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후기 5842
- 후기-카드 1670
- 후기-발권-예약 1062
- 후기-백신 76
- 후기-격리면제 27
- 질문 48149
- 질문-기타 16799
- 질문-카드 10229
- 질문-항공 8588
- 질문-호텔 4383
- 질문-여행 3305
- 질문-DIY 88
- 질문-자가격리 15
- 질문-은퇴 275
- 정보 21156
- 정보-자가격리 127
- 정보-카드 4789
- 정보-기타 7011
- 정보-항공 3309
- 정보-호텔 2832
- 정보-여행 826
- 정보-DIY 137
- 정보-맛집 201
- 정보-은퇴 186
- 여행기 2979
- 여행기-하와이 335
- 잡담 13832
- 필독 64
- 자료 61
- 자랑 687
- 금요스페셜 105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59
- 구라 2
- 요리-레시피 64
- 오프모임 196
- 나눔 2524
- 홍보 15
- 운영자공지 17
2022/5/2 Update: 5월 이자율은 9.62%로 확정발표되었습니다.
2021/11/1 Update: 7.12%로 확정되었습니다.
2021/10/13 Update: 11월에 발표될 Series I Savings Bond 이자율이 7.12%로 예정됩니다.
2021/9/16: 랜덤한 예측이긴 한데 참고하시라고... 11월에 발표될 Series I Savings Bond 이자율은 현재 트렌드로서는 6%를 넘길 전망입니다.
2021/5/3 업뎃: 여전히 시중금리는 낮은 가운데, 인플레 요소를 일부 기반을 둔 I Savings Bond가 오늘 부로 3.54%로 발표났습니다. 지난번 1.68%에서는 "그나마 괜찮은" 상품에서 이제 정말 좋은 상품으로 여겨지네요.
2020/11월 원글
몇달 전 까지만 해도 잘 찾아보면 1.5%정도의 이자율을 주는 CD가 있었는데, 요즘은 은행이자율은 0.50 - 0.70% 정도 하네요. 이런 환경에서는 뱅크보너스 (뱅보)를 열심히 찾아다니면 아직도 안정성 보장이 필요한 여유자금을 잘 굴릴 수 있는 최선책 같습니다.
차선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지만 정부에서 발행하는 I Savings Bond가 그나마 괜찮은 상품이 될 수 있습니다. I Savings Bond는 현재 연간 이자율 1.68%를 제공하는데, 시중 이자율 보다 높은데도 불구하고 '강추'라 하지 않고 '그나마 괜찮다'고 하는 이유는 약간의 까다로운 조건이 있기 때문입니다.
조건 1: 개인당 calendar year마다 $10k 살 수 있고, 만약에 부부가 각각 사면 매년 합해서 $20k 살 수 있겠네요. 하지만 제대로 된 3-6개월 비상금 금액에 비하면 일부분만 커버되는 금액이라서, 한도측면에서 좀 제한되어 있습니다.
조건 2: I Savings Bond는 redemption에 대한 조건이 좀 까다롭습니다.
0개월 - 12개월 (1년): 본드 구매 후 1년동안 아예 건드릴 수 없는 돈입니다. 은행 CD같은 경우, 비상금이 필요하면 이자를 포기하고 CD를 깰 수 있지만, I Savings Bond는 1년 전에는 아예 redeem을 할 수 없어서 유동성 측면에서 첫해에는 불리합니다.
1년 - 5년: 1년 후에는 전액을 redeem할 필요 없이 원하는 금액을 redeem할 수 있는 면에서 괜찮은데, 만약 5년 전에 빼면 마지막 3개월 이자를 포기해야합니다. 은행CD를 깨면 약간의 페널티가 있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겠네요.
5년 - 30년: 5년이 경과한 I Bond는 아무때나 원하는 만큼 redeem할 수 있습니다. 30년 지나면 더 이상 이자를 주지 않습니다.
--
조건은 좀 까다롭지만, 분명히 몇가지의 장점이 있는 상품입니다.
장점 1: 이자는 반년마다 갱신되는데 이자 파트 + 물가상승률 파트, 이렇게 두개의 파트로 구성됩니다. 즉, 최소한 물가상승률을 얹어주면서 원금가치를 보존해주는 상품이라 최소한 돈을 잃을 수는 없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장점 2: 주세금 면제: 연방세금은 면제가 아니지만 state/local tax는 면제입니다.
장점 3: 일반 은행 이자는 이자를 매달 지급하기 때문에 매년 1099-INT로 소득세에 포함이 되지만, I Savings Bond는 redeem할 때만 세금이 부과 되기 때문에 일종의 "tax deferred" 상품입니다.
장점 4: 대학비로 사용하면 세금면제가 되기 때문에 자녀 대학 입학이 5년 이상 남았으면 괜찮은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비 차원에서는 Roth IRA나 529보다는 약간 덜 좋은 옵션이라 생각됩니다.)
--
사면 좋은 사람: 여유자금이 충분히 있고, 몇년간의 I Savings Bond로 ladder를 만들 수 있는 분에게 좋고, 특히 대학비에 나중에 사용할 가능성 있으면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사면 좋지 않은 경우: 은행 이자율을 능가하는 점만 보고 덜컥 사버렸는데, 1년 안에 비상금이 필요하면 난처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상품은 피하는게 좋겠네요.
--
I Savings Bond 사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세금 refund받을 때 I Savings Bond로 받을 수 있음
방법 2: Treasurydirect.gov에서 계좌를 만들어서 은행을 연동시킨 후 사이트에서 구매
여기서 세금 리펀드로 받는 버전은 paper 버전이기 때문에 redeem할 때 한번에 다 뽑아야하는 반면에, 방법 2는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redeem할 때도 원하는 금액만 redeem하실 수 있습니다. 즉, 방법 2가 더 좋아 보입니다.
--
지금 이 상품을 소개하는 이유:
지난 5월에는 이 상품의 이자율이 약 1.06%였는데, 이번 11월에 이자율이 1.68%로 조정이 되었어요. 그 때는 시중 은행 이자율이 1.5% 수준이어서 상대적으로 이 상품이 좋지 않았죠. 이번에 11월초에 rate이 조정되었는데, 이자 파트는 여전히 0.00%인데 물가상승률 파트가 조정이 된거죠.
그리고 calendar year마다 개인이 1만불 살 수 있기 때문에, 연말 전에 개인의 재정상황을 점검하시는 분들에게 12/31전에 실행할지 고려해보말한 또 하나의 옵션이 될 것 같습니다.
첫해에는 아무래도 1년동안 돈이 묶인다는 생각에 주춤할 수 밖에 없겠지만, 매년 하다보면 이것 또한 좋은 저축의 수단이 될 수 있어요. 특히 inflation만큼은 챙겨주는 상품이니까요. 그리고 1년에 만불이 max이지만, 처음에는 훨씬 작은 금액으로 시작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전체
- 후기 5842
- 후기-카드 1670
- 후기-발권-예약 1062
- 후기-백신 76
- 후기-격리면제 27
- 질문 48149
- 질문-기타 16799
- 질문-카드 10229
- 질문-항공 8588
- 질문-호텔 4383
- 질문-여행 3305
- 질문-DIY 88
- 질문-자가격리 15
- 질문-은퇴 275
- 정보 21156
- 정보-자가격리 127
- 정보-카드 4789
- 정보-기타 7011
- 정보-항공 3309
- 정보-호텔 2832
- 정보-여행 826
- 정보-DIY 137
- 정보-맛집 201
- 정보-은퇴 186
- 여행기 2979
- 여행기-하와이 335
- 잡담 13832
- 필독 64
- 자료 61
- 자랑 687
- 금요스페셜 105
- 강퇴로 가는 길 11
- 자기소개 659
- 구라 2
- 요리-레시피 64
- 오프모임 196
- 나눔 2524
- 홍보 15
- 운영자공지 17
277 댓글
Comment Page Navigation
bn
2022-04-12 16:45:19
인플레 연동 본드가 9.62%라니 세상이 어떻게 되려나요.
도코
2022-04-13 08:44:23
이게 peak이길 바랍니다. 휴....
편안한마일여행
2022-04-12 18:46:11
오늘 여기저기 뉴스에 뜨는거보고 역시 마모성님들은 두발 빠르셔....라고 느꼈네요.
SAN
2022-05-02 13:30:13
저도 같은 생각했네요. 이래서 마모를 못 끊습니다.
비행기야사랑해
2022-04-12 18:59:07
엄청나네요. 1월에 이미 올해분 다 넣어서 더 넣을 돈 없는데..
이건 기뻐해야하는 상황인지 슬퍼해야하는 상황인지 모를지경이네요.
이자 더 많이 받는건 좋지만 모두를 위해서 제발 인플레이션이 좀 잡히면 좋겠네요.
도코
2022-04-13 08:41:03
1월에 넣으셨으면 어짜피 그 돈이 7월부터는 9.62% 받게 되니 잃는 거 없습니다. 그나저나 인플레 내려가면 좋겠다는 점에 깊이 공감합니다. ㅠ
비행기야사랑해
2022-04-13 08:43:44
인플레이션이 그만큼 심하다는 이야기여서 그게 슬프다는 거였어요.ㅜㅜ
매달 비슷하게 돈 쓴다고 생각하는데 점점 카드값이 많이 나오는 게 몸으로 느껴집니다.
검은수염
2022-04-13 00:31:56
작년 10월에 만불, 올해 1월에 만불 씩 샀는데 그럼 저같은 경우 9.62%를 몇월부터 적용받는 건가요?
도코
2022-04-13 08:42:58
Treasury Direct에 나온 정보입니다:
When does my bond change rates?
https://www.treasurydirect.gov/indiv/research/indepth/ibonds/res_ibonds_iratesandterms.htm
이것에 의하면 작년 10월에 사신거는 4월에는 여전히 7.12%였다가 10월에 9.62%로 올라가겠고, 1월에 사신거는 7월부터 9.62%로 올라가겠죠?
검은수염
2022-04-13 09:37:26
답변 감사합니다. 작년 10월에 산거는 22년 10월 한달만 9.62%를 적용받고 올해 1월에 산거는 7~12월까지 9.62%를 적용받는거군요
도코
2022-04-13 10:25:36
2022/10 - 2023/3 기간 동안 9.62% 받을텐데요.
검은수염
2022-04-13 13:45:36
2022/11월에 이자율이 업데이트 되니까 11월부터는 새 이자율이 적용되는줄 알았어요~좋은 소식이네요
하늘향해팔짝
2022-04-13 16:54:36
배우자가 인플레이션 본드 샀다고 해서 본드는 무슨 본드냐고 타박을 했는데 칭찬해줘야겠네요. 제껏도 사라고 해야겠어요.
케빈가넷
2022-04-18 13:46:41
지금 i bond 구매 계획중이라면, 4월에 사는것 보다 5월에 사는게 나으려나요?
4월에 사면 7.12%이 6개월 적용되고, 5월에 사면 9.62% 이 바로 적용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검은수염
2022-04-18 14:00:10
4월에 사시면 첫 6개월 7.12% 랑 다음 6개월 9.62% 가 고정되고 5월에 사시면 첫 6개월 9.62% 고정이고 다음 6개월은 11월 인플레이션에 따라 변동될거에요. 연말에 인플레이션이 어찌될지는 모르지만 저라면 그냥 (7.12+9.62)/2 = 8.37% 이자율을 보장받을 수 있게 4월에 살거같아요
코코아
2022-04-18 17:00:23
i bond 작년, 올해 총 2만불 들어는데, Roth IRA보다 수익이 좋을 것 같네요..
더 들어가고 싶은데 돈이 없는게 아쉽네요 (P2)
엣셋트라
2022-04-18 21:06:11
살짝 늦은 정보이긴 하지만, tax return을 받는 것으로 5천불까지 i-savings bond를 살 수 있습니다. 1인당 구매 가능 액수가 1년에 1만불인데, tax return으로 구매하는 5천불은 합산되지 않아서 이론적으로 1년에 1만5천불까지 (부부가 joint filing하신다면 부부합산 2만5천불) 구매가 가능합니다.
저도 처음 해봐서 몰랐는데, 살짝 당황스러운 것은 tax return으로 구매한 채권은 수표처럼 종이로만 오고 온라인 계좌에선 전혀 인식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이것을 온라인으로 conversion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온라인 계좌에 채권 정보를 입력하고 정보가 정확하다는 manifest에 사인해서 어디에 보내야만 온라인 계좌에 인식이 되네요. 아주 귀찮습니다....
쫄쫄이
2022-04-27 13:38:33
4월이 가기전 기프트로 만불 더 구매했어요. 구매하는 시점 이율 적용된다고해서 7.12% + 9.62% 이렇게 1년만 받아도 괜찮을 것 같아요. 추가 만불은 기프트로 더 살지, 주식에 투자할지 고민 좀 더 해보고 결정하려고 합니다. Gift 구매하시려는 분들은 아래 비디오 참고하세요.
https://treasurydirect.gov/indiv/tools/purchasing-a-gift-bond.htm
가자여행
2022-04-27 13:53:36
질문이 있는데 혹시 2022년 에 I-bond를 사게되면 거기에서 나오는 이자가 은행으로 들어오면 이걸 텍스 보고할때 "interest"로 계산이 되어서 최대에 tax rate 이 매겨지게 되는건가요? 예를들어, 최소 1년간 $10,000이 묶여 있고 지금 넣으면 대략 8% 정도에 ((~7% + ~9%)/2) 이자가 붙게 되고 그럼 1년간 약 $800불에 이자에 만약 최대 tax rate 이 MFJ 32%라고 하면 $800에 32%가 붙는건가요? ;;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 괜히 복잡해 보이네요..
도코
2022-04-27 16:39:50
I Bond의 경우 원하시면 일반 은행이자처럼 매년 세금만 report할 수도 있는데
더 일반적인 옵션은 cash out할 때까지 기다리면 그게 5년이든 10년이 되든, cash out하는 그해에 세금을 내는 방법이죠. 이런면에서 tax deferred개념으로 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라이트닝
2022-04-27 16:48:05
이자를 그냥 쌓고 안 받으시면 계속 복리로 이자가 붙고, tax deferred 효과가 있죠.
401k에 본드 비율을 I savings bond 사시는 만큼 줄이시면 은퇴계좌 불입량를 늘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30년 만기라 왠만하면 은퇴하실 때까지 가져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blueaurora
2022-05-18 18:37:23
혹시 401k의 맥스 리미트와 I savings bond가 연결되어 있나요? 저는 401k를 맥스로 넣고 있는데.. 이게 추후 세금보고시 문제가 될까요?
라이트닝
2022-05-18 19:13:36
연결된 것이 없습니다.
401k에서 본드 사시느니 i-Savings bond로 사시고, 그만큼 주식을 더 사시라는 것이죠.
blueaurora
2022-05-18 20:05:23
감사합니다. 당장 계좌 만들어 10k 넣어야겠어요!
가자여행
2022-04-27 17:57:10
감사합니다 도코님 라이트닝님. 쭉 가져가다가 이자가 내려가면 그때 팔던지 해야겠네요!
개미22
2022-04-28 04:05:16
작년 2만불 올해 2만불 샀는데
부부의 revocable Living trusts로 사면 각각 만불씩 더 살 수 있다 하네요. (참고: https://thefinancebuff.com/buy-more-i-bonds-treasury-direct-trust.html) 마침 만들어 놓은게 있어서 계좌는 열었는데 혹 주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초보눈팅
2022-05-01 21:25:18
2.5% 모기지 원금을 매달 조금씩 더 넣고 있었는데, 그 돈을 여기다 넣는게 더 이익일거 같은 느낌이네요..;;
(계산은 못 하는게 함정.. ㅠ.ㅠ)
KoreanBard
2022-05-02 07:49:17
CNBC 뉴스보면 오늘 (2022/05/02) 에 공식 rate 발표 할 거 같다고 하네요.
2022/5월 이전에 사셨던 분들은 7.12% 6개월 + 9.62%(예상) 6개월 받으실 거구요.
2022/5월 이후에 사실 분들은 9.62%(예상) 6개월 + 올해 11월 발표할 새 이율 6개월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도코
2022-05-02 08:08:04
동부시간 10시에 발표될거에요.
루21
2022-05-02 08:19:04
좋은 재테크 정보네요.
근데 이런 I saving bond는 어디에서 살 수 있나요?? 본드를 사 본적이 없어서.. 어디서 사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CaptainCook
2022-05-02 08:34:14
본문 보시면 어디서 살 수 있는지도 설명이 되어 있는데요...
코리얼티
2022-05-02 14:25:12
세이빙스 본드 구입하면서 공부한 내용들을 아래 글에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해보세요.
US Savings Bonds (Series I, Series EE) 총정리
본드 구입 방법에 대해서는 KoreanBard님 유튜브 영상에서 자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추가로 이 글타래에 도코님, 라이트닝님, 다른 마모 선배님들께서 달아주신 댓글 참고하시면 구입 결정하실 때 도움이 되실 겁니다.
happyear
2022-05-03 10:46:04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혹시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만 살수있나요?
iSavingsBond 사이트에 들어가보니,
Yes, if you have a Social Security Number and meet any one of these three conditions:
라고 되어있는데, US resident면 visa holder는 안되는걸까요? 딱히 "permanent resident"라는 말이 없어서요.
쎄쎄쎄
2022-05-03 11:27:13
저는 영주권자인데 시민권자인 남편은 바로 가입이 가능했지만 저보고는 정보를 찾을 수 없다며 form을 작성해서 보내라고 하더군요 은행증명..
AlphaBeta
2022-05-03 17:12:27
저는 비자 홀더인데 구매된 것 같습니다. SSN 있고 RA이면 된다는 것 같았어요.
KoreanBard
2022-05-02 09:04:38
공식 발표 나왔습니다. 9.62% 입니다.
이자율이 높지만 물가가 높아서 이렇게 나왔으니 조금은 씁쓸합니다 ㅠㅜ
https://www.treasurydirect.gov/indiv/research/indepth/ibonds/res_ibonds.htm#irate
도코
2022-05-02 09:49:08
빠른 업데잇 감사합니다!
Monica
2022-05-02 10:02:09
https://www.treasurydirect.gov/RS/UN-AccountCreate.do
여기서 은행 정보등 입력하고 어카운트 오픈하시면 어카운트 넘버가 이멜로 갈꺼에요.
https://www.treasurydirect.gov/RS/UN-Display.do
그담에 여기 가셔서 어카운트 번호 넣고 패스워드 직접 하나씩 스크린에 입력하시고
BuyDirect에 가셔서 , 꼭 Series I, 선택하시고 원하시는 금액 넣고 사시면 돼요.
Savings Bonds (NO Paper Savings Bonds)
Series EE - An accrual-type security with a fixed interest rate
Series I - An accrual-type security with a combination interest rate of a fixed and an inflation rate
샹그리아
2022-05-03 19:27:36
I bond 사는게 난이도가 좀 있어서 헤메는 중이었는데 친철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다시가자
2022-05-03 20:48:49
간략 친절한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덕분에 쉽게 오픈했습니다.
치사빤스
2022-05-03 13:27:19
series i bond를 사려고 하는데,
부부인 경우 어떻게 하시나요?
부부 이름을 하나씩 넣으면 될까요?
주식으로 피 넘치는거 안전하게 본드를 사려고 합니다.
개미22
2022-05-03 13:41:46
각각 개인별 계좌로 만불씩 입니다
치사빤스
2022-05-03 14:07:26
어쨌든 계좌는 두개를 열어야하는군요. 감사합니다.
라이트닝
2022-05-03 13:58:33
구입하시고 registration을 바꾸셔도 되고요.
Registration을 먼저 하시고, 구입하셔도 되긴 합니다.
Primary를 부부 각자의 이름으로 하시고, Second를 상대방 이름으로 하시면 상속 걱정 없이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치사빤스
2022-05-03 14:08:33
답변 감사합니다. 구입한후 second를 넣을수있는건가요? 계좌가 여기저기 너무 많아져서 좀 간소하게 하고싶었는데, 일을 벌리니 어쩔수가 없네요.
라이트닝
2022-05-03 14:12:26
구입 하신 후에 바꾸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default를 지정하면 다음 구매시 그 상태로 구입이 됩니다.
책상
2022-05-07 19:39:15
저도 비슷한 질문으로 도움 부탁드립니다
1. 레지스터를 추가해서 Registrant's name(s)에
o 제 이름 (preferred registration) with 남편 이름 (제 SSN, 남편 SSN)
o 제 이름 (제 SSN)
이렇게 두 항목이 떴습니다. 일단 제 이름 항목으로 구매한 다음에 남편을 레지스터 했는데요 (primary owner 선택으로)
이렇게 하는 게 맞나요?
2. 그리고 이제 남편이 하나 더 구매하려고 하면 지금 이 상태에서 저 둘 중에 남편 이름 있는 걸 선택해서 사면 되나요, 아님 남편이 새로 account를 터야 하나요?
주식도 폭망이고 이거라도 도움 되길 바라면서 저도 계좌 오픈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ㅠㅠ 도와 주세요~!
라이트닝
2022-05-07 21:23:35
남편분이 새로운 account에서 구입하셔야 하고요.
registration은 책상님을 같은 방법으로 넣으시면 됩니다.
다음해에 구입하실 때는 변경된 registration을 이용하시면 다시 바꾸시는 수고를 안하셔도 됩니다.
책상
2022-05-07 23:30:50
오, 답변 감사합니다!! ^^
Aristocrat
2022-05-11 10:29:30
Primary로 부부 각각 어카운트가 있습니다. Second라고 하시면 'Update My Registration List'에서 'Add Registration', 그 다음에 P2를 넣고싶으면 Primary Owner를 선택하는건지 아니면 Beneficary를 선택하는건지요?
라이트닝
2022-05-11 18:12:53
Primary owner말고 다른 owner가 있지 않나요?
https://www.treasurydirect.gov/indiv/research/indepth/ibonds/registeringibonds.htm
참고하세요.
Aristocrat
2022-05-11 20:34:43
답변 감사드립니다!
Smilee
2022-05-03 15:50:07
늘 발빠른 마모 정보 덕분에 제꺼는 무사히 (?) 샀는데 배우자 어카운트는 왜 바로 어푸르브가 안되고 홀드 이메일이 왔을까요 ?
이유는 밝힐 수 없지만 개인정보 확인에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2주나 혹은 더 걸릴 수도 있다는데 ...
저희는 아주 심플한 직장인들에 아무런 이슈 있을 것도 없는데 의외네요.
혹시 이런 경험 하신 분들 계신가요 ?
아리아나그란데
2022-05-03 15:57:27
저도 바로 승인 안되고 medallion stamp를 받으래서 고생 좀했어요. 레딧에 찾아보니까 랜덤인것 같아요.
Smilee
2022-05-03 17:09:25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선두반보
2022-05-03 17:50:00
여기 댓글에 있는 블로그(https://korealtyusa.com/us-savings-bonds/)를 보니, 구입 자격이 "US Savings Bonds는 미국 시민권자(U.S. citizen), 미국 영주권자(official U.S. resident), 미국 정부 근로자(U.S. government employee)만 구입할 수 있습니다." 라고 하던데요..
이 bond는 영주권자만 구입이 가능한건가요? 아니면 h1b 비자인 사람도 구매가 가능한가요?
코리얼티
2022-05-03 18:32:59
다시 사이트 체크해보니 미국 영주권자가 아니라 미국 거주자네요. 따라서 세법상 거주자이고 SSN이 있다면 구입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선두반보님, happyear님 감사드려요. 잘못된 부분 수정하였습니다.
시티투투
2022-05-03 22:51:23
본드를 구입했는데 확신이 안 들어서 여쭈어 봅니다.
첨부된 그림에 저렇게 나오면 된건가요? 더 이상 할것이있나요?
그리고 4월말에 구입했는데 5월이 되어 이자가 붙어 숫자가 변할것 으로 기대했는데 아직 원금만 표시되어 있어요.
어느 시점에 이자가 포함 될까요?
우찌모을겨
2022-05-04 12:45:45
3개월지나야 한다고 알고 잇습니다.
시티투투
2022-05-04 16:53:02
아 그렇군요. 댓글 감사드려요,
두손두발
2022-05-04 12:40:09
안녕하세요. 구입 자격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트레져리 사이트에서 확인하니, 아래와 같이 정리되어 있네요. 그럼 SSN이 없는 사람은 구매가 불가능한 걸까요?
Yes, if you have a Social Security Number and meet any one of these three conditions:
두 번째 질문은 18세 미만 아이의 경우, 부모의 어카운트에 마이너 링크로 연결해서 구매할 수 있다고 나오는데요,
여기 댓글에 보면 대부분 부부 두 분만 구매하시는 거 같네요. 혹시 아이 이름으로 구매하신 분이 계신가요?
OP맨
2022-05-05 00:52:51
저도 이부분이 궁금합니다. 부부+아이2 이면 연간 4만불까지도 가능한건지요?
도코
2022-05-05 08:51:43
소셜번호당 만불이기 때문에 가능하겠죠. 직접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알짜배기마일
2022-05-04 23:32:2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혹시 이미 은행 계좌로 리펀 받은 tax를 여기 넣을 수 있나요? 궁금합니다.
디디콩
2022-05-05 00:05:47
이게 입금하면 12개월동안은 출금을 못하잖아요?
그러면,
2022년 5월 구매 10,000은 당연히 2023년 5월 이후 출금이 가능하고,
만약
2023년 1월에 10,000을 추가로 구입하면, 이것은 2024년 1월까지 묶이는게 맞겠죠? 어카운트 opening 시점을 따르는 것이 아니구요? 그런 경우에 매년마다 출금을 한다 치면 매년 10,000씩만 뺄 수 있겠군요.
라이트닝
2022-05-05 00:45:24
처음 가능한 출금일로 하면 그런데요.
30년을 매년 구입하신 후 팔지 않으셨다고 가정한다면 29만불을 한 번에 찾으실 수도 있겠죠.
디디콩
2022-05-05 00:46:44
그렇게 해도 되겠군요! 라이트닝밈 항상 정보와 지식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꼬
2022-05-05 11:35:49
뜸들이다가 4월에 구매를 못했네요... 지금 하느니 11월 이자율 어떻게 될지 두고보고 구매하는것이 나을까요?
이번 5월 이자율도 4월중순쯤에 예상치가 떴던것 같더라구요.
도코
2022-05-05 11:44:31
제가 볼 때 이 문제는 11월의 이자율 보다는 "5월 부터 10월까지" 그 돈을 어떻게 저축/투자할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네꼬
2022-05-05 12:01:34
그렇겠네요.ㅎㅎㅎ 답변 감사드립니다. :)
astrokim
2022-05-05 13:51:45
앗 네꼬님 저랑 같은 생각을.. 일단 P2 꺼는 만불 넣어뒀는데(안전성향이라) 저는 어찌할까 5천불만 넣고 볼까 어쩔까 했는데.. 역시 도코님! 그쵸.. 본드 안 사면 저는 주식에 넣어둬야 할꺼 같은데 주식시장이 너무 난리여서.. 쉽지가 않네요ㅋㅋㅋㅋ 어디에 투자해야하나가 역시 어렵네요
라이트닝
2022-05-08 00:06:56
바뀌는 이자율이 걱정되신다면 2번 나누어서 6개월마다 5000불씩 하시던지, 2분이 구입하실 것이면 10000불씩 6개월 간격으로 구입하시면 되겠네요.
지나야날자
2022-05-05 13:06:18
저처럼 이런 메일 받으신분도 계신가요? 소셜번호 면허증 다 제대로 넣었는데 Submit 하고 이멜 확인하니 계좌번호와 함께 이런 내용의 메일이 와서 Bond를 살수가 없네요. ㅜㅜ 랜덤으로 이러는건지... 이유도 안알려준다고 하고...
Thanks again for opening a TreasuryDirect account. We are having difficulty verifying the information you provided when opening your account. We are not provided with any information related to issues with the account verification. The online application process is automated and the TreasuryDirect system attempts to verify information the customer provides with commercially available services. Only a Pass/Fail notification is returned to the TreasuryDirect system. The verification process does not involve your banking information or data from your credit report/rating. We cannot answer questions via phone calls or emails related to this topic.
For your protection and to help resolve any access issues with your account, please complete the account authorization form https://www.treasurydirect.gov/pdf/rs/acctauth.pdf
and mail it to Treasury Retail Securities Site, P.O. Box 7015, Minneapolis, MN 55480-7015.
A hold has been placed on your account that will prevent you from accessing your account. After we receive and approve the account authorization form, the hold on your account will be removed. The average approval takes 10-15 days but may be longer based on the volume of forms we receive. You will be notified by email when your account is authorized and ready to access. When you log into your account, check the Investor InBox section of your TreasuryDirect account for an important message.
도코
2022-05-05 13:24:19
간혹가다 이런 분들 계시더라구요. 특별히 잘못하셔서 그런게 아니라 그냥 verification이 잘 안되어서 그런 것 같더라구요. 첨부된 pdf를 은행에서 medallion signature받아 제출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지나야날자
2022-05-05 14:58:02
ㅜㅜ 네 그렇군요. 이거 처리 되는데 시간이 꽤 걸릴거 같네요....
행복추구
2022-05-07 19:20:55
제 와이프는 문제 없었는 데 저도 같은 메일 받고 아직 게을러서 일주일째 안 보내고 있네요.
세운전자상가
2022-05-10 18:37:5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작년 말에 샀는데, 또 사야겠어요.
277 댓글
Comment Page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