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댓글도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Passion, 2015-12-10 04:38:16

조회 수
2908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같은 마모 회원으로써 다른 마모 회원분들께 간곡히 부탁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가끔 약간 논란이 될 만한 글들이 올라올 때가 있습니다.

오늘도 하나 올라온 것으로 압니다.


하지만 그런 글들이 올라올 때 그 글의 옳고 그름을 떠나서

댓글들의 반응이 상당히 위험해 보입니다.


아무리 누구와 의견이 다르다고 하고 그 사람이 궁극적으로 잘못된 선택을 했다 하더라도

굳이 여러 명이 똑같은 의견을 조금씩 바꿔서 기관단총 쏘듯이 지속적으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첫 한 두명은 그 문제점을 인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어느 시점 이후에서는 당사자를 설득시키거나 아니면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저 댓글 작성자의 감정을 분출하는 역할으로 밖에 안 보이며

원글 작성자에겐 일방적인 공격으로 밖에 안 느껴집니다.


그리고 한 번 자신을 돌아봤으면 좋겠습니다. 과연 내가 먼저 질타를 해야했다면 했을지?

많은 사람들은 문제가 있으면 먼저 지적하는 것을 꺼리면서 누가 지적하기 시작하면

댐이 터지듯이 편승해서 질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행동이 시위등 어떠한 큰 목표를 위해서 필요한 때가 있지만

과연 일개 게시판의 한 회원에게까지 그렇게 해야할 필요가 있을까요?


이렇게 되면 그룹의 힘을 빌러 강자가 약자를 공격하는 상황밖에 아닌 것이며

전혀 건설적인 사회공동체의 모습이 아니고 그저 한 사람을 정식적으로 피폐하게 만드는 행동으로 전락하는 겁니다.


현실 세계에서는 한 사람이 잘못을 했다고 수십명이 달려가서 질타를 하지 않잖아요.

한 두 사람이 얘기를 했으면 다른 사람은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조용히 있죠.


인터넷에서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댓글이란게 타이프 몇 자 하고 엔터 누른다고 가벼운 글이 아닙니다.

공격성 댓글이 여러개가 쌓이기 시작하면 당하는 사람에게는 다분히 엄청 개인적인 공격으로 느껴질 수 있고

정신적으로도 엄청난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장난스레 던진 돌에 개구리가 죽을 수가 있듯이

별 생각 없이 던진 댓글에 당사자는 상당한 정신적인 고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악성 댓글 때문에

자살까지 몰아가는 경우도 생기잖아요.


부탁드립니다.


마음에 안 드는 글 올라왔는데 이미 몇 몇 댓글이 그 문제점을 지적했으면 그냥 조용히 넘어가 주셨으면 합니다.

그러면 원글자도 충분히 느낄 겁니다. 여기에 악의적으로 글을 올리시는 분의 경우는 드뭅니다.

다들 어떻게든 도움이 되고 싶어서 글을 올리는 것인데 거기서 약간 대다수와 핀트가 안 맞을 수도 있죠.

그럴 때 성숙한 커뮤니티라면 절제 있는 비판과 대화로 풀어 나가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44 댓글

Minimini

2015-12-10 04:39:11

동감 백배입니다. : )

쟈니

2015-12-10 04:44:16

딴지는 아니고 전 약간 다르게 생각합니다. 반대 의견이 한개 달린것과 백개 달린 것은 다릅니다. 반대 의견이 한개만 달리고 다른 사람들이 '반대 리플이 달렸으니 알아 먹었겠지'라고 하면 원글자가 '딴사람은 다들 조용한데 왜 너만 그러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글이나 의견이라는게 옳고 그름처럼 흑백으로 나뉠 수 없는 것이라서 더욱 그렇습니다. MPX처럼 '이건 약간 아닌데?'라는 댓글이 달리지만 좋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아서 이런저런 의견이 많은 글이 있는 반면에 누가봐도 잘못되거나 위험한 경우 '아니다, 네 의견은 잘못되었다'라는걸 많은 사람들이 알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인신공격은 삼가야 겠지요. 

청솔모

2015-12-10 04:52:25

2222222

그리고 저 정도의 글은 그냥 운영자 권한으로 삭제했으면 좋겠네요. 근데 마일모아님이 그런건 안하실테니..


Passion님의 글 어느정도는 맞겠지만, 여기 오시는 분들에 대한 기대치를 너무 높게 잡으신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예전에 세월호 모금 성금 중간에 가로채려던 사기꾼도 여기서 꽤나 활동하고 거짓정보 올리던 인간이었던건 아시는지 모르겠네요.  

모밀국수

2015-12-10 04:57:32

저도 쟈니님 댓글에 동의합니다. 

왓슨박사

2015-12-10 05:51:38

동감합니다. 어느정도 실명아닌 ID라는 익명의 보호 아래 악의를 뿜어내는 것은 삼가야겠습니다만  윤리적으로 잘못된 상도덕 행위를 질타하는 것은 공동체 모럴 해저드를 예방하기 위한 좋은 장치라고 생각됩니다.   

옥동자

2015-12-10 10:52:16

+1

차도남

2015-12-10 04:45:10

용기 있는 글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동감합니다

백만마일모으자

2015-12-10 05:16:45

패션님 말씀에 백퍼센트 동감합니다. 

모두모두

2015-12-10 05:21:46

이런 측면에서 눈팅만 하시는 분들은 아주 안전한것 같아요.

유알

2015-12-10 05:34:57

인터넷상에서 댓글이 무기가 될수 있다라는 Passion님 말씀에 100프로 동의합니다. 하지만 Passion님께 질문이 있습니다. 본문에 '이미 몇 몇 댓글이 그 문제점을 지적했으면 그냥 조용히 넘어가 주셨으면 합니다'라고 하셨는데.. 그 몇몇이란게 대충 몇개가 적당하시다고 생각하시는지? 그런 기준이 있을까요? 보는 사람마다 다르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저의 기준에는 그렇게 많이 달린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마모회원분들이 다른 여러가지 이유로 왜 저 전략(편법?)을 하시면 안되는지 말씀해주는걸로 보이거든요. 그리고 제가 댓글들을 읽었을땐 다른 사이트에서 보여지는 그런 공격적이고 상처주는 악성 댓글들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계정블럭당하실수 있다고 조언해주시는 분들도 계시고 마모에서 추구하는 '가늘고 길게 가자'를 다시 상기시켜주시느 분도 계시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피해가 갈수 있는 꼼수, 악용, 편법은 가능하면 안하는게 좋다고 충고도 해주시고요 또 신상정보 노출에대해서도 걱정해주시고요. 위에 쟈니님 말씀처럼 몇몇의 반대의견과 다수의 반대의견은 아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삼발이

2015-12-10 05:44:24

콕 집어서 어떤 댓글이라고 하기에는 또 다른 논란을 일으킬수 있을것 같아 밝히진 않겠지만 상처를 줄만한 댓글들이 몇 있긴 해요. 

물론 대부분의 댓글들은 조언을 해주신거긴 하지만요

아마 Passion 님께서도 상처를 줄만한 댓글들에 대해 조심하자 라는 취지의 글인것 같습니다

삼발이

2015-12-10 05:40:51

Passion 님의 의견에도 동의하고 위에 쟈니님의 의견에도 동의 하는데요.

저 같은 경우엔 논란이 될만한 글들에는 그냥 댓글 안 달고 지나치는 편인데요.

쟈니님 말씀대로 많은 분들이 잘못된거에 대해선 지적을 해주시되, 완곡한 표현으로 했으면 좋겠어요

사리

2015-12-10 05:48:34

질타에 대한 질타이시군요 ㅎ 

다시 그 글로 가서 저는 몇번째로 썼나 확인하고 왔더니 7번째로 썼더라구요. 

패션님의 글로 보면 대충 두세개 정도가 rationale인 것 같으니 저도 과도한 질타에 들어가기 충분한 순번인 것 같습니다. 

그 질타에 대한 질타에 대한 제 나름의 질타를 하거나 혹은 변명을 이제 좀 해볼게요. 


우선 저는 이런 식의 사건이 났을 때  글을 올리신 분들이 "문제적일 수 있다"라는 감수성을 좀 갖고 올리시는 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 같아요. 

논쟁인 것도 있을 수도 있고 문제적일 수도 있지만, 그런 감수성이 무딘 상태라면 조율의 과정이 좀 필요하겠죠. 

한두명이 말했으면 된 것일 수도 있겠지만. 어떤 분들은 한두명이 지적하면 그걸 그냥 소수의견 취급하고 넘어가는 경우들도 있죠. 

따라서 질타에 대한 질타에 대해 성찰을 요구하기 전에, 그 글을 쓰신 분들이 레이더와 삘에 대해서 성찰을 하는 게 우선일 것 같습니다. 

그게 문제적일 수 있다고 생각한 분이었다면 아무래도 글을 올리고 나서 약간은 신경 쓰여 주시하고 있었겠죠. 

그랬을 때 한두명이 문제적일 수 있다라고 언급했을 때 적절한 대응을 했다면 크게 문제가 번지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대게의 경우 사람들이 굳이 로그인해서 말을 하진 않죠. 

저도 지난달부터 몇몇의 질문에는 굉장히 마음이 상하고는 했었는데,

"게시판에서 나쁜말은 마모님만 하게해달라"라는 권고를 생각하면서 그냥 넘겼습니다. 

근데 굳이 로그인해서 7번째로 댓글을 단 이유는... 

몇 가지 우려된다는 것을 "굳이" 말씀드리고 싶어서였습니다. 

때로는 같은 말이더라 하더라도 쪽수를 보태고 싶은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살다보니 정말로 그럴 때가 꽤 있더라구요. 


셋째는 인신공격적인 발언도 아닌데 굳이 쪽수가 많다는 것이 "무기"가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는 그 분이 제가 이해하는 마일모아 게시판, 이곳의 문화와 어떤 상식에서 좀 어긋난다는 말을 지적하고 싶었고,

그것이 그분이 정말 나쁜 사람이거나 윤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사람으로 확대되어서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 글에 대해서 반대하면서 이런 인신 공격성 발언이 나왔다면, 저 또한 그 댓글에 대해서 말을 했을 것입니다. 

그런 인신공격은 적절하지 않다구요.. 

인신공격적이지 않다면, 우려와 걱정을 표하는 글이 100개가 달린다고 한 듯 '무기'가 될랑가는 저는 잘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아... 내가 생각한게 이 사람들과는 잘 맞지 않거나, 내 생각이 잘못됐을 수도 있겠다라는 것을 생각해볼 계기가 될 수는 있겠죠. 


네번째는 이런 사건과 논쟁으로 인해서 이 커뮤니티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이나 상식들이 만들어 가는 과정입니다.

한두명이 말해서 "경고"를 주는 것보다 동시다발적으로 터저나오는 것은 

단순히 그 사람의 인신공격이 아니라면 일종의 공유한 상식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지요. (그리고 이게 민주주의의 핵심입니다. 한두명이 우려를 표하는 게 아니라요)

어떤 분들이 우연히 들어왔을 때, 그글을 보고 "마일모아에는 이런 것들이 정보로 통용되는 것이구나"라고 선입견을 갖게 된다면

나름 이 게시판의 글이 한자리 숫자에 있을 때부터 지금까지 있는 저로서는 굉장히 마음이 아플 것입니다. 

그런 문제적일 수 있는 글에 대해서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성토하면서 

이곳에 있는 사람들의 생각을 보고, 조율하는 과정을,

인신공격적이 아닌 이상에 굳이 막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몇명이 지적했으면 그것으로 충분한 것 아닌가는 일견 설득적으로 들립니다만, 꼭 그렇지는 않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사람들이 한꺼번에 성토하고 말을 하는 것이 "무기"로 읽히는 것은 좀 과장된 건 아닐까 싶습니다. 

만약 그 사람들이 폭력적인 말과 신변에 대한 위협 혹은 신상털기나 인신공격이 아닌 이상에

여러사람이 공통적으로 "우려"를 표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막아야 하는 것만은 아니라 그것을 통해서 무엇이 만들어지는 것인가를 봐야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표현하는 것을 무기로 말해 버리면 그 중요한 과정을 놓치기 마련이죠. 


그래서 폭력이 수반되지 않은 우려 또한 무기로 말하는 것, 그것에 저는 쉬 동의를 할 수가 없습니다. 



shine

2015-12-10 09:44:07

문제는 그 문제적이라는 감수성이 매우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보인다는 거죠. 마적질 안하는 제3자가 보기엔 꼼수로 신용카드 크레딧 받는 거나 물건 스토어에 리턴하고 크레딧 받는 것 중 오히려 전자가 훨씬 더 문제다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곳에서는 명백히 후자에만 공격과 비판이 집중됩니다.


꼭 폭력이 수반되지 않았다고 모든 의견개진이 적절하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논란이 되는 행위에 대해 과연 이 웹싸이트에서 다수가 인정할만한 상식이 만들어져 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사리

2015-12-10 10:02:36

글쎄요..우선 동등 비교가 아닌 것 같아요. 

신용카드 크레딧 받는 것 vs 스토어에 물건 리턴하고 크레딧 받는 것 

에어라인 크레딧은 어쩌면 권리인 부분이 분명히 있죠. 왜냐하면 그에 상응하는 연회비를 내니까요. 

그래서 딱히 항공사나 신용카드사나 손해보는 쪽은 없습니다. 

제가 아멕스에다가 200불 에어라인 크레딧 안받을테니 연회비를 깎아주거나 그냥 크레딧으로 하면 안되겠냐고 물어본적이 있었는데

안된다고 하네요.. 450불 연회비에는 그 200불 크레딧이 꼭 포함된다며. 

저는 딱히 여러번 논의된 꼼수를 사용한 적은 없고, 어워드 티켓 발행할 때 그 쪼가리 세금이 크레딧으로 잡히는 바람에 화가 났던 터였지만...

여튼 에어라인 크레딧은 어떤 차원에서는 제 기준으로는 분명 그에 해당하는 댓가를 냈고 직접적으로 피해를 보는 사람이 없다는 게 판단입니다. 


단순 물건 리턴과, 어떤 특정한 의도를 갖고 물건을 구입 후 리턴은 좀 다른 차원이지 않을까요.

전자는 전혀 문제가 없겠죠. 하지만 후자는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피해를 수반하게 됩니다. 

판매자는 리턴한 물건을 제 가격에 제대로 팔수 있지 않고 고스란히 비용으로 남게 되겠지요. 


그리고 이곳에서는 후자에 대한 공격과 비판이 집중된다고 하셨는데,

이곳은 기본적으로 마일리지를 가장 최적화되게 모으고 쓰자고 모이는 곳인데,

일반 사람들이 봤을 때는 조금 이상해보일 수도 있지만, 

누군가의 피해를 끼치지 않고 하면 그게 뭔 상관일까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누군가에게 피해를 준다면 비판을 한다는 게 "기울어진 운동장"일까요?


그리고 제가 말한 것은, 샤인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런 대화를 통해서 서로 적정선들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겠죠... 


shine

2015-12-10 10:11:05

연회비를 냈다고 해서 사실상 규정에 없는 것을 편법, 심지어 말을 지어내기까지 해 가면서 크레딧을 얻는 것은 결코 정당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식으로 따지면 코스트코에서 얼마를 사고 리턴을 해서 아멕스 크레딧을 얻는 데 이용을 해도 코스트코/아멕스 연회비를 냈기에 아무 문제가 안됩니다.


말을 지어내거나 혹은 규정의 "어두운 부분"을 이용해서 크레딧을 가져가는 사람들 중에 그걸 모르고 한 사람이 백명중에 한명은 될까요? "의도"의 차원에서 사안의 경중을 따지자면 에어라인 크레딧이 훨씬 더 "의도적"이라 해도 무방하고, 실제 피해에 있어서도 신용카드 회사는 안줘도 될 크레딧 몇백불을 지불한 것이니 피해가 더 큽니다. 식료품 리턴이야 바로 loss로 잡히지만 공산품의 경우 최소 되팔수야 있으니까요. 솔까말, 저렇게 대놓고 물건 사놓고 리턴하는 사람들이 더 많을까요? 아니면 전화 한통으로 채팅한번으로 "손쉽게" 몇십불/몇백불을 얻어내는 사람들이 더 많을까요?


이곳에서 에어라인 크레딧(과 수많은 비슷한 것들)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가 없네요. 누군가의 manual labor가 수반되지 않는다고 해서 그게 피해가 아닌것은 아닙니다.

사리

2015-12-10 10:21:57

우선 말을 지어내서 하는 것은 제 생각에도 문제가 많다고 봅니다. 그래서 그 문제에 상대적으로 덜 말한다고 해서 다른 사안에도 말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문제가 있죠.
그리고 코스트코 연회비와 크레딧카드 연회비는 제 생각에는 다른 것 같구요. 그리고 매뉴얼 레이버 차원도 아니라고 봅니다. 에어라인 크레딧을 에어라인 기프트카드로 했을 때 누가 피해를 보는지는 좀 불분명하지만 물건을 반품해서 정상적으로 팔지 못하게 하는 건 좀 피해가 많지 않나요?? 공산품 리턴도 제가격으로 못팝니다.

그리고 오늘 문제가 되었던 글은 무엇보다도 의도의 여부는 차치하고 전달하는 문제에서 더욱 논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취소했는데도 이게 그대로 있더라...하면 그냥 대부분 헐... 이정도 아님 뭐 좋겠다 이런 식으로 갔겠죠. 하지만 이것을 일종의 테크닉으로 전도하는 것... 이것은 충분히 문제 삼을 수 있고 또 문제 삼아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샤인님이 생각하시는 기준이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에어라인 크레딧은 그 크레딧 용도로만 사용하라.. 뭐 그정도인 것인지 마적질 자체가 잘못된거다... 이런 건지... 아님 그냥 최대한 뽑을 수 있으면 뽑는 게 삶인 거니 문제 지적 하지 말고 성실히 수단방법 가리지 말자인지.. 궁금이 하네요.

shine

2015-12-10 10:29:39

에어라인 크레딧을 "규정에 없는" 기카로 사고 리임버스를 받으면 신용카드 회사는 안줘도 될 돈을 지불하는데 이게 왜 피해가 아닌가요? 나는 연회비를 이미 냈고 아마존에는 200불을 냈으니 피해가 없는게 되는 건가요? 연회비 450불짜리 카드를 1년간 사용할때 어떤이는 200불 에어라인을 안쓰고 다른 혜택으로 450불을 다 얻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 200불이 반드시 내가 꼭 얻어야할 부분이라 보는것도 지극히 개인적인 판단일 뿐이죠.


저는 "상식의 수준에서" 룰에 어긋하는 것은 동일하게 바라보고 동일한 잣대를 들이댄 뒤 합의가 이루어지면 게시판 사용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그리고 에어라인 크레딧에도 "꼼수" "신공"이라는 표현은 수도 없이 등장했습니다. 메세지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사리

2015-12-10 10:40:49

그렇다면 이 기회로 그것도 생각해보자와 왜 그건 별말 없더니 왜 이건 따지는 것이냐? 이건 완전히 다르지 않나요?? 샤인님의 생각하는 바를 말씀하고 싶으시다면 제 생각에는 이 기회를 빌어 이 부분도 생각해보자라고 논의를 좀더 펼치는 게, 어쩌면 샤인님과 비슷한 생각을 해서 그 부분을 지적한 사람들에 대해 이중잣대라고 말을 하는 것보다 더 제대로 얘기가 나올 수 있지 않았을까요?

샤인님의 제기 방식을 차용해서 말을하자면 "왜 샤인님은 그렇게 옳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편법들이 신공처럼 얘기될 때는 조용히 있다가 왜 그런 부분을 문제 삼는 사람들이 문제제기를 하니 그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라고 얘기하는가?"라고 따질 수 있습니다. 피장파장의 오류 혹은 우물에 독타는 오류로 같이 죽자고 하는 거죠.. 왜 그 꼼수들에 대해서는 조용히 있다가 이제서 그런 유사한 걸 지적하는 사람들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이라 말하는가???....

아 다르고 어 다른데 영어에서 a가 아 소리도 나고 어 소리도 나서 참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샤인님 의도는 이런 문제제기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에어라인 크레딧 뭔가 얘기를 한번 해보기는 해야할 것 같네요.

맞습니다. 메세지의 문제는 아닙니다. 근데 그 화살을 본인에게도 해봤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습니다.

shine

2015-12-10 11:35:24

뭔가 접근방식에 근본적 차이가 있는 듯 한데, 저는 이번 사안에 대해 침묵하라고 한적 없습니다. 다시 복기해 볼까요. 이렇게 까지 한사람에게 공격을 집중하는건 과도하지 않은가라고 했을때, 사리님께서는 인신공격이 아닌이상 의견표출을 하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주장하셨죠. 그리고 상식적인 합의를 만들어가자는 취지의 말씀을 하셨구요.


이런 취지에 동의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저도 그럼 "아" 다르고 "어"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요? 많은 사람이 에어라인 크레딧에 대해서는 침묵을 넘어 MPX가 다시 된다라는 포스팅에 안도와 환호를 보냈죠. 그런데 오늘 관련 포스팅에는 비난/비판의 댓글이 주렁주렁 달립니다. 만일 비판하는 사람들이 에어라인 크레딧 꼼수/거짓말도 문제고 상품리턴후 포인트 취득도 문제다라고 인식한다면 두 문제중에 어느하나에만 댓글을 달았다고 문제가 될 건 아닙니다. 하지만 오늘 글에서도 보이듯이 에어라인 크레딧은 "피해보는 사람이 없으니" 문제가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는 겁니다. 이런 이중잣대의 문제를 넘어, 그게 문제인것조차 인식을 못하는 겁니다.


저는 이런 문제에 거의 처음으로 댓글 달고 있는데요. 개인이 꼼수를 쓰던 뭐를 하던 간에 게시판에 그걸 기록으로 남기지 말자라는 입장입니다. 개인의 호불호/양심은 그 누구도 통제못하기에 다만 "상식적" 차원에서 문제가 될 만한 글은 포스팅을 삼가하는 게 낫다는 입장입니다. 그런면에서 게시판 지기님이 "룰"에 어긋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글에는 권한을 발휘해도 된다고 봅니다. 마일을 사고 팔자는 글이 엄격히 통제된다고 이곳에 오는 사람 전부가 전혀 마일을 사고 팔지 않는다라고는 할 수는 없죠. 그러나 그런 글을 올리지는 말자는 거고 그를 위해서는 룰에 대한 동의가 필요하겠죠.  

사리

2015-12-10 11:47:19

저는 침묵하라고 하셨다고 한 적은 없습니다.
하지만 왜 이중잣대를 들이미냐는 식으로 하면 좋게 이야기들이 전개될까하는 우려를 보낸 것이죠..
전 사실 mpx가 뭔지 모릅니다. 관심도 없구요.
저는 그저 우연히 그글을 보게 되었고 엇 이건 좀 그렇다... 게다가 신상정보까지 고스란히 노출됐는데 이건 좀 걱정된다...입니다. 샤인님이 생각하는 "범주"의 사람들은 mpx 등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이번건에는 엄격한 사람이겠지만 저처럼 그 범주에 어긋나 있는 사람들도 분명 적지 않겠죠. 따라서 관대했던 사람들과 엄격했던 사람들이 동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증거는 앖으므로 사람들이 이중잣대를 적용한다라는 식의 발언은 사실 적합하지는 않습니다. 범주의 오류라고들 하죠.

저도 개괄적으로는 샤인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양심에 맡길 부분들이 있죠. 하지만 경험을 나누는 것과 신공으로 전략처럼 얘기하는 것은 그 차이가 좀 있지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꼼수였던 아니든 경험들이 모여서 경험치와 상식들을 만들어내잖아요... 지금도흘러가는 내용들을 보면 과거 경험에서 보면 체이스에서 후에 빼갈 것이니 안심말아라...라고 나오죠.

그냥 없애버리고 지우는 것보다 이런 일들로 경험치도 쌓아가고 서로들 이 생활에 대해서 어떤 정도의 윤리와 양심 혹은 상식들로 바라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어떻게 조율해가면서 살아야하는가를 볼 수 있죠.

아울러 곁가지로 하나 더 붙이자면 유나이티드 편도 붙이는 겋과 미니 세계일주 등도 그 규칙으로 제대로 가면 편법입니다.

대화 즐거웠어요...

두손모아

2015-12-10 15:17:36

완전 동감입니다

따라달린다

2015-12-10 06:13:15

4살된 딸아이가 다니는 학교에 며칠전에 방문할 일을 있었는데 강당 벽에 이렇게 써서 커다랗게 붙여 놓았더군요. 글을 읽는 순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이 리마인드되어 어른으로서 부끄럽더군요. 아이들도 이렇게 이해할려고 하고 노력하는데 (자의든 타의든) 어른들은 뭐하는 것인가 해서요. 그 글의 일부를 아래에 나눕니다. 


"We believe that world peace begins with each of us. We try to settle all disagreements without using weapons or words that hurt others."

셔니보이

2015-12-10 06:46:47

멋있는 말귀입니다.

카우보이

2015-12-10 06:52:12

역시나 우리가 배워야 할 것들은 유치원 때 다 배우는 거군요.

duruduru

2015-12-10 12:58:21

캬~!

박이사

2015-12-10 06:20:43

전엔 글쓴이의 맞춤법지적까지 하시면서 답글을하시는 분이 계시더라고요. 감정적인 댓글다시는 분들은 오히려 더 보기 안좋더라구요.

duruduru

2015-12-10 13:05:13

ㅋㅋㅋ 이 댓글을 읽고 보니까, 원글님의 의도를 더 잘 반영하는 제목 어휘는 무기라기보다는 흉기라는 생각이 뒤늦게....

두손모아

2015-12-10 08:21:14

좋은 말씀이고 공감합니다만
종전에 저에게 거의 인신공격으로까지 댓글 다신 분이 이렇게 부탁의 말씀하시니 글 읽기가 좀 민망해지네요...

사리

2015-12-10 08:37:57

헐....

두손모아

2015-12-10 08:44:58

?

duruduru

2015-12-10 13:00:01

아..... 그래도 이런 댓글은 안 다셨다면..... 완전 대인배의 길로......?

순조로운narado

2015-12-10 10:02:42

첫 한두명이 어렵게 잘못을 지적했다해서 원글자가 깨우칠(?)것도 아니고, 그 후에 글을 다신 분들도 한두사람의 의견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각자의 소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적하신 분들이 그분 깨달으라고 댓글 다시는것도 아니지 않나요.. 내생각은 다르다는거죠 단순히.. 아마 그 분이 전략이라는 표현만 안 쓰셨어도 조금 달라졌을것이라 생각해요. 본인의 경험을 나누는 거랑, 우리가 함께 이렇게 해보자 하며 전략을 소개하는거랑은 좀 다른거 같아요. 그리고 과연 마일모아가 커뮤니티인지 커뮤니티가 되어야 하는지 다시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정보교환을 한다고 해서 커뮤니티가 되는것은 아니니까요. 마모님께서 늘 얘기하시듯 여기는 마모님의 개인사이트이고 개인 블로그죠. 

두손모아

2015-12-10 10:19:26

+100

사리

2015-12-10 10:29:32

글쵸...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목소리를 내는 것이죠...

허나 제 아무리 김씨 일가가 지네 집안 땅이라고 우기는 북한에도 커뮤니티는 있습니다. 그거 뭐 온라인 카페 아니거든요... 사람들이 모여서 얘기 주고 받고 희뿌연 관계가 맺어지는 순간 원하든 원하지 않든 만들어지는 게 그거니깐요...

Apollo

2015-12-10 10:41:01

여기는 또 왜이렇게 무겁데요..

두루님 만두 배달가셨나?.....^^

Passion님은 두손모아님께 통닭 사실 일이 있었나본데......연말전에 마무리 하시고요^^

연말인데...무거운 주제 보다는 서로를 사랑하고 감싸주는 대화로 이어가죠^^ 유자님 보고 싶네요~

duruduru

2015-12-10 13:03:46

아, 제가 오늘 자동차 고치러 오랜 시간 다녀왔어요. 그리고 왜 파열음만 생기면 저를 찾으시나요? 제가 자동차 수리공도 아닌데....?

Apollo

2015-12-10 16:04:38

누군가가 찾아드릴때가 좋은 시기죠...^^

차는 어디가 고장났기에......그리 오랜 시간을 할애하시고...., 수리공쪽으로 사업 확장 하시나요?

---이기회에 티모님께 하나 분양받으시죠^^

두손모아

2015-12-10 15:14:25

통닭이요??
패션님이 저에게 통닭사쥬신다면야 감사히 받습죠 ㅋㅋ

메롱카드

2015-12-10 10:41:14

네 우선 기본적인 아이디어에는 동감을하구요.  패션님이 글을 올리셨으니 제가 질타 하나 하겠는데요.  지난번 동성애결혼 찬반 글이 올라왔을때 패션님의 댓글은 다분히 공격적이였고 반대의견에 대한 질타의 댓글들이였습니다.    특별히 누가 잘못한 일도 아닌 그냥 토론글 비슷했었는데 말이죠.  


이왕 이렇게 글을 쓰셨으니 패션님도 질타의글 혹은 "본인" 주장글을 올리실때에는 한번 냉철하게 생각을 해보시고 올리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무례했을테지만 마모게시판의 자정화를 위해 저도 한마디 해봅니다. 꾸벅 

앤디아빠

2015-12-10 13:13:46

Passion님 의견에 찬성합니다.

가치판단은 각자의 몫으로 남겨놔야 하는데, 너무 다구리식으로 한 사람을 공격하는 느낌이 들때가 근래에 몇번 있었습니다. 


까망콩

2015-12-10 15:48:00

동부 뉴욕의 한인인터넷 커뮤니티 중 가장 큰(?) 곳이 heykorean.com 이라는 곳이고, 이곳에는 멘토링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먼저 와서 자리잡고 있는 분들, 전문지식이 조금 더 있으신 분들이 초짜(?)들의 질문에 답을 주는 곳이지요.

이 사이트에 애매한 질문들(흔히... 욕 먹을 가능성이 있는 글...)이 올라올 때가 가끔 있습니다. 

좋지 않은 답변을 듣는 질문들의 예는... (지극히 주관적인 순위입니다) 

1순위: 원정출산 질문, 2순위: 자격 안되는 사람들의 사회복지시스템(푸드스템프, 의료보장 등) 이용 , 3순위: 당연한 듯이 말하는 불법근로, 4순위: 조기유학, 5순위: 찌질한 연애상담

특히나 질문자의 질문 태도에 따라서 더 많은 댓글세례가 퍼부어지기도 하는데요...

제가 취하는 방법을 말씀 드리면... 

"***님께...  멘토링게시판의 질문글을 보고 연락 드립니다. 궁금해 하시는 것은 이해를 하지만... 그런 주제의 질문을 올리시면 좋은 답변보다 상처 받을 답변을 더 많이 들으실 거에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알려드릴께요. 질문 글은 내리시는 게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실 거에요. ^^;; "

요 정도의 개별 메시지를 남겨드려요. 오지랖도 참 넓어요, 제가... ㅎㅎ 이 이야기 듣고 제 의견을 받아들이시는 분도 봤고 그렇지 않으신 분도 봤어요. 

우리 마모에도 메시지 기능 있는데... ㅎㅎ 

패션님의 말씀도 표현이 달라서 그렇지... 그 분이 잘못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 정도면 된다는 거 아닌가요?

말이라는 게 아 다르고 어 다르잖아요. 어린아이 잘 모른다고 처음부터 윽박지르고 두들겨 패지 않는 거처럼... 

고운 말, 좋은 표현으로 타일러 주십사 하는 의견이 패션님 생각이 아닌가라고 저는 받아들였습니다. 제목이 아주 조금 살벌하긴 하지만... ㅎㅎ

건전한 대화와 토론은 하되 서로 상처는 주지 말아요... 우리...  머나먼 이국 땅에서... 



duruduru

2015-12-10 16:35:56

"질문글을 보고 연락 드립니다"


ㅋㅋㅋ 대체로 이런 별도의 쪽지를 보내는 분들은 브로커, 사기꾼, 범죄자들인 줄 알았는데요.....

순조로운narado

2015-12-10 17:51:28

ㅎㅎㅎ 두루님 이러니 사람들이 찾지요~~~

정렬

정렬대상
정렬방법
취소

목록

Page 1 / 770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7458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660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1004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9174
  15382

하루 정도 쉬어갈께요

| 잡담 7
마일모아 2014-03-03 6502
  15381

인어사냥님을 위한 변

| 잡담 87
히든고수 2014-04-22 6282
  15380

침묵의 시간...

| 잡담 4
ThinkG 2014-04-17 2385
  15379

이번 일을 보면서 느끼는 것들

| 잡담 1
티모 2014-04-19 1965
  15378

[잡담] 국정원 대선개입 축소수사 지시한 김용판 무죄

| 잡담 44
쿨대디 2014-02-06 3137
  15377

카드 회사들도 슬슬 대안을 찾고 있나 봅니다.

| 잡담 32
배우다 2013-03-29 3882
  15376

저 갑자기 엑스맨 된 거죠?

| 잡담 91
사리 2012-05-24 2879
  15375

운영원칙에 대한 짧고도 긴 생각

| 잡담 121
마일모아 2013-12-03 4894
  15374

만화

| 잡담 10
옥동자 2014-04-22 2405
  15373

다시 오픈 합니다

| 잡담 71
마일모아 2014-03-04 3409
  15372

(업댓) 당신이 생각하는 이사람은 누구?

| 잡담 335
  • file
롱텅 2013-03-15 8888
  15371

올릴까 말까 망설이다가 결국 한 번 글을 올려 봅니다...

| 잡담 17
  • file
사리 2013-12-16 2952
  15370

(update) * 더티비 보너스 등록-마일모아 회원 전용 다리 신축 기념 행사

| 잡담 175
디자이너 2013-05-02 3264
  15369

마일 테크, 재테크

| 잡담 81
히든고수 2014-01-22 12143
  15368

[논의 요청] 부탁하지 않는 커뮤니티가 되면 안될까요?

| 잡담 72
배우다 2013-12-10 3930
  15367

.

| 잡담 41
신용카드 2008-10-17 63605
  15366

포도원, "그깟 공놀이," 그리고 "미리 감사드립니다"

| 잡담 209
마일모아 2014-02-18 46587
  15365

세월호와 대한민국호

| 잡담 24
포도씨 2014-04-21 3209
  15364

김경준의 책 <BBK의 배신> 요약본 by ppss.kr

| 잡담 104
쿨대디 2013-11-14 9887
  15363

늙으니까 자꾸 주책없이 눈물이...

| 잡담 35
  • file
절교예찬 2012-10-13 2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