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후기 6539
- 후기-카드 1766
- 후기-발권-예약 1194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54985
- 질문-기타 19698
- 질문-카드 11317
- 질문-항공 9849
- 질문-호텔 5008
- 질문-여행 3850
- 질문-DIY 162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351
- 정보 23543
- 정보-자가격리 132
- 정보-카드 5118
- 정보-기타 7807
- 정보-항공 3717
- 정보-호텔 3163
- 정보-여행 1006
- 정보-DIY 187
- 정보-맛집 213
- 정보-부동산 28
- 정보-은퇴 233
- 여행기 3317
- 여행기-하와이 381
- 잡담 15079
- 필독 63
- 자료 64
- 자랑 714
- 금요스페셜 106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0
- 구라 2
- 요리-레시피 68
- 오프모임 200
- 나눔 2667
- 홍보 15
- 운영자공지 27
한국에서 만드는 도자기에서 말도 안되는 양의 납이 나왔다고 합니다.
납은 안전한 섭취량같은게 없고 조금만 먹어도 안먹었을 때 보다 몸에 나쁜 그런 방사능같은 특징을 지닌 중금속이라고 하네요.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399459657694076002
- 전체
- 후기 6539
- 후기-카드 1766
- 후기-발권-예약 1194
- 후기-백신 79
- 후기-격리면제 28
- 질문 54985
- 질문-기타 19698
- 질문-카드 11317
- 질문-항공 9849
- 질문-호텔 5008
- 질문-여행 3850
- 질문-DIY 162
- 질문-자가격리 19
- 질문-은퇴 351
- 정보 23543
- 정보-자가격리 132
- 정보-카드 5118
- 정보-기타 7807
- 정보-항공 3717
- 정보-호텔 3163
- 정보-여행 1006
- 정보-DIY 187
- 정보-맛집 213
- 정보-부동산 28
- 정보-은퇴 233
- 여행기 3317
- 여행기-하와이 381
- 잡담 15079
- 필독 63
- 자료 64
- 자랑 714
- 금요스페셜 106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60
- 구라 2
- 요리-레시피 68
- 오프모임 200
- 나눔 2667
- 홍보 15
- 운영자공지 27
21 댓글
AJ
2014-05-07 15:39:13
옥동자
2014-05-07 16:58:38
아이들에게 특히 납이 안좋다고 하네요...
AJ
2014-05-08 21:24:29
그르게요.. ㅠㅠ
narsha
2014-05-07 15:41:03
원 세상에 ㅠㅠ
한국서 사온 청도자기 그릇 다 버려야겠네요. ㅠ어째 중국 인도네시아보다도 더 많이 함유????
정보 감사해요.
마일모아
2014-05-07 15:47:22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만, 본문에 방송 내용 캡쳐를 전부 올리시면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캡쳐 사진은 지우고, 관련 기사 링크를 올렸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옥동자
2014-05-07 16:58:14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봉다루
2014-05-07 15:52:32
헉.... 저희 집에 있는 밥그릇, 국그릇 모두 ......
스팬딩 채울 카드 하나 만들어야 하는 건가요?
조아마1
2014-05-07 17:46:58
방송사진에 나오는 인도네시아산 그릇을 보니 레녹스 버터플라이 메도우네요.
미국에 사시는 한국분들한테 인기가 아주 많은 그릇인데 저희집에도 많네요. T_T
기다림
2014-05-08 06:19:20
저희집도 다 저거인데 이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버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그렇다고 다른건 뭐 더 괜찮은것도 아니고 뭐에 밥 먹나요? 참 이런 난감한 때가?
astrokim
2014-05-07 18:28:06
한국도자기 진짜 너무하네요. 찾아보니 코렐도 전자렌지 돌리면 환경호르몬 방출되고 장난 아니네요. 원래 코렐 중에 전자렌지에 가능한 그릇이 따로 나오더군요... -_- 몰랐네요 ㅠㅠ 지금껏 전자렌지 항상 돌려 썼는데... 헐... 아마존에 납 성분이 있는지 검출할 수 있는 Lead Check 테스트기 파네요. 납은 진짜 소량이라도 몸에 좋지 않다고 하니 저 테스트기를 주문해서 한번 해봐야할 듯요 ㅠㅠ 이래서 다들 비싼 그릇 사서 쓰는건가요.. ㅠㅠ
http://www.amazon.com/3M-717834209102DUPE-LeadCheck-Swabs-8-Pack/dp/B008BK15PU
마타
2014-05-07 19:23:32
"코렐도 전자렌지 돌리면 환경호르몬 방출되고 장난 아니네요. " - 첨 듣는 얘기인데 혹시 출처 있으시면 좀 공유 부탁드립니다...
astrokim
2014-05-08 06:09:42
네 마타님. 환경호르몬 관련된 문제는 예전에 (2008년쯤) 미국에서 한번 크게 문제가 되어서 미국의 대부분의 그릇들에는 'no oven/ no microwave'가 다 명시되도록 되어있구요. 코렐도 보면 전자렌지용 그릇이 따로 있고 아닌 건 돌리면 안된다고 하네요. 그때 방송에서 보고 기억했었는데 찾아봐도 환견 호르몬 관련 기사는 없군요 이제. 이번 불만제로 편 보시면 코렐도 납성분 검출 됩니다. 한국 도자기에 비하면 훨씬 적지만 소량이라도 광내는 유약에 포함되어 있어서 검사하니 나오더라는.. 그리고 납은 얼마이상 섭취하면 문제가 된다는 그런 기준이 없어서 소량을 섭취하게 되도 지속적으로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되어있네요. 저희집 코렐 그릇들 찾아보니 다 전자렌지에 돌리지 말라고 써져있다는....;;; ㅠ.ㅠ 우울합니다. 전. 저 테스트기 사서 직접 실험해 보려구요.
Mojito
2014-05-07 20:26:02
가정용 납테스트기에 관해서 EPA에서 추천하는게 있네요. http://www2.epa.gov/lead/epa-recognition-lead-test-kits
저도 몇개 사서 집에 있는 도자기 테스트 해보려고 합니다.
예전 연구결과에서 가정용 테스트기는 오차(false negative)가 10% 미만이라고 하긴 하는데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8969798002332 전문가용 장비인 XRF가 아닌 가정용 테스트기는 오차가 좀 있다고 하는 최근 보고서도 있으니 감안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www.cpsc.gov/en/Newsroom/News-Releases/2008/CPSC-Staff-Study-Home-Lead-Test-Kits-Unreliable/
Mojito
2014-05-07 21:00:38
일반적으로 도자기에 납이 조금씩 들어가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미국에서 최근에 판매되는건 어느정도 규제가 되는것 같은데 예전에 판매되었거나 외국에서 유입되는 그릇들은 주의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http://www.fda.gov/Food/FoodborneIllnessContaminants/Metals/ucm233281.htm 납중독은 비단 그릇뿐만이 아니라 장난감, 욕조 등 생각하지 못한 곳에서도 이루어진다고 하네요.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569084/ 특히 애들은 납에 소량만 노출돼도 호르몬계 장애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조심해야 합니다. http://www.ncbi.nlm.nih.gov/pubmed/23552225
납중독이 심각한 문제이긴 한데 제가 보기에 불만제로에서 보도된 내용은 좀 의문스러운 점이 많은것 같아요. http://blog.naver.com/inkspall09?Redirect=Log&logNo=150190144471
XRF 자료를 보면 납이 무려 20%나 검출된 반면 도자기에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알루미늄 성분이 지극히 낮다는게 첫번째 의문점이구요. 이상한 점이 크리스탈의 주성분인 실리카가 47% 검출되었다는건데요. 이 말은 한국도자시 제품 중에 도자기가 아니라 크리스탈 제품을 가지고 테스트를 했다는 얘긴데요. 뭔가 앞뒤가 맞질 않네요. 일단 한국에서 보도하는 내용에 대해서 성급하게 판단하기 보다는 상황을 지켜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전 그래도 찜찜하니까 일단 가정용 테스트기 하나 사서 직접 테스트를 해 봐야겠어요.
slimslim
2014-05-08 04:35:29
이 방송을 보지는 않았는데, 납이 20% 나왔다면 크리스탈 제품이겠네요. 이 정도 납은 어느 브랜드 크리스탈 제품에나 비슷하게 들어있는건데, 역시나 방송에서 또 약간 뒤틀어서 관심끌게 만들었나보군요. 예전에 불만제로 프로의 다른 방송 (화장품에 관한 것) 한 번 봤는데, 그 퀄러티가 너무나도 낮아서 다시는 쳐다도 안 보는 프로인데, 여전한가 보군요.
goldie
2014-05-08 06:12:51
일반적 XRF는 그 원리상 원자번호 11번 이하 (Na)는 검출이 거의 불가능하구요.. (성분이 많아도 검출 안됨)
Al 검출도 부정확합니다.
따라서 데이타에 Al이 없어도 별로 이상하지 않다고 보시면 됩니다.
검출 노이즈가 Al에서 나오는 신호만큼 큽니다. 정확한 분석이 힘들어요.
그리고 Si는 도자기 자체 원료인 흙에서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XRF는 보통 원자 번호가 높은 놈들이 잘 검출됩니다.
Al도 XRF로 검출이 힘든 원소에 들어갑니다.
자세한 설명은 여백이 좁아서 생략합니다.
쿨대디
2014-05-08 06:15:33
아... 페르마 포스...
edta450
2014-05-08 07:39:56
근데 도자기에서 납이 검출된다는 게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네요. 그냥 표면을 swap해서 재기만 해도 검출이 된다는건지, 깨뜨린 조각에서 검출이 된다는 건지..
아말감에 수은이 들어있지만 바깥으로 새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이 때우는 재료로 쓸 수 있는 것처럼, 실제적으로 별로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거든요.
마타
2014-05-08 09:51:52
실제적으로 큰 문제가 안되도 이미 도자기 장사들은 망했습니다... 진실이 중요한게 아니죠... 이전에 황토팩 사건이 생각나는군요.
hawaii
2014-05-08 13:38:54
그러게요. 방송을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실제 인체에 해가 된다는건지 그냥 검출이 되었다는건지 궁금하네요.
조아마1
2014-05-08 14:34:16
지금까지 나온 의견으로는 도자기를 제작하는 과정 자체에는 납이 쓰이지 않지만 이후 유약처리하는 과정에서 납이 사용된다고 하네요.
광택이 많이 나는 도자기일수록 납성분이 많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아무튼 성분분석실험에서 197,000ppm(19.7%)라는 수치는 잘못된
것이 확실한 것으로 얘기되고 있지만 유약자체에 납성분이 있는 것만큼은 분명하다고 하네요. 정부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 실험에서도
납이 검출되었구요. 회사측에서도 납이 들어 있는 유약의 사용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http://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71355
그리고 이러한 도자기의 표면은 유약으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을 담게 되면 납이 당연히 어느 정도 녹아 나올수 밖에 없다고 하네요.
그래서 저희는 요즘 광택이 적은 그릇만 일부러 골라서 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