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컴이 오긴 했는데....산넘어 산이네여...

Dan, 2012-10-20 03:51:02

조회 수
4593
추천 수
0

아기다리 고기가리 던컴이 왔는데....


역시나 쉽지 않네여....


일단 첨으로 컴을 분해(?) 했구요. 말이 분해지 사실 나사하나 빼고 옆면을 스르륵 하면서 컴의 내부가 보이더군요.

여기에 여쭙기전에 나름 좀... 공부한답시고 네이버도 보고, 인터넷도 뒤져보긴 했는데....


일단 제가 추가로 산건 1T 하드와 (SATA?) 256GB SSD를 샀구요. 이제 이걸 장착하는게 일이었는데 나름... 전원코드도 꼽고... 마더보드와도 연결했습니다. 삼성 SSD는 따로 케이블을 주지 않아서 사와서 연결했습니다. 그나저나 마더보드에 그 케이블 꼽는게 딱 4개 있는데... 1개는 DVD, 1개는 원래 1T 하드 (델에서 온거) 그리고 나머지 2개는 지금 산 하드들로 연결하니...이젠 남은게 없네여. 그나저나 말이 연결이지 정말 연결만 했구요. 따로 하드에 장착하는건 포기했습니다. ㅋㅋ 하드 꼽는데 살포시 얹혀놓고...하드를 들거나 움직이면 빠지던데... 데스크탑 움직일 일 없으니 조용히 두면 되겠지...하고 있구요. SSD도 연결만 하고 중간에 공간 있는곳에 (DVD 밑에) 슬며시 밀어놓기만 했구요...


자..아직까진 부팅전이구요. 딱 여기까지 작업해놓구서... 일단 집을 떠나온 상태인데... 이제 앞으로 할일은...


컴이 잘 부팅이 될지.. .(제발 그러길 바랍니다. 혹여라도 제가 작업하는중에 어딜 망가트린건 아니길....)

2개 연결한 하드가 잘 연결이 되었을지..따로 어떤 작업을 해서 인식을 시켜야 할지...또 설정해야 할게 있을가요?

그리고 제일 궁금한건..어떻게 SSD에서 부팅을 할 수 있도록 바꾸는지와.... 또 하나는..어떻게 SSD를 C 드라이브로 인식시킬지...그래서 프로그램 까는것들을 대부분 여기에 두고, 데이타 파일들을 나머지 2 하드에 남아두려고 하거든요. 

(아..바이오스 나오고 모 msconfig 나오고 그러기 시작하면 좀... 벌벌 떨게 되는.....)


인터넷 뒤져봐도 아주 쉽게 설명이 잘 되어있을듯 한데...은근히 제가 원하는 답을 찾기가 좀... 네이버도 보고 유투브도 몇개 봤는데 여전히 좀....


감사합니다~~~~ 


46 댓글

개골개골

2012-10-20 04:45:39

1. 마더보드와 HDD 간의 케이블 연결은 글에 나와 있는데, 파워서플라이에서 나오는 전원 공급선도 연결하신거죠? 확인차 ^^

2. 그리고 HDD 랙에 얹어만 놓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 설치가 완전히 끝나기 전까지는 다시 빼야할지도 모르니 그냥 두시구요. 설치가 완료되면 나사로 HDD 랙에 고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케이스에 HDD Bay가 4개나 있기는 한가요? 작은 케이스는 2-3개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일단 HDD는 진동에 약한 물건입니다. 그래서 스크류로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달달달달~ 거리면서 소리가 날껍니다. 예민하면 귀에 거슬리기도 할 뿐더러, HDD 수명에도 좋지 않습니다. 두번째로는 통풍에 안좋습니다. 의외로 케이스라는 물건은 공기 역학적으로 CPU 쪽에서 나는 뜨거운 열을 어떻게 대류시켜서 방출할지 섬세하게 고려해서 만든 물건입니다. 그래서 있어서는 안될 곳에 HDD가 놓여 있으면 발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일단 컴퓨터 부팅하면 CMOS 세팅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이건 메이커마다 다른데, F12라던가 하여간 처음 부팅하고 Welcome화면 뜰 때 보면 화면 어딘가에 세팅으로 들어가려면 이 버튼을 눌러라. 뭐 이런 정보가 뜰겁니다.

4. 그리고 이 CMOS 세팅에서 새로 장착한 HDD와 SSD의 Drive Number를 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떤 장비로 초기 부팅을 할지 결정하게 되는데, 이 때 SSD가 C드라이브가 되도록(Primary Boot Device) 세팅하시면 됩니다.

5. 그러나 문제는 아~무~런~ 준비 없이 새 SSD를 C드라이브로 잡으면... 네 부팅이 안됩니다 ㅋ 혹시 집에 Windows 설치 DVD가 있으면 바로 DVD로 부팅해서 SSD에다가 윈도우를 깔면 되겠네요. 

김미형

2012-10-20 06:46:44

개골님 말씀대로 HDD 는 고정 시켜야합니다. 굳이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죠. 잘못하면 한번에 모든  data 가 날아갑니다.

그리고 Windows 를 인스톨하면 제일 나중에 인스톨한게 default 로 부팅이 됩니다.  HDD 에 인스톨하고 (또는 인스톨 되있고) SSD 에 나중에 인스톨하면 부팅할때마다 자동으로 SSD 로 들어가게 됩니다. 순서를 바꾸어서 인스톨 하면 SSD 대신 HDD 쪽으로 들어가게되죠. 특별한 조치 없이 DVD 를 넣고 인스톨해서 어디에 인스톨할거냐 물어보면 SSD 를 선택하면 됩니다.

두개 이상 Windows 를 인스톨하면 부팅할때 어디로 부팅할지를 물어봅니다. 보통은 30초동안 선택하는데 HDD 로 갈지 SSD 로 갈지 선택하면됩니다. 그냥두면 default (나중에 인스톨한 Windows) 로 부팅합니다. 이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다거나 default Windows 를 바꾸고 싶으면 'startup and recovery' 에 가서 바꿀수 있습니다.

WR

2012-10-20 07:38:18

위에 개골님과 미형님께서 잘 설명해 주셨네요. 하나 간단하게 덧붙이자면, 윈도우 새로 설치하것도 중요하지만 예전 data를 잃어버리지 않는것도 중요해요ㅎ 만약 저라면 이렇게 할거 같네요.

지금 말씀하신대로 연결을 다 하셨으면 컴퓨터 전원을 켰을때 드라이브 2개가 잡힐거에요(새로 연결하신 1TB HDD, 256GB SSD). 우선 이 둘을 사용하시려면 포맷을 해야합니다.

포맷 하시고, 새로 구매하신 1TB HDD에 데이터를 전부 백업해두세요. 그 후 새로 구매하신 1TB HDD를 떼어내시고(SATA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을 잠깐 뽑아 두시는거죠,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안전장치--> 이렇게 해 놓으면, 윈도우 설치하다가 뭐가 어떻게 잘못되어도 data는 안전하니까요. 윈도우야 잘못되면 다시 깔면 되지만, data는 날아가면 안되니까요) 위의 설명대로 CMOS 셋업 후 SSD에 윈도우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SSD에 윈도우 설치가 무사히 끝나면, 기존 하드는 그대로 둘 필요가 없어지겠죠? Data는 새로 구매하신 1TB HDD에 다 들어가있고, 새로운 윈도우는 SSD에 설치가 되었으니까요.

다 하셨으면 기존 HDD를 포맷 후 정리 한번 하시고 Data 저장용 드라이브로 사용하시면 될거 같아요.

다 끝나고, 새로 구매하신 1TB HDD 연결하시면 바로 인식 될겁니다.


Dan

2012-10-20 14:11:54

자세한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 


아... 어떻게 고정을 해야할지..막막하네여...일단 좀더 인터넷으로 찾아봐야 겠네여. 사실 컴퓨터에 뭐를 다는게 처음인지라... 원래 손재주가 없는것도 있지만..(벌써 상처가 약간...흑흑) 하드를 어떻게 고정하면 될지...좀 애매하던데여...각도같은게..현재 장착되어있는 하드는 볼트 / 너트로 고정되긴 했는데..그게 하드드라이브들이 들어가는 공간 말고 옆에 고정되었다고 해야할까여? 암튼 그런 편이고...또 SSD는 그것대로 딱 어디가 싶은데가 사실 없었던지라... 흐미..이거 다시 들고 컴 하는게 가야하는게 아닐까 하는 불안마저...


그리고.. Windows 인스톨은 어떻게 되는거지요? 제가 아직 따로 DVD를 받질 못했는데.. 달라고 요구를 해야할까여? 일단 Windows가 딸려 나온 하드에는 인스톨이 되어있을텐데.. SSD에 인스톨을 한다라는건 어떤 과정이어야 하는건지 좀 애매하네요...


일단 하드 고정부터...더 연구해 봐야 겠네여..

철이네

2012-10-20 15:15:45

컴퓨터 내부사진을 여기 몇장 올려시면 조언에 도움이 될것 같아요.

어디에 새로 산 HDD, SSD를 달지 봐드릴 수 있거든요.

 

그리고, 일단 새 컴퓨터니깐 "새로 산 SSD/ HDD"를 연결하지 말고 그냥 켜신 다음에 사용자설정을 마치고 필요없는 프로그램은 지우신 다음에,

"backup and restore"에서 "Create a system image"나 "create a system repair disc"를 만들겠습니다.

(제 기준으로 필요없는 프로그램은 1달혹은 3달 유효한 백신, MS office, trial 게임등이 되겠습니다. 예전엔 MSN 브라우저, AOL 등도 있었죠)

 

그 다음에 원래 달려 있던 HDD는 un-케이블하시고, SSD 하나만 연결하고, 방금 만드신 백업DVD 혹은 복구 DVD로 새로 시스템을 깔아 보세요.

SSD 만으로 부팅이 잘 되면 그 담에 2개의 HDD를 추가로 연결하면 되지 않을까요?

WR

2012-10-20 15:38:12

아 HDD랑 SSD만 구입하신게 아니라, 컴을 아예 새로 장만하신거군요ㅎ data 백업에 관한 제 얘기는 신경쓰지마세요 ㅋㅋ

개골개골

2012-10-20 21:42:10

철이네님의 조언이 현실적으로 Dan님이 제일 쉽게 (하지만 5-6시간은 각오하셔야 할듯) 할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아요. 솔찍히 저도 컴퓨터 만진지 그러저럭 20년 넘었는데 그냥 귀찮아서 "완제품"만 산답니다 ㅎㅎㅎ

그리고 SSD는 2.5인치짜리죠? 3.5인치로 바꿔주는 가이드가 딸려오지 않았다면 컴퓨터부품상에서 가이드를 별도로 구매하셔야겠네요.


기존에 달린 하드가 가로로 놓여 있지 않고 세로로 HDD 베이 밖에 고정되어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크기가 작고 이쁜 케이스들은 HDD 붙일 공간이 없어서 그런식으로도 많이 고정합니다. 작고이쁜케이스 = 조립하기무지어려운 케이스 ^^ Dan님이 직접 케이스 내부 사진을 찍어서 올려주시는게 제일 확실하겠네요.

김미형

2012-10-21 06:26:32

SSD 는 위 개골님 말씀대로 rack 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몇몇 Kingston 이나 삼성 제품들은 이런 mount kit 이 같이 딸려오기도 합니다. Frys 가 가까운곳에 있으면 좋은데 없으면 best buy 나 Radio shack 에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없으면 Frys online 에서 아래와 같은것을 구입하실수 있습니다.

untitled.JPG  


Windows DVD 가 없을때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둘다 약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1. Image 만들기

Windows 7 부터는 system 을 통채로 단일 파일을 만들수 있습니다. 이 파일만 복사하면 Windows 를 설치할 필요없이 그냥 쓸수있습니다. 사실 이 개념은 이미 Ghost 나 True image, VMware 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왔던걸 MS 에서 도입한거죠. 저는 Linux 를 사용하기때문에 VMware 를 오래동안 사용해왔고 모든 Windows system 은 Ghost 나 True image 로 백업해왔기때문에 Windows image 를 만들어 사용하고있습니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System backup 에서 image 를 만들면 xxx.VHD 파일이 생성됩니다. 그러나 이걸 새 디스크에 mount 하는게 약간 어렵습니다. 그러나 한반 알고 나면 너무 편하게 backup 을 할수 있습니다. 지금 system 이 마음에 안들면 파일만 새로 복사만 하면 됩니다. 이방법을 원하시면 따로 댓글을 올리겠습니다.

2. 다른 drive 에 backup 하기 (이 방법은 위에 철이네님이 간단하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a. 일단 1TB HDD 만 연결합니다 . 부팅하시면 이게 E: drive 로 잡힐겁니다 (D: 는 보통 recovery drive). 

  b. Backup and recovery 로 가셔서 Create system image 를 선택합니다. 

  c. 백업할 드라이브로 E: (1TB HDD) 를 선택합니다. 

  d. 중간에 recovery disk 를 만들거냐고 물어봅니다. 반드시 만드셔야합니다. 끝나면 E: drive 에 WindowsImageBackup 란 directory 가 생기고 거기에 xxxx.VHD 파일이 생깁니다.  

  e. 이제 원래 있던 HDD 의 cable 을 뺍니다.

   f. SSD 를 제일 앞쪽 slot 에 연결하고 1 TB HDD 를 그다음에 연결합니다. 

  g. 위에서 만들었던 recovery disk 를 넣고 DVD 로 부팅합니다.

  h. Keyboard 를 선택하고 usenamr/password 를 입력하면 SSD 가 보이고 그걸선택하시고 아래는 이전에 만든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구하느것으로 하고 next 를 누르면 자동으로 이미지 파일을 찾습니다.

  i. 이미지가 하나밖에 없으므로 1TB 에있는 이미지가 보이고 그걸 선택합니다.

  j. 다음에 백업할 위치를 SSD 로 선택하고 next 를 선택하고 다음에 finish를 누르면 복원이 됩니다.

  k. Restart 하면 SSD 로 부팅이 됩니다. 

   

Dan

2012-10-23 17:28:33

아...정말 산넘어 산이네여...쯧쯧...

 

일단 제가 겪었던 어려움들을 설명을 드리자면....

 

첫 부팅후... 제가 인스톨한 하드드라이브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더군요. 드라이브로 잡기 위해 Disk Management에 갔지만 거기에 뭐...Unallocated로 일단 잡혀야 파티션을 나누고 어쩌고 할텐데...(여기서도 물론 MBR과 GPT에 뭘 해야할지 모르니..버벅...ㅋㅋ) 여기에 보이지 않는 문제...그래서 열심히 구글 했더니..

Computer - 우클릭 Properties - Device manager - Disk Drives에 가서 보면 하드가 보일테고...이걸 Unistall 했다가 다시 Action에서 Scan하면 된다라고 하더군요... 역시나 그 덕에...하드 둘다 (1TB 와 SSD)는 I (SSD Drive) S(1TB)로 일단 드라이브를 잡았습니다.

 

암튼.. 정작 문제는... 오리지널 하드 (C drive)를 연결하지 않고..I 와 S 그리고 DVD로 부팅을 하면...에러가 발생합니다. 에러 메세지는... 모 대략

This version of System Recovery Options is not compatible with the version of Windows you are trying to repair. Try using a recovery disc that is compatible with this version of windows. 나름 구글을 해봤지만 너무 복잡한 나머지... 어떻게 해결을 해야할지 좀 막막하네여. 특히나 김미형님이 말씀하셨던 SATA Slot과 연결이 있는것 같기도 하던데...어떤 글에서는 하드를 하나만 연결하면 된다라고 해서 해봤는데...그렇게 하니..화면은 넘어가는데.... 이젠 Recovery가 또 안되더군요...

 

좀더 열심히 찾아보고 있습니다...이구궁...

 

김미형

2012-10-23 19:10:16

하드를 하나만 연결하면 같은 하드에 recover 를 해야하니까 당연히 안되죠. 하드를 셋다 연결해야 겠군요. 조금 위험해서  원래 하드를 빼라고 했는데 셋다 연결해서 recovery 를 시도해 보세요. 하드의 용량을 잘 기억하고 계셨다가 반드시 SSD로 recover 하셔야합니다. 그렇지않고 원래 하드에 하시면 생각만해도... 

----------------------------------------------------------------------

이게 안되면 맨 첫번째 개골님의 댓글중 4번 Bios setup 에서 하드 순서를 바꿔서 해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고민 많이 하지마시고 다시 댓글을 올리세요. 다른 방법도 있으니까요.

duruduru

2012-10-23 19:23:09

덮어쓰기?

김미형

2012-10-23 19:24:42

잘되면 상관없는데 가끔 안될때가...

Dan

2012-10-23 19:28:08

일단 원래 하드(c)가 연결되면.....부팅이 그냥 되버리는데요? 



혹시 sata 의 우선순위 문제일까 싶어서 dvd를 제일먼저로 해놓았지만 여전히.....원래 하드가 연결되면 dvd 는 무용지물이ㅡ되는군요....흐미...아예 윈도7을 다운받고 하드 다빼고 ssd 먼 연결하고 새로 깔아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김미형

2012-10-23 19:32:53

부팅때 F8 키를 누르세요.

Dan

2012-10-23 19:33:42

헐...순서를 바꾸니 일단 restore 가 되는데요? Dvd 0, ssd 1, 새하드 2, 원래 하드 3 으로 했을땐 그냥 부팅.

이번엔 원래하드만 빼고 restore 하는데 일단 디고 있습니다.....아 제발.....:)

Dan

2012-10-23 20:13:38

켁....반대로 되어버렸네요..... 제가 ssd 에 이미지파일넣고 ssd 만 가지고 recover를 시도하다가 실패를했었는데요... 그걸 지우지 않고 새로산하드만 추가해서 redyore 를 하다보니...반대로 리스토어가 되버렸네요...즉 ssd 나 사로산 하드에 둘다 recovery image 가 있는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recover 가 된거죠...나름 자신감을 얻고...다시 깔끔하게 시도를 했는데....(여기서 배운 중요한건 하나는 이미지 파일을 갖고 있는애가 우선으로 있어야 작동을 하네여....즉 ssd 가 뒤2번이고, 이미지파일 가지고 있는 하드가 1번으로요...)


암튼,,,,아쉽게도 결론은 아직도 실패네여...살패이유는...the disk that is set as active in bios is too small to recover the original system disk. Replace the disk with a lager one이라고 나오는군요.... 흠...ssd가 256기가인데 아마 이미지파일 만드는 하드(원래 하드) 용량이 1테라바이트인지라....그런건가요? 


김미형님..넘넘 감사드립니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고....아쉬움을 뒤로하며 돌아서야 겠네요...

김미형

2012-10-23 20:28:03

이런건 금방 며칠 날밤 샘니다, 어느 정도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일단 주무시구요. 내일은 아래링크에 가셔서 Dan 님이 갖고 계신것과 똑같은 윈도우 이미지 파일을 다운받으세요. Dan 님의 컴푸터 어디에 보시면 Windows7 key 가 보일겁니다. 본인이 구입한 key 를 사용하는한 불법은 아닙니다. 다운받은 이미지 파일을 right click 해서 Burn disc image 를 선택해서 굽습니다. 이 DVD 로 새로 SSD 에 Windows 7 을 인스톨합니다. 물론 key 는 컴퓨터에 붙어 있는걸로...

http://www.mydigitallife.info/official-windows-7-sp1-iso-from-digital-river/  

철이네

2012-10-23 20:33:17

델 컴퓨터 오더할때 DVD추가 옵션이 있는데 1-20불정도 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주변에 델 Win 7 installation DVD 가지신 분 있으면 그냥 갖다가 인스톨하면 윈도우키도 안 물어보는걸로 알고 있어요.

home이냐 Pro냐 그것만 맞으면요.

Dan

2012-10-21 10:31:39

자세한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 아쉽게도 화요일쯤 되서야 컴퓨터 작업(?)을 할수가 있을테니... 내일이라도 일단 컴 내부 사진이라도 올려보겠습니다.


김미형님 글을 보고 일단 대략적인 개념은 잡히는데...ㅎㅎ 


1. 하드드라이브 고정.

 - SSD는 삼성꺼구요. 나름 데스크탑에 연결할 수 있는게 들어있었고고 그거와 연결해서 본체와 연결(SATA Data cable + 파워)을 해 놓긴 했는데..사실 고정을 해 놓은게 하나도 없네요. DVD와 Hard drive Bay 사이에 들어가는 공간이 있어서 일단 집어 놓았는데.. 딱히 움직이거나 그러진 않았구요. 선이 약간 짦아서 아주 수평으로 늬어여 있진 않고...갸름하게...

- 개골개골님 말씀대로 Hard Drive Bay가 세로로 본체와 연결되어있고 (뒷면에서 봤을떄) 원래 하드와 제가 산 하드를 일단 집어 넣긴 했는데... 원래 있던 하드는 베이안에 있으면서도 실제 고정은 본체와 되어있더군요. 그리고 새로 산거를 고정시키는건 사실 꽤나 어렵게 되어있는지라.(모르는 선들의 압박) 아마 아예 Bay를 빼서 두개를 다시 고정시킨담에 Bay를 다시 본체와 고정시켜야 되지 않을까 싶네요.


2. 일단 blank DVD가 없는데...혹시 USB Drive로는 안되려나요? 이궁... 아니면 가는길에 다시 사야 겠지요? 


3. f에 보면 앞쪽 Slot에 연결이라고 하셨는데...혹시 마더보드의 slot도 우선순위가 따로 있는건가요 그럼? 제일 앞쪽 Slot에 연결하신다는 말씀이 조금 헤깔려서요...


4. 혹시 민폐가 아니라면... Image 만들기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는지...좀 부탁드리고 싶사옵니다. :) 저는 Back up이라는게...아주 아주 무식하게..그냥 Music / Pictures를 통째로 Copy한담에 External Hard drive에 그냥 Paste 해놓는게 저만의 backup이었거든요. 일단 딸려 온 SSD에 보니 Ghost가 있긴 한데... 사실... 어떻게 쓰는건지는 잘 모르죠. ㅋㅋ 써놓고 보니 완전 컴맹으로 보이는데 나름 소프트웨어 잘쓰는데..하드웨어 / 부팅쪽으로 완전 문외한인거죠...이궁.


5. 다행이 Backup 해야 할 파일이고 모고 일단 다 External Hard drive에 다 옮겨 놓은지라..그 부분은 일단 좀 안심이네여.


넘넘 감사드립니다. 내일 새벽에 집에 가면 사진부터 찍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김미형

2012-10-21 16:32:17

2. 일단 DVD 에 recovery 를 만든후에는 recovery USB 를 만들기가 쉽습니다만 DVD 가 없는 경우는 recovery image 를 따로 구해야합니다. 그리고 MS 에서 USB tool 을 다운로드해서 할수 있는데 그냥 Walmart 이나 Bestbuy 에서 5개짜리나 10개짜리 사셔서 하시는게 가장 편할듯 싶습니다.

3. Motherboard 에보면 HDD 연결하는데 IDE/PAPA 나 SATA 에 보통 1, 2 가 쓰여져있습니다. 1 이 첫번째 slot 입니다. 하나만 있거나 번호가 없는경우는 아무데나 꽂아도 될겁니다. 그냥 만일을 위해서죠.

4. 여기서 얘기하는 backup 은 Windows system backup 입니다. 보통 data (documents, music, etc) backup 은 backup and restore 에서 'create system image' 대신 오른쪽에 있는 'setup backup' 을 누르시고 무슨파일을 어디에 backup 할지 결정하고 backup 하시면 됩니다. 이 방법은 Dan 님이 하신 방법하고  같습니다. Dan 님이 무식한게 아니고 원래 그렇게 해야하는데 대부분 귀찮으니까 한꺼번에 할수 있게 MS 에서 backup 기능을 넣어놨죠. 자세히 읽어보니 Dan 님이 원하시는건 data backup 이기 때문에 지금하시는데로 backup 을 하시거나 Windows 에서 'setup back' 을 이용하셔도 될듯합니다.

위 system recovery 는 Windows system + data 를 backup 하기때문에 data 만 data 만 backup 을 원하시면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스크래치

2012-10-21 16:45:34

저는 그냥 완성품 사야 겠습니다...

김미형

2012-10-21 17:00:17

요즘은 완성품에 SSD 가 대부분 달려있는것 같습니다. 완성품이 싸기도 하구요.

스크래치

2012-10-21 17:49:05

야직도 컴 장만을 못했습니다. 하나 사야 하는데 말입니다.

김미형

2012-10-21 18:18:58

아직도 못사셨군요. 

스크래치

2012-10-21 18:24:25

네...

철이네

2013-01-07 13:18:09

지금 보시는 아이맥이 위에 말씀하신 완성품인가요?

개골개골

2012-10-21 18:02:50

이번에 iMAC 새버젼이 발표될께 거의 확실한데 그거나 하나지르시죠. ^^ 저도 아번주에 발표하면 SSD만 추가해서 바로 장만하려고 대기중입니다.

집안의 가전이 하나씩 백색가전(?)으로 채워질때마다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생겨요 ㅎㅎㅎ

김미형

2012-10-21 18:09:04

개골님 회사에서 백색가전을 싫어할텐데...

개골개골

2012-10-21 18:30:49

그렇지도 않은게 회사 보급품 노트북으로 엔지니어는 90% 이상 백색가전으로 선택합니다. 이번에 이이폰5 사고 회사에서 사줘서 고맙다고 보조금도 받았어요 ㅋㅋ

김미형

2012-10-21 18:55:26

잡스와는 딴판이군요. 그런데 백색가전을 사는데 왜 회사에서 고마워하죠?

JLove

2012-10-21 19:11:54

ㅎㅎ 저두 왜 고마워하는지 궁금합니다 ㅋ

새로나온 애플맵의 써치 기능이 거시기해서 항상 구글맵 쓰고 있습니다 ㅋ

김미형

2012-10-21 19:25:48

저도 구글맵을 다시 깔아쓰는데 이게 좀 불편하군요. IOS5 에서는 길 찾기를 하면 자동으로 구글맵이 떴는데 이제는 애플맵이뜨는군요. 이걸 구글맵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나요? 탈옥을 해야하나요?

개골개골

2012-10-22 03:44:34

고마워한다기 보다는. 그냥 자사 관련 상품을 사나 백색가전을 구입하나 동일한 혜택을 줍니다. 대범하다고 할 수도 있고.  제 회사에서 애플쪽으로 1년에 최소 맥북 만대 이상은 오더할 것 같은데요.

Dan

2012-10-22 03:38:44

오늘 아침 일찍 얼마 안되는 시간이지만... 사진도 찍고 이번엔 좀더 자신있게... 하드 드라이브 베이를 분해해서... ㅋㅋ (막상 해보니 모 별거 없던데.. 왜 그리 긴장하고 그런건지...사실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지 못해 버린것도 꽤 되는지라..항상 조심하는.... ) 하드 1TB 각각 달았습니다. (물론 중간에..어떤게 오리지널인지 헤깔리는 바람에... 아마존가서 제가 오더한테 뭔가 확인하고 나서야...쯧쯧)


SSD카드는 하드 3.5인치로 늘릴 수 있는걸 줘서 거기에 잘 연결을 했는데요. 사진 보시면 아시겠지만..제 하드 드라이브 베이가... 딱 2개만 들어가는거더군요. 그래서 머리를 굴리다가.. 일단 나사 한개로만..일단 DVD와 하드드라이브 사이에 고정을 해 놓긴했는데 좀 미덥지 않네여. 혹시 어디 다른곳에 넣을만한 곳이 있을까요? 이리 저리 들어갈만한곳을 찾아봤는데..별로....


위의 사진이 원래모습이고 2번째 사진이 제가 나름 일단 하드와 SSD를 붙인 사진입니다.


095-1.jpg 096-1.jpg

아 그리고 마더보드 보니깐..Sata Data table 꽃는곳에 역시나 0/1/2/3으로 순서가 있더군요. :) 0은 일단 DVD로 연결되어있고, 1이 원래 하드와 연결되어있구요.


오늘 저녁이나 내일 저녁은 드디어..컴을 켜서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손봐야 될듯 싶네여. 또 업데이트 올리겠습니다~~~

개골개골

2012-10-22 03:54:07

네.. 제대로 하신거 같은데요. SSD도 고정이 잘되어 있으면 좋겠지만. SSD는 안쪽이 메모리 반도체로 차 있고 따로 스핀들(디스크 장비와 모터)이 없기 때문에 그냥 고정만 되어 있어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표시한 곳이 원래 3.5인치 짜리 플로피 드라이브를 달도록 되어 있는 곳 같은데, 거기에는 들어가진 않던가요? 저기다 넣으려면 케이스 앞쪽에 구멍을 만들어야 될 수도 있는데 (원래 FDD를 밖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공간이라), 만약 그렇다면 그냥 현재 배치한대로 놔두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464a3d919d066b7136f1de394f0430ab.jpeg


그리고 마더보드에 Sata 커넥터 순서가 있는거는 크게 상관 없구요. BIOS 세팅에 들어가시면 설치하신 SATA 디바이스들 중 어떤걸로 부팅할지 부팅 순서를 정해주는 설정만 하시면 됩니다.


철이네

2012-10-22 04:14:09

분해 조립 성공하셨네요.

SSD를 나사 하나로 고정하셨는데 하나만 더 구해서 2개로 고정시키면 괜찮을것 같아요.

안에 moving part가 없기 때문에 진동같은게 발생하지 않거든요.

혹은 바로 밑에 있는 3.5인치 베이에 그냥 들어가지 않을까요? SSD 밑에 보면 나사구멍 4개 있을텐데요.

Dan

2012-10-22 05:03:50

네.. 사실 그 안에 들어가는데요. 딱 이쁘게 들어가질 않고 좀 삐딱하게 들어가길래...어떻게 고민을 좀 했었죠. 아무래도... 3.5인치 같은데.. 아주 약간의 차이로..(아마 힘을 좀더 실었어야 할수도..ㅋㅋ) 

나사는 더 있는데요. 구멍이 없네여... 제가 하나만 장작한 본체 오른쪽에 빈 구멍이 있는데..이게 제가 가지고 있는 3.5인치와는 맞지를 않더라구요.


지금 SSD는 2.5인치 짜리이고..삼성에서 준거와 연결해서 일단 3.5인치 크기로 만든거구요. (네. 2.5인치 SSD밑에 구멍 4개 있는거로 일단 3.5인치와 연결한거구요) 집에가서 힘을 좀더 주고 밀어넣던지... 아니면 2.5인치 자체를 3.5인치와 연결하지 말고 그냥 3.5인치 베이에 고정할 수 있는지 찾아봐야 겠네여. 


넘넘 감사드립니다. 이제 DVD도 2개 구해놨으니.. ㅎㅎㅎ... 예전에 천리안 / 나우누리 통신할떄...오락게임 받아서 실행시키기전의 기분같은... 기대 반 + 걱정반...인 상태네요.

Dan

2012-10-24 18:45:40

휴....우여곡절 끝에... 원하는대로 정리가 되었네요.. 도와주신 분들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힘들긴 했지만 여러분들이 도와주셔서 나름 자신감있게 작업했던것 같고... 이걸 한번 해보니... 담엔 조립을 한번쯤 해볼수도 있을것 같은 착각(?)마저 드는군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Windows CD가지고 새로 컴을 깔아본건 이번이 첨인듯 하네요. (몇번 Factory Setting으로 돌아가본적은 있습니다만)


암튼..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스크래치

2012-10-24 18:49:24

아이고 이제 끝났군요. 고생하셨습니다. 덴님 덕분에 전 완제품을 사기로 결정 했습니다. ㅎㅎ

참...카메라는 마음에 드세요?

Dan

2012-10-25 03:45:34

카메라요? 아직 좀더 시간이 지나야 될듯 해요. 전 바지에 딱 들어가는 똑딱인주 알았다가... 그것보다는 좀더 크더군요. :)


아직 찍은건 몇장 없고..오늘 매뉴얼 들고와서 뭐가 뭔지 좀 읽어보려구요. 이뿐 케이스도 사긴했는데... 파나소닉에서 나온 목줄(?)를 빼지않고선 또 케이스에 들어가질 않네여..으그.. 암튼 네..맘에 들고 추천 감사드립니다. 11월에 한국가서 사진좀 찍고 저도 올려야져...ㅎㅎ 이번 기회에 Eye Fi도 또 배워야 되기땜시...암튼 감사합니다~~~

유자

2012-10-24 18:52:15

브라보!!!!

이 글엔 감히 뻘글 안 달고 조마조마 지켜보고만 있었어요. (뭐 지켜본다고 이해할 수 있는 말도 없거니와요 ;;)

열심으로 도와주시는 분들께 감동받고 믿고 의지하고 여쭤보시는 댄님께도 감동받고..

히히 이런 글 보면 게시판에 애정이 더 팍팍 샘솟는다니까요 ^^

수고하셨어요 ^^

Dan

2012-10-25 03:47:14

감사합니다~~~ 전 유자님의 알찬 글 보는게 하루의 재미에요~~~ 

철이네

2012-10-25 06:30:17

축하드립니다. 며칠만에 다 끝냈으니 성공하셨어요.

다음엔 파워서플라이유닛도 갈 수 있을겁니다.

밤새안녕

2013-01-07 08:40:46

오늘 SSD 를 보다보니, 이글이 눈에 띄는군요. 

잘 사용하고 계시죠 ? 

Dan

2013-01-07 08:53:16

ㅎㅎㅎ 넵. 첨으로 마일모아에 계신 많은 분들의 도움을 통해서 컴을 뜯어보고.. 또 나름 SSD도 끼워보고, 하드도 끼워보고 그랬네요.


아직까진 아주 대 만족입니다. :) 

만남usa

2013-01-07 11:13:42

전부 대단한 선생님들 이시라는....

열심히 따라 하셔서 성공한 Dan님이나 도와주신 선생님들(개골 개골님,김미형님 철이네님,WR님)께도 박수를 보냅니다...

글 보고 있으니 왠지 가슴이 따듯해진다는...

목록

Page 1 / 1042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7577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769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1074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9398
new 20826

핸드폰에서 단체문자(Group Chat) 발송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 질문-기타
xerostar 2024-06-11 11
new 20825

집 구매 건 - 계약서 사인 전 취소

| 질문-기타 5
오렌지와파랑새 2024-06-11 205
new 20824

마이너 아이들 차보험을 좀 저렴하게 하는 방법이 있나요? 테슬라 두대 $1300에서 $2800 으로 인상

| 질문-기타 4
Colorless 2024-06-11 634
new 20823

UPenn 근처에서 하루 할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 질문-기타 11
땅부자 2024-06-11 757
updated 20822

한국 비거주자에서 거주자로 변경시 부동산 양도세금 문의

| 질문-기타 6
이방인 2024-06-11 557
new 20821

초등학생 조카 학교 가는 방법

| 질문-기타 3
초코라떼 2024-06-11 604
new 20820

주식 브로커 계좌로 찰스 스왑은 안좋은거 같아요.. 또 다운..

| 질문-기타 5
hack2003 2024-06-11 904
updated 20819

2024 Hyundai Elantra SEL 가격 괜찮을까요?

| 질문-기타 11
iOS인생 2024-06-08 1406
new 20818

자동차 리스 계산 좀 도와주세요...

| 질문-기타 2
  • file
레슬고 2024-06-11 497
new 20817

Fidelity Buy at $xx.00 Good 'til Canceled 금액이 자동으로 $xx.yy 되는 현상

| 질문-기타 7
  • file
여행가는고니 2024-06-11 382
updated 20816

넷플릭스 한국 vpn 어떻게 보시나요..?

| 질문-기타 34
티끌 2021-03-03 15589
updated 20815

첫집투자는 멀티패밀리 유닛이 답일까요?

| 질문-기타 22
olivia0101 2024-06-10 2323
new 20814

시민권 받고 나서 이민 서류 처리를 어떻게 하시는지요?

| 질문-기타 4
소풍 2024-06-11 819
updated 20813

FBI 범죄 증명서와 아포스티유

| 질문-기타 78
Rockets 2020-05-05 13988
  20812

한국에서 $800이상 고가물건 구매 후 미국 입국시 세관신고 방법이 궁금합니다

| 질문-기타 18
여행이좋아요 2024-06-10 1916
  20811

병원 보험비 out of network 청구관련

| 질문-기타 6
sanitulip 2024-05-29 1055
  20810

미국 유학에 대한 고민과 결정

| 질문-기타 71
위대한전진 2024-05-06 10616
  20809

알러지약도 듣지 않는 seasonal symptoms 가지고 계시 분 있으신가요? (저의 경우 sore throat), 또 극복하신 경험이 있으신분

| 질문-기타 17
그루터기 2024-06-09 969
  20808

셀러마켓에서 지인에게 에이전시없이 집구매하는것이 좋은기회인가요?

| 질문-기타 22
주누쌤 2024-06-10 1562
  20807

이번 여름에 한국&일본 가는데 사올 꿀템들 있을까요?

| 질문-기타 82
스타 2024-02-21 9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