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학비 vs 세이빙스 for 집

필리어스포그, 2017-08-26 08:03:30

조회 수
2928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항상 게시판에서 여러가지 도움 많이 받아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 생활의 굵직 굵직 한 결정을 할때 마모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었는데요.

오늘 또 마모 회원님들께 의견을 여쭤보고 싶은게 있어 도움을 구해봅니다.


일단 저희는 현재는 외벌이 상황이구요, 전문 대학원 진학으로 인해 학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외벌이는 계속됩니다. )

원래는 2년에서 3년 뒤 집을 구입할 목적으로 다운페이먼트 할 돈을 모아두고 있었는데요.

생각보다 학비 론에 대한 이자가 너무 높아서 최소한의 돈만 빌리고, 나머지는 이 다운페이먼트 용도의 돈으로 해결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내집마련의 꿈은 한참 멀어지겠지요... ㅠ 마모 회원 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모기지에 대한 개념도 이제 간신히 잡히고 있었는데, 학비 론도 생각하고 좀 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려니 쉽지 않네요. 

짧은 조언이라도 주시면 감사히 참고 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즐거운 주말 되세요!

23 댓글

만년초보

2017-08-26 09:01:46

저라면 다운페이남기고 나머지는 학비내고 모자라면 학비융자 하겠네요.
Ideally down pay 가 20%면 좋지만 10% 하고 pmi 내면 모기지 가능 하겠죠.

필리어스포그

2017-08-27 08:58:08

조언 감사드립니다!!! 현실적으로 생각했을때 20%내고 학비를 내는건 힘들어서. . . (지금부터 2년 잘 모아야 20%가 되는지라. . . ) 말씀하신 옵션도 잘 생각해보아야겠네요!

violin77

2017-08-26 10:59:46

학비융자이자는 세금정산할때 안빼주지만, 모기지이자는 빼줘서 저희도 지금 열심히 학비융자 갚는데 총력을 기울이고있답니다...

Mila

2017-08-26 14:52:13

학비융자이자 빼줘요 인컴이 아주많은게 아닌이상요

필리어스포그

2017-08-27 08:58:59

감사합니다! 이 부분도 잘 찾아봐야겠네요ㅎ 아마도 그정도 인컴은 아닐거라서ㅎㅎ

poooh

2017-08-28 07:51:31

인컴이 많으시대자나요  :)

비행기야사랑해

2017-08-26 17:28:22

학비는 보통 론을 받을 수 있지만
다운페이는 불가능하죠.(이것도 방법을 따지자면 가는하긴합니다만)
학비론 이자율이 모기지이자율보다는 높을테니까
다운페이용 돈으로 학비내겠어요.
혹시 401k 금액이 좀 있으시면 대출되는지도
알아보세요 그 이자율이 학비론 그냥 받는것보다는
괜찮을거에요

필리어스포그

2017-08-27 08:59:59

401k 대출! 도 잘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크레오메

2017-08-26 18:35:49

저도 윗분들과 동감합니다. 학비 이자는 나중에 연 2500불까지 디덕터블 되는데 다운페이는 안되니깐요. 저라면 20% 다운페이+ 수수료 빼고 나머지는 학비를 갚겠습니다... 어차피 론 받아도 나중에 갚을 때 6개월 간 grace period 도 있고요..

필리어스포그

2017-08-27 12:39:23

감사합니다! 사실 20%가 되려면 2년정도 모아야 하는 상황이라. 하나를(다운페이) 하면 다른 하나는 안되네요ㅜ
결론은 이삼년 뒤에 집을 사는것이 합당한가. 라는 질문에 답하고 생각해야 할 것 같아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주급만불

2017-08-26 23:58:37

아이러니하게도 학비론은 악성채무로 기록된다네요. 컬랙션에 넘어간 카드빚 다음으로 악성채무라고 들었어요.
학비론을 최소화 하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만년초보

2017-08-27 00:05:20

무슨 말씀인지 처음 듣는 소리네요.

Bankruptcy 에서도 없어지지 않는것은 들었지만 악성이라는 말은 처음 듣네요
설명이 좀 필요해요.

주급만불

2017-08-27 00:40:01

아...그런가요? 카더라 통신의 위험인가요.
제가 학비론을 받은 경험이 없어서 지인의 경험을 얘기한겁니다.
지인이 모기지 쇼핑 중, 학비론때문에 좋은 조건을 받기 힘들었다면서 오토론 보다 학비론이 모기지에 좋지않은 영향을 끼쳐다고 하더군요.
브로커가 지인에게 그렇게 얘기해줬다고 합니다. 스튜던트론은 규모도 크고 많은 경우 10년이상 지속되서 모기지신청시에 주시하는 항목이라고.
직접 경험한 내용이 아니고 지인의 경험담이라 섣부른 단어 선택으로 혼란을 드렸을 수 있겠네요.
악성채무라는 표현보다는 우선순위채무 정도의 표현이 적당했을까요.
아...이제 한국말도 잘 표현을 못하네요 ㅜㅜ. 영어도 안느는데...

만년초보

2017-08-27 11:22:52

이게 어떤 loan 이라도 발란스가 많으면 같은 영향이 있겠지 않을까요?

PTI (service ratio)만 적당히 나오면 되겠지만 (student) loan 이 많을경우
좋은 ratio 가 나올 가능성이 적을 것이고요. (고액 연봉이 아닌 이상).

어차피 collateral 이 있는게 모기지라서 LTV 80 정도면 underwriting 그렇게 어렵지 않겠죠.

자신의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한다고 하면 loan 하는 것도 좋은 결정 이겠지만
론 받아서 공부하는 것이 모두에게 맞는 결정은 아니겠죠.

론이 악성체무라서 미래를 (공부를) 포기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인것 같아서요.
(답글 하신것에 딴지 거는 것은 아니고 무슨 뜻으로 하신 것도 이해가 가지만, 취지가 잘못 이해될 수 있을것 같아서 질문 드린것이거요. )

필리어스포그

2017-08-27 12:43:39

두분 친절한 조언과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뭐든지 때를 놓치면 안된다는 생각에 확 결정했습니다ㅎㅎ
말씀해 주신 부분들에 대해서 주의깊게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론하고 또 모기지 해서 이율 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생각은 못해봤네요. 그 부분도 잘 생각해보겠습니다.

역시 잘 모를때는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닿게 되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poooh

2017-08-28 08:09:50

학비론이라고 특별히 악성채무는 아닌걸로 앎니다.

예전에는 학비론의 경우 정부에서 개런티 해주고 몇년이내에 못 갚으면 정부가  대신 갚아주는지 뭐 하여튼 안갚아도 되는  

정말  팬타스틱한  론이 였을적도 있습니다만

(이럴려면  꽤  사유가 길었던걸로 기억 합니다.. 최소 10년 이상전 일이라... 기억 가물가물... 확실치도 않고.. ㅎㅎㅎ)


그런데, 이런 텀들을  아들 부쉬때에 싹 다 바꿨습니다. 기존의 학생론들은 하나로 consolidate해라  이자 2% 감면 해주께 이런식으로요.

그리고 스튜던 론들을  private 에 다 팔아 넘기고 그랬습니다. (요즘에는 일부 스튜던 론을 안갚아도 되긴 해요.  몇년이 걸리긴 하지만 statue of limitation이 주마다 다름)  


어쨌든 student loan들이  요즘은  정부가 많은 부분은 개런토를  더이상 안하는걸로 앎니다. (예전에는 많은 부분을 했었습니다. 이건 정부 측 스튜던 론을 줄였다는 걸로 봐야 하는게 옳을것 같습니다)


하여튼 그러면서 은행에서는  이 스튜던 론이  한때에  은행들에게 꽤 괜찮은  product로 인식 되었습니다. (정부 채권 그래이드 정도 였나 그랬던거 같습니다.  개인에게는 프라이빗으로 옮겼지만, 그 론 자체는  정부가 게런티 해주는 론이니까요) student loan 으로 들어오는  cash flow 로  이런저런 프라덕트를 만들기가 좋았습니다. 특히 스튜던 론은  default율이  낮아서 secularized product 만들때  grade가  상당히 높았던걸로 기억 합니다. 그래서 다른 정크하고 묶어서 팔기 좋았습니다.  (요건  2007년도  sub prime  부분하고 관련이 좀 있습니다.)


뭐 하여튼  학비론이라도 일반 론하고 다른거 없습니다.. 그냥 크레딧 빚하고 같은 겁니다.  무담보 대출이죠.



DaMoa

2017-08-28 09:40:07

푸우님    "요즘에는 스튜던 론을 안갚아도 되긴 해요"  라고 하셧는데 무슨 말씀인지요??

졸업하고 한 7년째 학생론을 갚고있는데요   인컴에 따라 조절되는 패이먼트로 하고있었는데

이제 인컴이 높다고 패이먼트를 못 줄여준다네요      그런데 자꾸 론컴퍼니에서 패이먼트 낮춰주고 10년갚으면 나머진

없어진다 뭐라   하면서 계속 전화가 오는데 솔깃하거든요...

이넘에 패이먼트 620불때문에 아주 그냥..

poooh

2017-08-28 09:45:25

헐... 배째시면 안갚아도 된다는 말씀입니다.  크레딧 카드 빚도 안갚아도 되죠.  배째시면...

미국은  빚 안갚는다고, 깡패가 집으로 찾아오거나 그러진 않을꺼에요...  ㅋㅋㅋ


참고로  예전에는  스튜던 론은  안갚으면 안되었습니다. 파산을 해도 갚아야 하는  택스와 비슷한 레벨 이었지요. (정부한테 빌렸으니까요, 그런데 일정한 텀을 채우면 정부에서 grievance를 줬던것도 같고... 뭐 하여튼 그렇습니다. 기억안나요.. 넘 오래되서.....  --;)

요즘에는 스튜던론도  일반채무로 분류 되어서 파산을 하면 안갚아도 되는 부분이 있는걸로 알아요.  

네모냥

2017-08-28 14:10:06

학자금도 종류에 따라 파산을 해도 안갚아도 되는 부분이 있다는건 처음 알았습니다.

제가 아는 한은 Federal 이건 Private 이건 파산해도 학자금은 없어지지 않아 무조건 값아야 되는 빚으로 알고 있고, Refinance를 해도 텀에 적혀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많은 졸업생들이 높은 이자 및 파산불가 학자금에 허덕이고 있지요..

대신 Federal 학자금은 IBR, PAYE 와 REPAYE 같은 페이먼트가 있어서 20-25년동안 (기간은 언제 돈을 빌렸냐와, undergraduate 때 빌린 돈인지 graduate 때 빌린 돈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미니뭄 페이먼트를 꼬박꼬박 값으면 그후에는 남은 돈을 탕감해주는 건 있긴 합니다만. 이 역시 파산해서 없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poooh

2017-08-28 16:19:12

https://www.usnews.com/education/blogs/student-loan-ranger/articles/2016-10-26/understanding-the-statute-of-limitations-on-student-loans



여기 대강 보니깐  내용 나오는거 같은데요.  제가 영어가 짧아서 다 이해는 못하겠고 :)

대충 보니깐  private student loan은  일반 채무와 같이 취급 되는거 같습니다. 

스탠포드나 펄킨스 론 같이 정부 주도하에  빌린 론은   반드시 갚아야 하는거구요.



아마도  제글이 그냥  스튜던 론이라 적어서  모든 스튜던론을 안갚아도 된다는 뜻으로 오역이 된거 같습니다.

모든 스튜던론을  안갚아도 되는건 아닌걸로 앎니다.  private student loan의 경우에만 그렇다 라고 정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poooh

2017-08-28 08:13:27

집을 당장 사실수 있으시면,


집을 사시고  세컨 모기지로 학비 충당 하시지요.

이게 어쩌면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을수 있는 방법 입니다.

이 세컨모기지 라는게  집의 밸류만큼  집을 담보로 잡고 론을 받는데  이자가 아마 모기지 다음으로 낮을 겁니다.  (대략  4-6% 정도?)

스튜던 론은  7-8% 할꺼에요. 


둘다  택스 디덕션이 되긴 하는데,  택스 디덕션 할수 있는 리밋이  스튜던 론이 더 낮은걸로 앎니다.  (아마 하우스 인컴이  20만불이 넘어가면 안되던가 그럴겁니다.)

하지만, 집은 그 리밋이 없는걸로 알구요.  


즉,  세컨모기지가 더 유리해요.  학비로도요.

크레오메

2017-08-28 13:48:44

제가 이말을 하려고 했습니다.


3년전에 집사서 equity가 올라가는 바람에 작년 15년으로 재융자해 학자금 갚은 1인입니다. :)

학자금 7~8% vs 재융자 3%. 엄청 다르더라고요.


대신 학자금 이자, 택스 디덕터블은 앞에서 말한대로 연 2500불 한도로 무조건 항상 깎이는게 모기지로 갚을땐 이 혜택이 없어지는건 참고하세요.

집에대한 이자나 택스같은건 itemized라 인컴레벨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안될수도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필리어스포그

2017-09-09 16:33:25

새로운 내용이네요.. 잘 모르고 있었는데 좋은 옵션 같아요

잘 알아보고 이 옵션 잘 생각해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목록

Page 1 / 1039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6692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032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594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6794
updated 20776

한국 휴대폰 번호 없을때 알뜰폰 가입?

| 질문-기타 13
럭키경자 2024-06-01 1135
updated 20775

2024 Kia Forte 구매 예정입니다

| 질문-기타 21
iOS인생 2024-06-03 1776
updated 20774

현재 보험회사(Farmer’s)보다 AAA 1년치 견적이 $1,000 낮으면 옮겨야 할까요?

| 질문-기타 9
활기찬하루 2024-06-04 1341
updated 20773

차 fluid 교체에 대해 질문있어요: 브레이크액, 미션 오일

| 질문-기타 14
sono 2024-05-21 1021
updated 20772

요즘 배터리 잔디깎기 (Mower)는 성능 괜찮나요? (25-inch Greenworks)

| 질문-기타 38
  • file
Alcaraz 2024-06-04 1646
updated 20771

salvaged title 이었던 차가 clean title이 될 수 있나요? (업뎃: 사기 당한 것 같습니다) (최종업뎃: 차 팔았습니다)

| 질문-기타 17
피피아노 2024-04-24 2925
updated 20770

한국 거주 7살 여아: 미국에서 사갈 수 있는 선물 추천부탁드립니다

| 질문-기타 16
한강공원 2024-06-03 1244
new 20769

HVAC condenser replacement. AC 외부 유닛 교체

| 질문-기타 4
모으자떠나자 2024-06-04 358
updated 20768

라스베가스 HVAC Unit 교체

| 질문-기타 10
  • file
DavidY.Kim 2023-05-17 1159
updated 20767

CA tax return amendment 보낼 때 federal tax return copy 보내야 하나요?

| 질문-기타 10
49er 2024-06-01 543
updated 20766

MD 볼티모어 이주 지역 추천

| 질문-기타 13
bibisyc1106 2024-06-03 1165
updated 20765

리엔트리 퍼밋 신청 이후 3달째 업데이트 x. 그냥 기다리면 될까요?

| 질문-기타 7
NCS 2024-06-03 373
updated 20764

Charles Schwab Checking Referral 부탁

| 질문-기타 103
kuel 2016-12-07 5214
new 20763

Estimated tax payment 관련 질문드립니다.

| 질문-기타 1
행복한생활 2024-06-04 274
updated 20762

한국 출생신고 안한 아들에 대한 2중국적 자동 취득 관계

| 질문-기타 37
인생역전 2024-05-31 3117
updated 20761

뉴욕 Ezpass 매달 차지되는 1불 유지비 안내는 플랜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 질문-기타 46
피넛인포트 2024-06-03 1188
  20760

뉴저지 한국 고기집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질문-기타 33
49er 2024-05-26 2951
  20759

아내 ITIN 만료 관련 세금 문제 질문 있습니다.

| 질문-기타
JODAL 2024-06-04 145
  20758

P2 가 곧 둘째 임신하려고 하는데.. 보험을 어떤걸 들어야 할까요?

| 질문-기타 16
MilkSports 2024-06-03 1442
  20757

동생 남편감 찾습니다 (공개구혼)

| 질문-기타 112
풍선껌사랑 2024-05-27 2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