05.22 13:29:20
생각 같아서는 포닥이나 펠로우 하고 싶은데, 이번에 fund가 없어졌어요. 제가 있는 학교 Lab이 반 이상 사라진다는 소문도 돌고 있구요.
뭐 이래저래 어렵네요.
정 안되면 research consultant 로 일할수는 있습니다. 이건 APRN 학위 쓰는거라.. 아쉽네요.
Prodigy
2025.05.22 14:53:23
ㅠㅠ 도움은 안되는 말이겠지만 진짜 고생 많으십니다 ㅠㅠ 학교들 funding 날라가고 요즘 난리도 아니라고 하더만요 ㅠ
GoBong
2025.05.22 20:50:42
최근 stat & biostat fresh phd 마켓도 매우 좋지 않습니다. math/cs/ece 등 석사 또는 박사 후 biostat phd에 도전하는게 아니시라면 최소 4년 잡고 시작하셔야 하고 4년 뒤 마켓이 더 좋아질지 모르겠습니다. AI의 여파가 stat phd에게도 오고 있거든요 (특히 fresh phd에게 치명적인 방식으로). phd 이후 pharma쪽으로 진출하신다면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2025년 기준 뉴저지 뉴욕쪽에서 받는 base salary가 130k~150k 입니다. biostat 석사하시는건 추천합니다.
MCI-C
2025.05.23 08:39:24
역시 잡마켓이 영 안좋군요. 요즘 AI 가 R, SAS 코드 뽑아내는것 보면 정말로 무서워요.
MS Biostatistics 은 열심히 하면 3 semesters 면 졸업 가능 합니다. PhD 는 여기에 2학기 추가됩니다. (Dissertation 써야되니 더 될 가능성이 높기는 하지만..) 햇수로는 3년이네요.
GoBong
2025.05.23 09:14:13
MS biostat 3 semester는 이해가 갑니다. 다만 2학기 더해서 phd를 받는건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지도 교수님의 지도 방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Disseration에 석사 프로젝트 하나 갖다 쓴다고 하더라도 프로젝트 2개 (총 세개)는 필요할텐데요. 아시겠지만 biostat 박사 프로젝트는 존재 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분석하고 끝나는게 아니니까요.
MCI-C
2025.05.23 09:39:58
맞아요. 제가 생각해도 2학기에 dissertation 끝내는 것은 꽤 무리죠.
지금 하고있는 Ph.D. Dissertation project 가져와도 된다고 했어요. 어찌됐던 Study plan 으로는 2학기 추가 였습니다. 불가능에 가까울 수도 있지만... 가능은 한...
놀고먹고
2025.05.23 08:28:26
체류 status는 어떻게 되시나요?
MCI-C
2025.05.23 08:40:01
미국 시민권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