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모기지 Recasting 과 Refinancing 중 어느 것이 더 좋은 옵션인가요?

제이현, 2024-04-04 11:56:15

조회 수
1103
추천 수
0

여러 마모님들의 답글을 읽어보고, 대략 생각을 정리하였습니다.

사실 매달 $2,500 이자를 내는 상황이라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조급함이 있었습니다.

하루에 $80이 넘는 이자를 매일 지불하고 재산세나 집보험들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비용이 자동으로 나가는 셈이지요. 그래서 뭔가를 해야하겠다고 느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의 생각은 모기지 컨트렉은 그대로 두고 그냥 원금을 $ 350K 정도 납입하여 원금을 줄이는 옵션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리케스팅에 필요한 Fee도 아낄수 있고, 그냥 모기지 페이먼 해도 빡빡하기는 하지만 생활이 어려운 상황은 아니니,

그냥 당분간은 조금 지출을 줄이고 이렇게 버티는 것이 가장 좋은 옵션일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5-6년 후에는 조금 더 은퇴 준비에 집중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만약 1-2년 안에 이자율이 현저히 낮아진다면, 리파이넨싱에 드는 비용과 줄어드는 이자를 계산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관심 가지고 글 읽어주시고 정성스런 답글을 주신 마모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 이전 글 >---------------------------------------------------------------------------------

저의 모기지 어카운트 관한 질문입니다.

이번 달에 이전 집을 클로징 하면 목돈이 생겨서 모기지 이자라도 줄일까 하는 생각에 리파이넨싱에 관심이 있는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 지 잘 몰르겠네요. 

 

우선 저의 모기지에 계정에 관하여 설명드립니다.

지난 2월 29일에, 이전 집 (모기지 페이먼트가 끝난 상태)을 소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집을 30년 fixed-term 모기지로 구입하고 3월 초에 이사를 했습니다.

다 아시다시피 요즘 모기지가 높아서 거의 6.5% 가까운 이자를 내고 $ 500K 정도의 금액을 30년으로 모기지로 받았습니다. 한달에 거의 $ 3K 정도가 모기지 월 페이먼트로 나갑니다 (모기지에 내는 이자만 $ 2.5K 정도 되고요, Property Tax & Insurance는 모기지에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불가능한 페이먼은 아니지만 부담이 되기는 합니다.

새로 이사를 하니 가구 등등 구입해야 할 것도 많아서 지출은 자동으로 증가한 상태입니다. 

다행히 최근 이제 이전 집이 계약이 완료 되었고 이번 달 말일 경에 이전 집을 클로징 할 예정입니다 (인스펙션까지 다 끝났고 Cash Buyer입니다).

클로징을 하면 대략 $370K 정도의 현금 자산이 생깁니다.

이것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은 건지 잘 몰라서 글을 올립니다. 네가지 옵션을 고려중입니다.

 

옵션 1: 모기지 리케스팅 - 기존의 30년 모기지를 컨트렉트 변경없이 $300K ~ $350K 정도 미리 갚아 버리고 (모기지 리케스팅), 매달 나가는 모기지의 페이먼트 금액을 낮춘다. 모기지 이자는 변동이 없습니다만 원금이 줄게되니 매달 나가는 이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리케스팅 Fee는 $250 정도 예상됩니다). 물론 나중에 모기지 금리가 더 떨어지면 15년으로 리파이넨싱할 생각도 있습니다.

 

옵션 2: 모기지 리파이넨싱- $ 300K ~ $350K 정도의 자금을 투입하여 모기지 금액을 ($200K 이하로) 낮추고, 5월 중으로 지금의 모기지 어카운트를 15년짜리 고정금리로 리파이넨싱 한다 (원금을 줄이지 않고서는 15년 모기지는 받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15년 모기지 금리가 아직도 높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15년 고정 금리로 변경하면 모기지 금리가 조금은 낮아질 것 같습니다 (리파이넨싱을 할려면 $1,250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것 같습니다). 

 

옵션 3: 지금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 350K 정도의 자금은 CD나 금리가 좋은 Savings 어카운트에 넣어 두고, 올 여름 이후에 금리가 더 좋아지면 $ 500K를 다시 15년 고정 금리로 리파이넨싱 한다 (물론 이자율이 상당 수준 낮아져야 15년 모기지가 바로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금의 모기지 브로커는 모기지 금액이 높아야 자기가 더 좋은 금리를 제시할 수 있으므로, 올 여름경에 남은 전액을 리파이넨싱 한 뒤, 한 두달 후에 리케스팅하면 더 좋은 금리를 받을 수 있다고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그런데 이것(큰 모기지 금액을 리파이넨싱 해야 15년으로 변경시 좋은 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맞는 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나중에 자기 수수료를 많이 챙기기 위해서 제게 추천하는 방법인가요?

 

옵션 4: 새로 생긴 현금 자산을 다른 곳에 투자한다 (예를 들면 SP500 같은 스탁 마켓). 투자수익이 세금을 제하고도 모기지 이자를 넘어설 수 있을 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이 방법은 그냥 리스트에는 들어가 있지만, 심각하게 고려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가 이전 집은 리파이넨싱을 한 경험이 없어서,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금융쪽으로 지식이 많으신 마모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하지 못 하고 있는 다른 현명한 옵션이 있거나, 위의 옵션들 중에 놓치기 쉬운 문제점들이 있다면 지적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2 댓글

더리치

2024-04-04 12:13:23

최근에 리케스팅을 많이들 안해준다고 하는데, 리케스팅 가능한 곳이라면

1) 일단 리케스팅 하고,

2) 향후 이자율이 지금보다 많이 내려가면 refinance 할거 같습니다. (최소 1%~1.5% 이상 떨어지면 할거 같아요)

3) refinance 하실때 15년 vs 30년 고민하시면 될거 같고

4) 옵션3은 모기지 브로커 입장에서 하는 말 같은데, 굳이 올해안에 리파이낸싱을 서두르며 해야 할이유가 없어보여요

제이현

2024-04-04 21:41:41

의견 감사드립니다. 지금의 상황을 고려해보면 올해는 별로 이자율이 많이 내려갈 것 같지가 않아서 리파이네스 할 필요가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우리동네ml대장

2024-04-04 12:17:36

오랜 기간 지나서 보면 옵션4가 가장 좋은 선택이었을 가능성이 크긴 한데요. 그만큼 위험이 따라서 섣불리 선택하기 힘든 옵션이긴 합니다.

일단 목돈을 그냥 놔두는건 좀 아쉽고요.

MMF들이 5% 주는데 6.5% 나가는 모기지 이자를 놔두고 MMF에 넣어두는 것도 좀 아쉬운 일이긴 합니다.

옵션 5번으로 일단 현재 모기지에 원금을 줄이고 recast 도, refinance 도 하지 않고 월 납입금을 내면서 상황을 지켜본다 이거는 어떨까요?

이러면 월 납입금에는 차이가 없지만 이자 포션이 줄어들고, 내는 돈의 대부분이 원금 까이는데 들어가기 때문에 손해는 아닙니다.

recasting이야 수백불 비용 발생하고 끝이지만, refinance는 적어도 수천불 정도의 추가비용이 발생하거든요. (이 비용이 여기저기 녹아있어서 잘 보이진 않을 수 있습니다만)

제이현

2024-04-04 21:47:16

4번 옵션이 좋을 가능성이 가장 많기는 하지요. 하지만 $500K 빚이 있는데, 다른 곳에 투자를 한다는 것이 저의 투자성향과 조금 거리가 있어서 선뜻 택하기 어렵네요. 

말씀하신 것으로 옵션 5번도 생각 중입니다. 현금을 모기지에 넣어서 원금을 최대한 줄이고 Recast나 refinanace 없이 그냥 모기지 내면서 버티다가 이자율이 많이 떨어지면, 그때 남은 금액을 라파이네스를 고려해 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맥주한잔

2024-04-04 12:23:23

이런 경우엔 뭐가 최선일지 확신이 안들고 선택하기 어려울땐

뭐라도 저지르는게 답이 아니라

아무것도 안하고 있는게 정답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매달 높은 이자를 내는걸 30년간 하는게 아니라

지금 상황을 보면 1년뒤 또는 2년뒤가 되면 어느쪽이든 최선의 선택이 뭐다 라고 가닥이 잡힐거 같은데

그때까지만 높은 이자를 부담하면 되는거지요.

1년 내지 2년간 이자좀 많이 내더라도, 리파이낸스 하느라 이런저런 비용 왕창 들어가는거랑 비교하면 별로 큰 액수가 아닐수도 있어요.

제이현

2024-04-04 21:51:39

중요한 일을 서둘러서 결정하지 말고 좀 지켜보라는 조언 감사합니다. 너무 급하게 결정하지 않도록 주의하겠습니다.

조금 시간을 가지고 리파이넨싱 비용을 들이는 것이 과연 좋은 결정인지 심사숙고해 보겠습니다.

WR

2024-04-04 12:47:17

$ 3K 정도 모기지 페이먼트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부담된다고 하셨죠?ㅎ 저같으면 부담스런 상황을 버틸거 같아요. 불가능한건 아니니까요.

지금 3k 중에, 원금 $500, 이자 $2,500인 상황인데요. 모기지 그대로 두고, 원금350k 를 갚을거 같아요. 그럼 모기지 3k는 그대로 나가지만 원금 $2300, 이자 $700 정도로 구성이 변합니다. 이 상황에서 대략5-6년정도 버티시면 모기지 끝나고, pay off 된 집을 보유하시게 됩니다. 원금을 많이 내셨기 때문에30년 모기지를 5-6년 정도로 확 줄이는 효과가 생기죠. 

 

50만불 모기지를 6.5% 이율로 30년동안 갚으면 이자만 63만불이 넘어요.

그런데 350k 를 원금으로 내버리면, 그 후 5-6년동안 내는 모기지 이자의 총 합은 대략 3-4만불 정도일거에요. Equity 가 많이 있기 때문에 급한 경우 HELOC을 하시기도 좋을거에요.

 

금융이나 부동산을 이용한 사업 (렌트, BRRR, Airbnb 등등)에 정통하신 분들이라면 훨씬 더 다양한 옵션으로 risk 를 감수하면서 더 큰 수익을 만들어 내실수 있을거라 생각해요. 근데 질문자분께서 이런 사항으로 고민하신다는것 자체가, 비즈니스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을 추구하시는 분은 아닌것 같아요. 그렇다면 이자 비용을 줄이는게, 전체적인 자산 형성에 더 도움이 될거라 생각해요.

 

370k 짜리 pay off된 집을 갖고 계셨다는것만 해도 엄청 잘하신 거에요.  암튼 개인의 상황이 다 다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ㅎ

제이현

2024-04-04 21:59:05

자세한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매달 $2,500 이자를 내는 상황이라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네요. 하루에 $80이 넘는 이자를 지불하고 재산세나 집보험들을 고려하면 사실 매일 호텔에서 지내는 비용이 나가는 셈이지요.

모기지를 그대로 두고 원금을 350K 정도 줄이는 옵션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리케스팅 해서 Fee를 버리는 것 보다는 그냥 모기지 페이먼 해도 빡빡하기는 하지만 생활이 가능한 상황이니 그냥 당분간은 이렇게 버티는 것이 가장 좋은 옵션일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나중에 리파이넨싱에 드는 비용과 줄어드는 이자를 계산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지금 무언가를 하는 것 보다는 현명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말씀하신 것 처럼, 제가 현금이 생겨도 비즈니스등을 시작할 만큼 도전 정신이 넘치는 사람이 아니라서 이자비용을 줄이는 것이 좋은 옵션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띵가

2024-04-04 12:47:42

일단 금리가 언제 얼마나 내려갈지가 불명확한게 결정하기 힘들게 만드는거같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바로는 작년에 연준에서 올해 0.25씩 3번정도 금리인하한다고 했는데 몇일전에는 신중하게 검토한다하고 1번만 인하할수도 있다고 말하기도하구요.

그래서 저는 앞으로 갑자기 금리가 눈에띄게 바뀔려면 시간이 꽤 오래 걸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옵션4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고 얘기하시는걸로 봐서는 안정적인걸 원하시는게 커보입니다. 

심리적으로 원하시는 금액만큼 모기지를 납부하시려면 얼마를 투자해야하는지 체크하시고 그만큼만 납부하시고 나머지는 세이빙 하시는건 어떨까요?

제이현

2024-04-04 22:01:31

조언 감사드립니다. 개인적으로는 모기지 이자를 줄이는데 사용하기를 원하는 금액이 투자를 위해 남겨두는 금액보다는 훨씬 클 것 같아요.

하지만 적당히 나누어서 부담을 줄이며 투자를 늘리는 옵션도 고려해 보겠습니다. 

아싸리요

2024-04-05 10:35:46

안녕하세요, 저도 비슷한 상황이라서 계속 고민중이었는데, 원금을 갚는 방법은 생각을 못했어요. 투자성향도 저랑 비슷하셔서 같이 많은 고민을 하고 도움도 얻고 갑니다.

저는 택스랑 보험도 합치면 한달에 $4k가 나가고 있어서 월페이먼트 줄이는것만 신경쓰고 있었는데, 실제로 계산을 해보니 향후 5-6년간 나가는 이자비용에는 recast해도 원금을 갚아도 크게 차이가 없더라고요. 물론 약 1-2만불 차이가 있고, saving 이율(현재 4.4%)이 향후 낮아진다면 차이가 더 커질것으로 생각됩니다만.

22년도에 6.375%에 계약하면서 1-2년있음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니 그때 리파이낸스하자고 한게 벌써 2년이 지나가버렸네요...

리캐스트하고 월페이먼트를 줄여서 다달이 세이빙을 더늘리는 것보다는 차라리 원금을 갚는게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이현

2024-04-05 13:16:04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쁩니다. 저도 원금을 갚고 그냥 버티는 것은 놓치고 있었네요. 그래서 뭔가를 해야 한다고만 생각했거든요.

리파이낸스를 하려면 수수료가 많이 나가니, 그냥 버티다가 이자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시점을 노리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목록

Page 1 / 1037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5907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59415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142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3825
new 20736

16oz 고구마 칩 큰백이 어디 코스트코에서 살수 있나요?

| 질문-기타 9
  • file
atidams 2024-05-29 832
updated 20735

동생 남편감 찾습니다 (공개구혼)

| 질문-기타 83
풍선껌사랑 2024-05-27 13465
updated 20734

테슬라 모델 y 같은차로 트레이드인 하신분 계실까요?

| 질문-기타 22
사장박 2024-05-25 3044
updated 20733

애플워치로 존2 훈련해보신분들께 심박수 구간 설정 질문드려요

| 질문-기타 12
자본가 2024-05-28 797
updated 20732

뉴저지 한국 고기집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질문-기타 27
49er 2024-05-26 2020
updated 20731

Charles Schwab Checking Referral 부탁

| 질문-기타 100
kuel 2016-12-07 5010
new 20730

US Mobile Flex plan 어떤가요?

| 질문-기타 3
  • file
CreditBooster 2024-05-29 317
updated 20729

드림백(UPS-현대해운) 운송중 분실 대처 방안 문의

| 질문-기타 4
대학원아저씨 2024-05-28 916
updated 20728

허츠 렌트: 공항이 아닌 호텔에서 빌릴 경우 업그레이드 가능성?

| 질문-기타 10
단거중독 2024-05-28 829
updated 20727

조깅 처음 시작해 봤는데 도무지 모르는 거 투성이네요. 도와주세요.

| 질문-기타 13
두와이프 2024-05-28 2066
updated 20726

어린이 스마트워치 가입은 어떻게들 하세요?

| 질문-기타 19
보스turn 2024-05-28 1016
updated 20725

밥솥 추천 부탁드립니다!

| 질문-기타 70
grrng 2024-02-19 3303
updated 20724

[차 리스] 뉴욕 지역 audi 2024 S5 Sportback prem plus 가격 굳딜인가요?

| 질문-기타 17
레딧처닝 2024-05-28 1319
updated 20723

한국 OpenVPN 설정 성공하신분 계신가요?

| 질문-기타 20
  • file
강태공 2022-08-01 3007
updated 20722

데스크탑 컴퓨터: 마우스와 키보드가 동작이 너무 느립니다

| 질문-기타 15
  • file
다비드 2024-05-28 1201
updated 20721

(텍사스) 전기회사 추천 부탁드려요

| 질문-기타 24
노력한만큼얻는다 2018-06-18 3284
updated 20720

LA -> 한국 면세점 주류 구입 및 추천 질문!

| 질문-기타 18
  • file
달리는개발자 2024-05-23 2072
  20719

병원 보험비 out of network 청구관련

| 질문-기타 1
sanitulip 2024-05-29 435
  20718

인천공항에서 리무진 콜벤 서비스업체

| 질문-기타 17
흙돌이 2024-05-03 1621
  20717

밤마다 하루살이같은 벌레들이 대량 죽어있습니다

| 질문-기타 3
라따뚜이 2024-05-28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