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이직/이사, 은퇴지 선정 등에 참고가 될 만한 state taxes by state

안단테, 2024-05-23 12:14:29

조회 수
4671
추천 수
0

이직이나 이사를 하게 되면 가지 선택지를 놓고 고민을 많이 하게 됩니다.   우선적으로 income 함께 state tax 고려하게 되는데요, 이걸 알아보다 보니 tax 종류도 많구나 싶습니다한걸음 나아가 미래의 은퇴를 염두 하게 되는 경우에는 고려 해야 많아 지겠지요

 

이런 저런 데이타 들을 눈에 비교 있는 테이블이 있을까 싶어 찾아 봤습니다만, 마땅한 것을 찾지는 못했고요, 다행이 단일 항목 별로는 데이타 들이 있어서, 그것들을 추려서 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처음에는 state 사이트로 들어가서 하나 하나 찾아 보았는데, 도저히 능력 부족과, 그에 따른 시간 소비가 과다하여 8 정도 하다 포기했구요, 구글링 하면서 알게된 몇 개의 사이트에서 자료를 발췌 보았습니다.  (taxfoundation.org, Kiplinger.com, madisontrust.com, forbes.com, etc.)  

 

말씀드린 바와 같이 자료는 공신력과 전문성은 없습니다 항목별 자료 싯점도 일치하지 않아 절대 수치가 조금씩 틀릴 수도 있을 같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쉽게, 각 state별 상대 비교 정도는 할만한 듯하여 올려 봅니다흥미로만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Income tax Sales tax Property tax Retirement income Death tax Gas $
  MFJ - Highest St+Lc avg avg effective  median($K)   tax paid($)  S.S. Pension 401k, IRA Estate Inheritanc Rank
Alabama 5.00%   9.25% 0.39%           275        1,073 0.00% 0.00% Taxable 0.00% 0.00% 43
Alaska 0.00%   1.76% 1.22%           363        4,429 0.00% 0.00% 0.00% 0.00% 0.00% 6
Arizona 2.50% Flat 8.37% 0.63%           435        2,741 0.00% Taxable Taxable 0.00% 0.00% 7
Arkansas 4.40%   9.46% 0.62%           256        1,587 0.00% Taxable Taxable 0.00% 0.00% 49
California 13.30%   8.82% 0.71%           787        5,588 0.00% Taxable Taxable 0.00% 0.00% 1
Colorado 4.40% Flat 7.78% 0.55%           612        3,366 Partially Partially Taxable 0.00% 0.00% 32
Conneticut 6.99%   6.35% 2.15%           387        8,321 Partially Partially Partially Yes 0.00% 14
Delaware 6.60%   0.00% 0.58%           342        1,984 0.00% Partially Partially 0.00% 0.00% 27
Florida 0.00%   7.02% 0.82%           402        3,296 0.00% 0.00% 0.00% 0.00% 0.00% 28
Georgia 5.39% Flat 7.40% 0.92%           366        3,367 0.00% Partially Partially 0.00% 0.00% 30
Hawaii 11.00%   4.44% 0.29%           750        2,175 0.00% 0.00% Taxable Yes 0.00% 2
Idaho 5.80% Flat 6.02% 0.63%           470        2,961 0.00% Partially Taxable 0.00% 0.00% 9
Illinois 4.95% Flat 8.82% 2.11%           272        5,739 0.00% 0.00% 0.00% Yes 0.00% 8
Indiana 3.15% Flat 7.00% 0.84%           250        2,100 0.00% Taxable Taxable 0.00% 0.00% 15
Iowa 5.70%   6.94% 1.49%           229        3,412 0.00% 0.00% 0.00% 0.00% Yes 44
Kansas 5.70%   8.66% 1.35%           259        3,497 Partially Taxable Taxable 0.00% 0.00% 47
Kentuchy 4.50% Flat 6.00% 0.83%           250        2,075 0.00% Partially Taxable 0.00% Yes 35
                         
  Income tax Sales tax Property tax Retirement income Death tax Gas $
  MFJ - Highest St+Lc avg avg effective  median($K)   tax paid($)  S.S. Pension 401k, IRA Estate Inheritanc Rank
Louisiana 4.25%   9.55% 0.56%           243        1,361 0.00% Taxable Taxable 0.00% 0.00% 48
Maine 7.15%   5.50% 1.28%           392        5,018 0.00% Partially Taxable Yes 0.00% 19
Maryland 5.75%   6.00% 1.06%           410        4,346 0.00% Partially Taxable Yes Yes 22
Massachusetts 9.00%   6.25% 1.14%           601        6,851 0.00% Taxable Taxable Yes 0.00% 20
Michigan 4.25% Flat 6.00% 1.38%           253        3,491 0.00% Partially Partially 0.00% 0.00% 21
Minnesota 9.85%   7.49% 1.05%           338        3,549 Partially Taxable Taxable Yes 0.00% 40
Mississippi 4.70% Flat 7.07% 0.67%           258        1,729 0.00% 0.00% 0.00% 0.00% 0.00% 51
Missouri 4.80%   8.33% 0.91%           258        2,348 0.00% Partially Taxable 0.00% 0.00% 42
Montana 6.50%   0.00% 0.83%           530        4,399 ? Taxable Taxable 0.00% 0.00% 26
Nebraska 5.84%   6.95% 1.67%           282        4,709 0.00% Taxable Taxable 0.00% Yes 39
Nevada 0.00%   8.23% 0.59%           437        2,578 0.00% 0.00% 0.00% 0.00% 0.00% 5
New Hampshire 0.00% 3%-int&div 0.00% 1.93%           470        9,071 0.00% 0.00% 0.00% 0.00% 0.00% 24
New Jersey 10.75%   6.60% 2.47%           494      12,202 0.00% Partially Partially 0.00% Yes 23
New Mexico 5.90%   7.72% 0.80%           365        2,920 0.00% Partially Partially 0.00% 0.00% 34
New York 10.90%   8.52% 1.72%           490        8,428 0.00% Taxable Taxable Yes 0.00% 12
North Carolina 4.50% Flat 6.99% 0.82%           363        2,977 0.00% Taxable Taxable 0.00% 0.00% 33
North Dakota 2.50%   6.97% 1.00%           334        3,340 0.00% Taxable Taxable 0.00% 0.00% 36
Ohio 3.50%   7.24% 1.43%           235        3,361 0.00% Taxable Taxable 0.00% 0.00% 17
Oklahoma 4.75%   8.98% 0.90%           235        2,115 0.00% Partially Partially 0.00% 0.00% 50
Oregon 9.90%   0.00% 0.93%           502        4,669 0.00% Taxable Taxable Yes 0.00% 4
                         
  Income tax Sales tax Property tax Retirement income Death tax Gas $
  MFJ - Highest St+Lc avg avg effective  median($K)   tax paid($)  S.S. Pension 401k, IRA Estate Inheritanc Rank
Pennsylvania 3.07% Flat 6.34% 1.41%           276        3,892 0.00% 0.00% 0.00% 0.00% Yes 10
Rhode Island 5.99%   7.00% 1.53%           467        7,145 Partially Partially Partially Yes 0.00% 18
South Carolina 6.40%   7.43% 0.53%           371        1,966 0.00% Partially Partially 0.00% 0.00% 41
South Dakota 0.00%   6.40% 1.17%           307        3,592 0.00% 0.00% 0.00% 0.00% 0.00% 38
Tennessee 0.00%   9.55% 0.66%           368        2,429 0.00% 0.00% 0.00% 0.00% 0.00% 45
Texas 0.00%   8.20% 1.63%           348        5,672 0.00% 0.00% 0.00% 0.00% 0.00% 46
Utah 4.65% Flat 7.19% 0.57%           566        3,226 Taxable Taxable Taxable 0.00% 0.00% 13
Vermont 8.75%   6.30% 1.90%           394        7,486 Partially Partially Taxable Yes 0.00% 16
Virginia 5.75%   5.75% 0.87%           413        3,593 0.00% Taxable Taxable 0.00% 0.00% 29
Washington 0.00% 7% - LTCG 8.86% 0.94%           602        5,659 0.00% 0.00% 0.00% Yes 0.00% 3
West Virginia 5.12%   6.55% 0.55%           285        1,568 0.00% Taxable Taxable 0.00% 0.00% 25
Wisconsin 7.65%   5.43% 1.73%           298        5,155 0.00% Taxable Taxable 0.00% 0.00% 31
Wyoming 0.00%   5.36% 0.56%           317        1,775 0.00% 0.00% 0.00% 0.00% 0.00% 37
D.C. 10.75%   6.00% 0.57%           626        3,568 0.00% Taxable Taxable Yes 0.00% 11

 

State income tax  :  ‘Flat’ 마크 곳은 단일 세율이고, 지역은 MFJ 기준 bracket 최고 세율을 표시 했습니다

 

Sales tax  :  소비 때마다 내고 있으니, 인지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요.

 

Property tax  :  세율만 가지고는 실제 어느 정도의 세금을 내는지 판단하기 어려워, median home price 가격을 가져와 세율을 적용하고, 실제 납부하게 되는 ‘tax paid’ 값을 표시 봤습니다모든 값이 평균값, 중위값에 기준 것이니, 맨해튼이나 silicon valley  처럼 state 평균에서 먼 곳은 별도로 감안 하셔야 겠습니다

 

Retirement income  :  특히 Traditional 401k, IRA 고액을 달성 하신 은퇴자 분들께는 state 세제가 중요 같습니다

 

Death tax  :  고액의 자산가에게만 적용된다고 생각하기에는, 주에서 그리 남의 이야기 만은 아닌 합니다.  detail 알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Gas price  :  제품 자체가 tax 생각되서 개인적 호기심에 붙여 보았습니다계속 변동되는 가격을 표시 없어, 가격에 따른 state ranking 대신 표시 하였습니다

 

어느 state에서나 세율, 세제가 계속 변경되고, 예외 조항, 기간 한정 특별 조항, 면제 조항 등이 수시로 변하니, 관심이 가는 state 대해서는 면밀히 살펴 보아야 합니다같이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54 댓글

노마드인생

2024-05-23 12:25:36

흥미로운 통계정보 감사합니다

안단테

2024-05-23 15:44:00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전CNS

2024-05-23 12:38:45

뉴욕은 저 Property Tax에 School Tax (약 2% 정도)를 더 내야 해요

안단테

2024-05-23 15:44:1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KeepWarm

2024-05-23 15:49:39

+ citi tax가 추가로 붙을수도 있죠..

개골개골

2024-05-23 12:44:56

재미있는 정보 감사합니다.

 

요 며칠 전에 읽었던 뉴스인데, 여러가지 데이터를 총합해서 실제 거주자의 average tax burden을 계산했다네요 (얼마나 정확한지는...)

 

https://www.visualcapitalist.com/visualizing-the-tax-burden-of-every-u-s-state/

Tax-Burden-by-State_Site.jpg

 

딴건 모르겠고 CA NY가 아주 색깔이 시뻘겉네요 ㅋㅋㅋ

 

한가지 생각해볼꺼는 돈을 한참 벌때는 income tax거의 없는 주가 엄청 유리하구요. 은퇴후에는 상황에 따라서는 오히려 income tax rate은 높아도 다른 혜택이 많은주가 아주 나쁘지 않을수도 있어요.

 

남쪽

2024-05-23 13:48:04

You get what you paid for!

안단테

2024-05-23 15:53:05

예, 저도 이 그림 보았습니다.  버든을 좀 더 디테일 하게 볼 수 있다면 각자가 느끼는 체감은 좀 다르지 않을까 싶더군요.  비슷한 데이터로 이런 것도 있기는 합니다.   https://www.madisontrust.com/information-center/visualizations/what-is-the-most-taxed-state/

 

CA, NY가 뻘건 건 선진 state에 사는 비용인가봐요, G7 들 세금 높듯이요.  

 

Income tax 높은 state는 복지가 좀 더 좋겠지요.  은퇴자에게는 현역때만큼 income tax에 대한 민감도가 높지 않으니, 적은 tax 내고 복지 좋은 곳에 사는 것이 좋다는 말씀에 동감합니다.  

Dan

2024-05-24 10:09:19

뉴욕주가 세율은 높지만 59.5세가 지나면 Traditional IRA에서 매해 2만불까지는 세금없이 뺄 수 있구요. SALT 감면법이 바뀐이후 부터는 Property Tax 전액을 다 세금에서 감면해주기에 꽤 큰 금액만큼 일단 감면되기에 실제 세율은 좀더 낮을 수 있습니다. 

우리동네ml대장

2024-05-23 12:44:33

City income tax 도 빠져있네요. 어떤 도시들은 3% 에 달하기도 합니다.

안단테

2024-05-23 15:53:2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빨간구름

2024-05-23 12:45:15

굉장히 재미있는 데이터네요.  예전에는 프로퍼티 와 인컴택스 만을 고려해 봤는데 개스 가격도 재밌는 지표네요. 

안단테

2024-05-23 15:54:35

Gas 가격이 전체 소비에서 그렇게 큰게 아닌데도...  펌프 앞에 설 때마다 손이 덜덜 합니다.  

어리버리

2024-05-23 13:10:33

항상 이렇게 비교해보고 싶었는데 정말 감사드립니다. 보자마자 바로 저장 했습니다.

안단테

2024-05-23 15:54:53

공감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완벽한타인들

2024-05-23 13:55:29

Illinois Property Tax 가 높은건 알고있었지만 실제 다른주와 비교해서보니 더욱더 와닿네요. 도대체 IL 의 preperty tax는  왜 이렇게 높은걸까요??:(

Opeth

2024-05-23 14:15:33

IL 열심히 하라고.. 앗차차

사벌찬

2024-05-23 15:37:32

ㅋㅋㅋㅋㅋㅋㅋ

안단테

2024-05-23 15:58:25

IL 가 tax rate이 높은 대신 집값이 reasonable 하니 실제 payment이 아주 많지는 않아 보이네요.  그래도 중상위 권 수준이니 부담스럽기는 할 거 같습니다.  

엠디수기

2024-05-23 13:55:55

재밌는자료네요.. 요즘 미국에서 텍사스가 가장 급성장중이고 인구와 자본이 몰려든다고 미디어에서 많이들 얘기하던데 큰 장점중하나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생활비와 0% 인컴텍스라고들 하더라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tax burden이 아주 낮지는 않을걸로 보아 인컴텍스대신 다른곳에서 세수를 확보하나봅니다 ㅎㅎ

안단테

2024-05-23 16:01:27

집 값은 reasonable 하지만 rate이 높아 세수가 적지 않을 것 같고, sales tax 또한 높은 수준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Texas에 기업들이 많이 몰리니 거기서 오는 세수도 많을 것 같습니다.  찾아 보니 'gross receipt tax' 라는 방식으로 적지 않게 세수를 올리는 것 같습니다.   

재마이

2024-05-24 08:51:55

'켈리보다' 저렴한 생활비가 생략된 거죠 ㅎㅎ 보통 켈리기업들이 텍사스로 많이들 가니까요.

재마이

2024-05-23 15:39:48

메릴랜드 같은 경우는 대개 소득 3%의 카운티세를 아무 공제 없이 내기 때문에 제경우는 실제 소득세 부담은 뉴욕주(뉴욕시, 용크 제외) 보다 더 높습니다.

안단테

2024-05-23 16:04:38

아, 위로와 함께, 그 만큼 더 소득이 늘어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Navynred

2024-05-24 08:39:35

버지니아에서 메릴랜드로 이사가야하는 사람인데 카운티 텍스 왜 내야 하는건가요 ㅜㅠ 세율이 어마무시 하네요..

재마이

2024-05-24 08:49:45

저도 아무도 말해주지 않아서 이사간 후에도 3달 후에나 알았어요.... 다들 '응? 그거 다른데도 다 내는 거 아니에요?' 그런반응... 심지어 물값도 예전동네보다 5배는 더 내고 있는데 여기가 버지니아보다 쪼끔 싸다고 싼 줄 알더군요..

엠디수기

2024-05-24 20:38:55

타주에서 멜랜드 오시는 분들이 세금높다고 하시는 말씀 많이 들었는데, 카운티텍스를 당연히 내왔던 사람으로서 이게 없는 주들도 꾀나 되나 보네요~이사가야하나 ㅎㅎ

FutureCEO

2024-05-25 15:21:19

그리고 재산세에 여러가지 붙어서 실제로는 1.5% 내는거 같아요. 전 Assessment 하고 계산해보니 1.49% 정도 내네요.

 

또 하나 놀란건 county public school system  budget 이 $1.2B 넘는다는거요...

루시드

2024-05-23 17:46:11

뉴저지 프로퍼티 택스 ㅠㅠ 타운마다 다르긴한데 3%인데도 많아요. 1M 집이라면 일년에 보유세만 3만불이라니...

안단테

2024-05-23 22:44:3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Martian

2024-05-24 13:36:15

프로퍼티 텍스가 높긴 하나 집 value를 기준으로 tax assessment를 하진 않죠..

루시드

2024-05-24 20:48:12

그렇긴한데 시장 밸류가 1M이면, 택스 산출하는 타운 등록 집가격이 7~800K정도는 하는거 같아요. 거꾸로 1M기준으로 택스 부과한다면, 실제 집 밸류는 1.5M가까이 하겠죠.

샹그리아

2024-05-26 07:34:56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실거래가보다 Tax assessment 가 높은 곳도 있어요. (집 값 떨어진 경우) 매해 어필하느라 힘듭니다. 

BBB

2024-05-23 18:21:42

잘 정리된 좋은 자료네요.

 

저도 요즘 이사갈려고 열심히 비교해보고 있는데, 개인이 처한 상황이 달라서 결국은 직접 계산해봐야 하더라고요.

예를들어, state income tax의 경우 highest rate 으로는

캘리포니아 - 13.3%, 뉴욕 - 10.9%, 오리건 - 9.9%

50만불 MJF 기준으로 effective tax rate은

캘리포니아 - 7.8%, 뉴욕 - 6.03%, 오리건 - 9.11%

10만불 MJF 기준으로 effective tax rate은

캘리포니아 - 2.69%, 뉴욕 - 4.48%, 오리건 - 7.76%

 

지역마다 추가적인 local tax가 있는 곳도 있고, 프로퍼티 택스의 경우도, 비슷한 동네에서도 rate이 다르고 집의 연식에 따라 assesment 가격차이가 너무 커서 비교하기 어렵더라고요. (30년된 1M집 vs 새로지은 1M집)

어쨋든, 일반적으로는 전체 income에 적용되는 income tax대비 sales tax의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인컴이 많은 시점에는 인컴택스 높은 쪽이 좀 불리해 보이긴 합니다. 보통 인컴택스가 없는 주는 세일즈택스나 프로퍼티 택스 등이 높아서 대충 세금부담이 비슷해 지는 경향이 있긴한데, 인컴이 높다면 결국 인컴택스가 dominant 해지더라고요.

근데 지금 이사를 생각한다면 가장 큰 고려사항은 모기지 이율 같습니다. 집을 소유하고 있고, 낮은 모기지 이율 (2%대)을 받은 상태면서, 현재 사는 집 팔고, 새로 사서 이사가게 된다면 모기지 이자 차이 때문에 세금으로 얻는 혜택을 다 까먹을 수 있겠더라고요.

안단테

2024-05-23 22:46:17

예, 동의 합니다.  bracket이 있는 주는 꼭 자신에게 적용되는 rate를 찾아 계산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적절한 예시를 통한 길라잡이, 감사합니다. 

Skywalk

2024-05-26 12:23:17

+1000 동의 합니다.  

 

실제로 가주 주민의 절반이 state income tax를 내지 않는다고 하네요.  Highest tax rates는 상위 0.01%만 해당되는데 그 넘버들만 비교한 차트만 보고 판단하면 놓치는게 많습니다.  Median effective tax rates 을 보면 오히려 가주는 state income tax rates이 있는주 중에서 낮은편입니다.   Sales taxs 도 높지만 Groceries 은 해당이 안되고, 재산세도 1.2%에 Prop 13 ceiling cap (2% increase annually) 있어서 백만불집에 매년 천불도 안되는 재산세도 안네는 이웃도 봤습니다.  장보는 물가도 가주에서 농산업이 발달하고 멕시코랑 가까워서 오히려 장바구니 물가가 다른주보다 저렴하구요.  한국에서 들어오는 물건들은 말할것도 없구요.  저라면 일조량 좋고 날씨 좋은 남가주도 고려 해볼꺼 같습니다. 

노부부

2024-05-23 21:34:30

2

은퇴하는 사람에게는 플로리다가 최고인듯 보입니다.

인컴텍스도 없고, death tax 도 없고..

그래서  겨울이 따뜻한 이유도 있겠지만 세금 때문에 은퇴하는 사람들이 플로리다로 많이가나봅니다.

라스베가스가 있는 네바다 주도  세금이 없군요, 텍사스도  없군요.

텍사스가 프로퍼티 택스가 제일 높은 줄 알았는데, 뉴저지가 제일 높네요.

한 눈에 볼 수 있는 자료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단테

2024-05-23 22:48:46

그러게요.  은퇴자 뿐 아니라 타이거 우즈도 가고, 제프 베조스도 가고...  장점이 많아서겠지요?   잠시나마 흥미롭게 보셨다니 제가 감사 드립니다. 

Dan

2024-05-24 10:21:29

얼마전 유투브에서 본건데 말씀하신 이유에 더해서 플로리다내의 본인 집에 대해서는 Liability가 면제되는것도 큰 이유라고 하네요. (플로리다 집은 따로 umbrella policy를 들지 않아도 됨). 주법에서 막기 때문에 뭐가 되었던 본인 집 보전은 안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런 저런 숫자들로 유불리가 갈리지만 결국은 내가 속해있는 집단(친구/친척 등) 부근에서 정착하는게 가장 일반적인거 같은데 (요것도 연령대 / 에너지 레벨에 따라 다르겠죠) 그나마 플로리다는 이미 은퇴 커뮤니티도 잘 구성되어있고 정치적으로도 적당한 50:50을 유지하는 주에 인구도 늘어나는 주다보니 일단은 형편만 된다면 은퇴할때 1순위 주라고 생각합니다. 

안단테

2024-05-24 13:08:07

중요한 코멘트를 해 주셨네요.  말씀 하신 primary home protection을 적용하는 state 들이 꽤 있는데, Florida, Iowa, Kansas, Oklahoma, South Dakota, and Texas state 들은 unlimited로 해 준다고 하는군요.  Florida와 Texas의 중요한 장점 중 하나 이겠네요.  

Understanding Homestead Laws

Homestead laws have been created by states to protect personal homes against creditors. These laws vary widely between the states with some providing almost unlimited protection and others providing no protection or the protection of only a few thousand dollars. There are six states (Florida, Iowa, Kansas, Oklahoma, South Dakota, and Texas) that have a no dollar cap on the homestead exemption

아이브

2024-05-23 22:08:05

예전에 막연히 워싱턴주 뱅쿠버 (income tax 0%) 거주하여 오레곤주 포틀랜드에서 쇼핑하는 삶을 꿈 꾸었네요 (sales tax 0%) - 한인타운 비버튼 이용하고, 한국직항은 SEA 이용하고.  아직 어떤 도시도 가본적은 없습니다 (구글맵으로만 배웠습니다 ㅎㅎ)

안단테

2024-05-23 22:51:15

실제로 그런 꿈을 꾸시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오레곤 처음 갔을 때, 진짜 price tag에 적힌 가격만 영수증에 찍힌 걸 보고 잠시 어리둥절 했었었죠. 

아이브

2024-05-24 00:34:30

예전 아이 섬머 캠프때 MA 주 갔을때 인근 NH 주 (sales tax 0%) 애플 스토어에서 아이패드 산 기억이 있네요~

Lalala

2024-05-24 07:45:19

MA랑 NH 경계에 딱 몰이 있어서 폰이나 비싼 가잔 살 때 뉴햄셔로 갑니다 ㅎㅎ

특유의그느낌

2024-05-24 08:07:58

시애틀 거주했었던 사람으로써 최고의 거주방법이죠 ㅎ

시애틀 공항이 좀더 가까이있으면 또는 포틀랜드 공항에서 한국 직항이 있으면 완벽한 거주지라 확신합니다 ㅋㅋㅋㅋ

무한비행

2024-05-24 07:39:06

너무 좋은 차트네요.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retirement 항목에서 401k 랑 IRA가 0% 인 주들이 있네요. Roth IRA의 경우 원래 수익률에 대한 세금이 없지만, 401k는 직장 다니면서 절세 목적으로 세금 납부를 defer 시켜놓은 것인데, 택스가 0% 라는것이 좀 이해가 안가서요. 그럼 20대부터 맥스 시켜놓으면 10 밀리언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을것이고 전부 텍사스, 플로리다고 이사 가는게 좋아 보이는데. 택스 제로라는것이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도코

2024-05-24 07:45:15

어떤 주들은 retirement income (pension, 401k등)에 state income tax를 제외시켜준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연방세금은 아니구요.)

무한비행

2024-05-24 07:52:31

네. 그게 맞겠네요. 설명 감사합니다!

안단테

2024-05-24 09:05:09

제목처럼 state income tax에 대한 이야기 이고, 어디에 사시든 401k, IRA에 대한 federal income tax는 여전히 내셔야 하지요.  관심 있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luminis

2024-05-24 15:30:58

정말 유용한 자료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은퇴를 앞두고 관심이 있는 부분이라 여러방면으로 검색을 해보았는데 이 글처럼 comprehensive하게 분석한 자료는 찾을 수가 없었네요. 그리고 위에서 토론된대로 주세금이 근로소득이랑 은퇴자금이랑 다르게 처리되는 덕분에 은퇴자에게는 주세금이 0%인 주가 몇 개 더 생기는데요 예를 들어 다음 시나리오를 보면 세금 높기로 유명한 뉴저지도 나름 은퇴자금에는 프렌들리한 것으로 보여요. 

A.jpg

B.jpg

 

 

 

안단테

2024-05-24 17:05:36

"근로소득이랑 은퇴자금이랑 다르게 처리되는 덕분에 은퇴자에게는 주세금이 0%인 주가 몇 개 더 생기는데요" 

-->   제가 이런 자료들을 찾아 보게 된 개인적인 목적을 luminis 님께서 한마디로 정리 해 주셨네요.  제 표에서는 한정된 지면이라 0%, partial, taxable 정도로 밖에는 표기 할 수 없었지만, 각 state 마다, 각 세목 마다 좀 더 살펴보면, 면제조항, 한시조항, 생겼다, 없어졌다 등등을 살펴서 각자에게 맞는 것을 적용 해 봐야 실제 세율을 알겠더군요.  그런점에서 올려 주신 사례map은 좀 더 구체적인 숫자를 보여 주어서 훨씬 유용한 것 같습니다.  평소 luminis님께 배우는게 많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산악시골사람

2024-05-25 20:53:09

좋은 자료 공유해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안단테

2024-05-26 01:07:10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Junio206

2024-05-26 07:28:40

이사가는데 또 하나 고려할 점은 home insurance 입니다. 별 자연재해 없는 곳에서 플로리다로 이사 갔는데 홈 인슈어런스가 어찌나 비싸던지요. 

목록

Page 1 / 3843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8034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1113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1352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200276
new 115286

IAD->BOS->IAD 국내선 후기 짧게 올려드려요.(오늘 한국 또 들어갑니다. 애증의 유럽레이오버)

| 후기 5
  • file
짱꾸찡꾸 2024-06-16 273
new 115285

플로리다에서 스노쿨링 괜찮은가요?

| 질문-여행 1
신신 2024-06-16 75
new 115284

집멀지 않은곳에 원자력발전소가 있다면? 괜찮겠죠?

| 잡담 14
  • file
Oneshot 2024-06-15 1675
updated 115283

사진 듬뿍 일본 출장기/여행기 - 센다이 (Sendai)

| 여행기 29
  • file
awkmaster 2024-06-15 957
new 115282

뭔가 달라진 2024년 콘래드 서울 (일회용품, 110v 코드)

| 후기 4
  • file
빌리언에 2024-06-16 631
new 115281

한국에 온다는 것

| 잡담 18
복숭아 2024-06-16 1511
updated 115280

(질문) 분리발권/HND/1시간10분 레이오버/ANA

| 질문-항공 21
마포크래프트 2024-06-14 556
updated 115279

나도 몰랐던 내 돈 주정부 미청구 재산 / Unclaimed Property 찾아가세요

| 정보-기타 98
  • file
KoreanBard 2020-09-21 16062
updated 115278

Weee! 아시안 식료품 배달 앱 리퍼럴($20) 및 후기

| 정보-기타 293
HeavenlyMe 2021-07-27 17146
updated 115277

자동차 보험료 실화입니까?

| 질문-기타 34
초코라떼 2024-06-14 3987
new 115276

Hyatt Cabo Breathless - 예약을 했는데, 포인트 차감도 안되고, 어카운트에도 안 뜹니다. 하지만 예약은 살아있습니다.

| 질문-호텔
AJ 2024-06-16 66
updated 115275

Gas 영수증 스캔하고 캐쉬백 받는 GetUpside 괜찮네요~

| 정보-기타 403
  • file
오늘도지름신 2018-12-05 22124
new 115274

HVAC(에어컨) 교체 질문 드립니다.

| 질문
hopper.E 2024-06-16 56
updated 115273

부모님이 놀러오셨을 때 6월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동부 출발)

| 질문-여행 8
보바 2024-06-15 739
updated 115272

한국으로 곧 귀국하는데, 자동차 사고 후 보험으로 고친다 vs 안 고치고 타다가 중고로 판다

| 질문-기타 1
씨앗 2024-06-15 435
updated 115271

힐튼 일반카드 리젝된 경우 리컨 가능성? (이번년도에만 아멕스에서 4번이상 리젝)

| 질문-카드 5
  • file
도미니 2024-06-15 797
updated 115270

아이슬란드 Iceland 12박 (링로드 실패) 여행 후기

| 여행기 36
  • file
드리머 2024-06-14 1621
new 115269

T-mobile 티모빌 Tuesday에서 아디다스 30% 쿠폰 받으신 분들 할인제품에도 쿠폰이 적용되네요

| 정보-기타 2
  • file
hawaii 2024-06-15 509
updated 115268

아틀란타 여행 몇 박이 좋을까요?

| 질문-여행 29
신신 2024-02-13 2546
updated 115267

이탈리아 (로마, 남부, 시에나, 베네치아 및 밀라노) 와 (짧은) 런던 여행

| 여행기 22
  • file
된장찌개 2024-06-14 1043
updated 115266

치아 나이트가드 추천부탁 드려도 될까요?

| 질문-기타 19
메기 2024-06-15 1194
new 115265

버진아틀란틱 포인트로 예약했다가 취소하면 현지통화로 환불받나요?

| 질문-항공 3
F퓅구 2024-06-16 161
updated 115264

내슈빌 + 스모키 마운틴 8월초 일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 질문-여행 14
성게 2024-06-14 789
updated 115263

버라이즌 딜 - Any old smart phones trade-in credit at $ 830

| 정보-기타 20
돈쓰는선비 2024-06-11 3452
new 115262

렌트카 빌린 곳 말고 다른 곳에서 리턴하면 추가 Drop fee가 있나요?

| 질문-여행 4
쌤킴 2024-06-16 268
updated 115261

혹시 가이코 최근에 리뉴하신 분들 프리미엄이 두배로 올랐나요?

| 질문-기타 37
정혜원 2024-06-12 3801
updated 115260

사리 아직도 매력적인 카드 인가요?

| 질문-카드 16
별다방 2022-10-25 3861
updated 115259

2025년 일본여행 포인트 숙박 호텔 예약 정보

| 후기-발권-예약 15
디마베 2024-03-03 1677
updated 115258

여러분들 중에 비엣젯항공 (Vietjet) 타보신분 계신가요? 제가 후기를 남겨드려요 4/21/24~4/25/24

| 후기 19
  • file
짱꾸찡꾸 2024-05-13 8222
updated 115257

한국 피부과 성형외과 및 화장품/텍스프리 간단한 정보

| 정보-기타 43
지지복숭아 2024-06-14 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