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EU 구글에 반독점 위반 벌금 $5B 부과

포트드소토, 2018-07-18 15:46:50

조회 수
3070
추천 수
0

" EU 조사 당국에 따르면 구글은 안드로이드 핸드셋 및 태블릿 제조업자들에게 구글의 검색 엔진을 별도 조치가 없으면 자동으로 설치(디폴트)되도록 요구하고 또 제조업체들이 구글의 플레이 앱 스토어에의 접근이 허용되기 전에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를 사전 설치할 것을 요구했다.
또 구글은 이 제조업자들이 안드로이드 체제의 오픈 소스 코드를 바탕으로 한 경쟁 운영 체제로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의 판매를 금지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3&aid=0008713396

라는 기사가 나왔네요.
이게 무슨 1990년 식 판결인가요? 억지도 너무 억지네요.. 아직도 윈도우즈 + IE 끼워팔기 식으로 구시대 생각하는 건지?
요즘 같은 인터넷 시대에... OS의 가장 기본중 기본은 웹브라우저인데 안드로이드에 크롬 넣는건 당연해 보이는데요.
게다가 안드로이드는 사실 default browser 도 변경 가능한데요.. 그럴 사람들은 적겠지만.. Opera나 Firefox 등 다른 브라우저가
좋으면 얼마든지 다른 걸로 설치해서 기본 브라우저로 쓸수도 있는데 억지를 부리는군요. 다른 브라우저가 망하는게
결국 크롬이 더 좋아서 망하는거지.. 구글이 억지로 끼워넣어서 망하는게 아닌데요. 간단한 예를 보아도 윈도우에 대부분 크롬 쓰잖아요.
IE 가 기본으로 깔려 있어도요.

그리고, 검색엔진도 구글 검색을 원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요? 다른 검색엔진이 있어도 안쓰는 상황인데요.. 게다가 검색엔진 바도 얼마든지 그냥 손으로 눌러서 삭제 가능한데요.. 이걸 강제로 항상 보이게 하는 것도 아닌데.. 참내..

 
그리고, 안드로이드 포크.. 즉 안드로이드 오픈 소스로 만든 다른 폰들이 구글 앱을 달고 판매하는걸 막았다는데요...
예를 든게 Amazon Fire OS 폰이네요... 파이어폰에 구글앱 설치 안되거든요. 구글이 그걸 막아서 경쟁이 안되서 파이어폰이 망했다는...
말도 안되는 망상을 하고 있군요.. ㅎㅎ
 
현재 안드로이드 마켓인 구글 플레이 스토어는 정식 구글 안드로이드 OS 에서만 깔리고 있죠.. 물론 꽁수로 다른 포크 버전에도 깔수 있지만 정식루트는 아니죠. 오히려 사실 요즘같이 바이러스 걱정이나.. 해킹등 고려하면 당연히 이렇게 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게다가 파이어폰이 망한건 그 폰이 후져서라는건 누구나 다 아는건데.. ㅎㅎ 정말 억지도 이런 억지가..
 
저도 독점은 참 싫어하는데.. 이번 EU 의 결정은 참으로 어이가 없다 봅니다.
 
~~~~~~~~~~~~~~~~~~~~~~~~~~~~~~~~~~~~~~~~~~~~~~~~~~~~~~~~~~~~~

댓글들이 길어지는데.. 몇가지 Fact 만 정리해보자면..
 
1. EU 는 구글에게 안드로이드 폰에서 모든 구글앱 (현재 11가지) 들을 초기 설치하지 말라고 함. 구글서치, 크롬, 구글 플레이스토어(앱 스토어) 포함

2. 현재 대부분 안드로이드 폰에는 이미 2가지 종류들이 다 설치되서 나온다. 구글앱들과 폰 제조사 앱들.  삼성, LG 폰들 경우도 자체 브라우저, 앱스토어 다 함께 설치되서 출시되고 있음. (구글이 폰제조사나 통신사의 기본 앱 설치를 막지는 않음.)

3. 현재 안드로이드 폰들에서 기본앱 지정은 제조사 마음이다. 기본 브라우저가 삼성 브라우저 일수도 있고, 크롬일수도 있다. 또한 구글앱들에서는 기본 서치 엔진, 기본 앱 변경이 자유롭다.
 
4. 구글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오픈소스 안드로이드 (AOSP) 에는 구글앱들을 preinstall 할수없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면 나중에 설치가능하다. 물론 공짜인 구글 안드로이드를 안쓰고 자체 AOSP 를 굳이 만드는 폰 제조사가 구글앱을 일부러 설치할리도 없다. (예를 들어 아마존 파이어 OS는 자체 앱스토와 자체 서비스를 팔기 위함이다.)

 

101 댓글

Comment Page Navigation

shilph

2018-07-18 15:51:23

EU 잖아요. 원래 주 수입원이 관광이랑 미국 기업 벌금인걸요 

자유인원조

2018-07-18 21:25:55

이러한 결정은 EU 관점에서 보면 합리적인 것입니다.

윈도우에 익스를로러를 우선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불법이었듯이  안드로이드에 크롬을 우선 설치하도록 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것이 EU의 사고입니다. 즉 OS와 웹브라우저는 다른 제품이고 따라서 끼워파는 것이 금지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글검색을 저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지만 기업이 제품판매하면서 다른 제품을 끼워팔기 하면 안된다는 사고이지요.

기본 검색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러한 검색을 처음부터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 EU의 기본적인 생각이지요.

EU의 사고가 나쁜 것이 아니라 미국과 다른 것이지요

 

미국은 terms and conditions를 가지고 있는 계약에서 이러한 조건들이 계약에 절대적이지만 

EU나 아시아는 그러한 조건들이 소비자에게 불리한지 아닌지 보고 그 조건들이 계약에 편입되는 것처럼 다른 것이지요. 

thejay

2018-07-18 15:55:25

저도 이거 들으면서 어이가 없더라구요... 

하양까망

2018-07-18 15:57:30

하루이틀도 아닌데요...주 수입원이죠.

블랙카드

2018-07-18 16:12:05

기본 검색 엔진은 변경 못하게 되어있고 이건 문제 있다고 봅니다. 그거 이외에는 좀 EU의 횡포로 보입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8 16:26:02

그런가요? 기본 검색엔진이란게 정확히 뭐죠? 그냥 폰 메인 화면 상단에 떠 있는 구글 검색 엔진바 말하는거 아닌가요? 설마 그 검색 엔진바에 야후를 넣으라는 것도 아닐테구요..   게다가 그 검색엔진바는 그냥 손으로 눌러서 휴지통으로 지우면 그만인데요..

ehdtkqorl123

2018-07-18 16:36:53

변경 가능한걸로 알아유... 선탑재가 구글이지 

포트드소토

2018-07-18 16:45:57

그쵸.. 만약 말씀하신 기본 검색엔진이란게 그 폰 상단에 있는 검색 바라면 제가 지금까지 사용했던 안드로이드 2.0 에클레어 부터 7.0 누가까지 그걸 지울수 없었던 적은 없었네요. 
그리고, 지울 수 있다해도 왜 지우겠어요?  매일 매일 제일 필요한게 그 구글 검색바인데요..  ㅎㅎ
이건 안드로이드 폰이나 테블릿 쓰다 iOS 쓰면 너무 불편하더라구요. 
제일 많이 쓰는게 인터넷 검색인데.. 귀찮게 꼭 사파리 눌러서 google.com 들어가서 검색해야 되서요..  생각해보니.. 아이패드 쓸때마다 이게 제일 짜증나는게 지금 다시 생각나는군요.

블랙카드

2018-07-18 16:48:22

https://www.reddit.com/r/programming/comments/8xcbtb/choice_of_search_engine_on_android_nuked_by/

이제 런처와 기본 브라우저가 자유롭게 변경 가능해서 문제가 덜 심각하지만 시스템 기본 검색 엔진은 여전히 바꾸지 못합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8 16:56:16

붙여주신 링크글이 무슨 내용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시스템 기본 검색엔진이란게 안드로이드에서 정확히 뭘 말하는 건가요? 홈화면의 상단 검색바 말고 기본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건가요?

포트드소토

2018-07-18 16:59:51

심지어 구글 크롬에서 조차 기본 검색엔진 변경이 가능한데요Screenshot_2018-07-18-14-58-38.png

 

포트드소토

2018-07-18 17:03:18

하여간.. 구글이 안드로이드가 자사 제품이긴 하지만

여기에 구글 크롬, 구글 검색 엔진, 구글 맵 등등 이런 것만 강제로 설치 가능하게 하고 
경쟁회사 제품은 아예 사용 못하게 막았다면 독점 맞겠죠.. 그러면 독점 벌금 받아야죠..
-->
애플이 자신들의 앱스토어에 경쟁회사 제품들 못 팔게 하려고 아예 App 들을 제거하거나 Update 안되게 하거나.. 하는 온갖 추잡스런 짓들을 말하는 겁니다.
피빗앱, 스위스 시계 앱.. 또 뭐였드라.. 너무 자주 있던 일이라서.. ㅎㅎ

cashback

2018-07-18 17:16:13

그 백미는 구글맵이죠. 애플이 자사맵 넣을려고 구글맵 안넣고 있다가 짜잔하고 애플맵 발표했는데 폭망했죠. 그러더니 슬그머니 구글맵을 넣어줬죠. 다른 앱은 없어도 대충 살수 있는데 구글맵은 워낙 킬러앱이라 이거 안되면 안드로 넘어갈 사람들도 많다고 봅니다. ㅋㅋ

히든고수

2018-07-18 17:22:56

검색도요 ㅋㅋ 

블랙카드

2018-07-18 18:48:04

며칠 전에 레딧에서 대충 본걸 그대로 믿었는데 아닌가보네요. 레딧 댓글 자세히 읽어보니 이제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예전 API 얘기인가봅니다. 결국 고치진 않았고 설정 가능하게 된 새 API로 갈아탄듯 싶네요. 잘 모르고 오정보를 드려서 죄송합니다 ㅎㅎ

포트드소토

2018-07-19 16:43:22

네.. 저도 그 API가 뭔지는 몰랐습니다. 
하여간 정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8 16:24:13

주 수입원이란 표현 재밌네요.. ㅎㅎ 

이런식이면 차라리 모든 폰들과 컴퓨터가 유럽 모델은 다 다르게 출시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유럽 사람들 불편하게요.
안드로이드 폰, 아이폰 모두 처음부터  웹브라우저, 검색엔진, 앱스토어 다 모두 빼고 출시하는거죠.
폰 사면 제일 먼저 PC 랑 USB로 연결해서 소스들 다운로드 받고 수동으로 설치하게 하는거죠.. 

어차피 구글 크롬이랑 구글 플레이어 스토어 설치할테지만요.

그런데, 이런 OS 관련 반독점해서 애플은 한번도 안걸리네요. 아직도 독점 비율에 미치지 못해서 인가요? 애플이야말로 이런 독점이나 폐쇄적인 걸 기본방침으로 하는 기업아닌가요?

열운

2018-07-18 16:30:19

애플이 독점중인게 없어서 그런 것 같아요

포트드소토

2018-07-18 16:40:18

네.. 아무래도 점유율이 아직은 독점 수준은 아니겠죠.. 
그런데, 문제는 점유율이 아니라 기업 운영 방식 아닐까요?
A사나 B사나 똑같은 식으로 하고 있다면 뭔가 그런 나쁜 방법으로 독점을 노리는 방법들을 제재할려고 해야지..

무조건 A 회사는 80% 다른 B 회사는 20% 이니까..  A 회사 하는 방법에 독점 벌금을 부과하는건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위에서 EU 가 딴지거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 방식들이 애플보다 더 악의적인 방법으로 독점을 노렸고, 그래서 독점을 했다면 벌금을 부과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무조건 독점적 지위라고 독점 벌금 부과하는건 정말 말이 안되는 억지라고 밖에는...

sojirovs

2018-07-18 17:18:31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유럽은 미국이나 아시아만큼 애플제품 사랑이 없나요?

 

열운

2018-07-18 19:35:24

애플 사랑은 전세계적이지만 미국에서조차 독점이라고 보긴 힘들죠.

쟈니

2018-07-18 20:43:46

얼마전 본 자료에 따르면 미국과 다르게 유럽은 애플이 점유율이 50% 조금 넘는다고 하네요. 몇년전부터 무섭게 치고 올라온 결과라고..

cashback

2018-07-18 16:35:59

구글에 쏠림이 너무 심해서 부과한 그녕 비관세 무역장벽아닌가요. 이유야 가져다 붙이면 되고요. 트럼프가 무역전쟁하는 것도 정의로운 논리가 있는게 아니잖아요. 그냥 중국을 누를려고하는거죠. 푸틴은 의문의 일승 ㅎㅎ

포트드소토

2018-07-18 16:51:57

무역에서 관세 붙이는거야 사실 정의의 잣대가 들어갈 수는 없죠.  예로부터 무역이 제일 쉽고도 남는 장사였고.. 거기에 세금을 물리지 않는 나라가 이상한거죠.

오히려 최근의 상호 무관세 협정들이야말로 대단한 거지요. 서로 합의하면 이 정도도 이룰수 있다는... 

하지만 그런거야 항상 상호 협정이라.. 지금 처럼 트럼프가 깰려면 언제든지 깰 수 있는거고.. 그게 정의롭지 못하다라고 말할 수도 없죠.

 

하지만, 이런 억지스런 독과점 벌금 시행은 심지의 정의롭지 못하다라고까지 할수 있겠습니다. 

독점이라는 나쁜 자본주의의 폐해를 막는 방법을 이런 식으로 타국의 기업을 털어먹는 방법으로 써 먹는건.. 정말 그냥 양아치 짓이라 봅니다.

ehdtkqorl123

2018-07-18 16:36:13

유럽 테크쪽은 미래가 없습니다.. 지금 하는 꼬락서니를 보면 걍 미국회사들 견제하는거밖엔 노답..

이번에 GDPR도 그렇고.. 

sojirovs

2018-07-18 17:17:07

유럽국가의 합법적 삥뜯기인가요?

질문이 옆으로 새는데, 인덱스 펀드 투자할때 보면

타겟펀드, 뱅가드, 책에서조차도 인터네셔널쪽으로 20%정도는 투자해야한다고 하는데

요새 최근 흐름, 향후 몇년간 예상을 해봤을때 미국보다 과연 나을것인가를 생각해보면

차라리 미국주식시장이 나아보이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론 분산투자가 답이라고 하지만, 애플 구글 아마존이 미국시장만 상대로 장사하는건 아니니.

밍키

2018-07-19 15:17:59

옆으로 새는 질문에 살짝 답드리면..... (당분간은) 미국 마켓이 더 괜찮을것 같아요. 트럼프가 무역전쟁 밀어붙이더라도....결국 타격은 중국 및 다른 나라들이 더 클것 같아요

sojirovs

2018-07-19 17:29:10

네 최근 중국 주식만 봐도 좀 그런 경향이 있더라구요

결론은 VTSAX네요

덜쓰고좀더모아

2018-07-18 20:06:49

VW 제재에 대한 반격이라고 볼수도 있는데, 좀 치졸해 보이긴 하네요.

physi

2018-07-18 20:47:12

입맛대로 바꾸면 그만인 엔드유저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별 같잖은걸로 트집 잡은걸로 보이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풀어보자면 자율경영 부분을 침해당하고, 특정 선택을 강제해 경쟁시장을 없에려는 반독점법 위반 소지가 다분 할듯요. 

 

예를 들어보면..

마소에서 자사 검색엔진인 Bing을 띄워보려 휴대폰 제조업체에 Bing을 default search engine으로 넣을때마다, 출하 휴대폰 한대당 $5씩 인센티브 주겠다고 오퍼했다고 가정하고 생각해봐요. (이런식의 마케팅 오퍼는 비일비재해요;;; 델에서 컴퓨터 사면 괜히 이것저것 쓰잘대기 없는 프로그램 깔려오는거 아니에요-_-)

 

안드로이드 탑재 조건으로 구글을 default search engine으로 정하라는 요구사항때문에,

1) 휴대폰 제조업체측에서는 경영선택으로 추가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고,

2) 경쟁 업체에서는 프로덕트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며 시장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 자체가 막혀버리는건데요. 

 

이건 정확히 반독점법이 존재하는 이유에 부합되는 경우라고 봐요. 

 

유저가 결국 유저에게 최적인 구글 프로덕트를 선택할꺼라는 사실과는 별개로 볼 문제고요.. 

또 그런 이유로 저런 경쟁 방해 행위까지 합리화 시킬건 아니라고 봐요. 

shilph

2018-07-19 00:05:29

저는 반대로 봅니다.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이고, 그 오픈소스를 서비스 하는 회사의 대부분은 그 오픈소스 제품을 유지보수나 추가사항을 서비스하는 것으로 회사를 유지하지요. 

안드로이드 유지보수로 구글에서 버는 돈도 없는데, 구글에서는 이익을 보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반 무료 상품" 을 쓰게 해야하는거 아닐지요? 윈도우는 "유료 상품" 인데도 끼워팔기를 한거고요. 

그게 싫다면 유럽에서는 이거저거 다 빠진 "유료"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거나, 각 전화회사에서 안드로이드 포크를 해서 제공하면 되는거지요. 

스시러버

2018-07-19 03:11:02

구굴의 주 수입원이 광고인것을 생각하면 안드로이드 os를 무료로 배포하면서 구글이 모바일 시장에서 지배력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그래서 무료로 재공하는 os가 결국 구글의 이익을 만들어 내는 것이고 구글엔진를 디폴트로 쓰게 하는게 불공정으로 볼 여지는 있지요.

shilph

2018-07-19 03:39:01

그 광고를 넣는걸 OS단에 넣지는 않지요. 개인정보를 받는 것도 OS단에서 받으면 개인정보로 프라이버시 문제가 되고요 (이전에 그랬지요)

남는 것은 그 외의 서비스인데, 크롬과 검색 엔진이 그 역할을 하지요. 지메일 등도 그렇지만, 이메일은 모바일 사용 패턴 자체와는 차이가 있고요. 그리고 구글이 이득을 보는게 굉고이고, 그 광고를 통해서 개발을 할 수 있는 것인데, 무료로는 쓰면서 이득을 보지 말라는 것도 문제지요. 세상에 공짜는 없는 것이니까요

끼워팔기가 문제가 된다면 아무것도 없는 생짜 안드로이드를 돈 받고 제공하면 됩니다.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지만요. 

스시러버

2018-07-19 09:52:48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구글서비스를 쓸때마다 내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게 구글의 이익을 보다 많이 내게 만들어 주겠죠.

구글 서비스가 무료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구글은 사용자가 구글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면 그 사용료를 ad하는 업체로부터 받게 됩니다.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By giving up information you allow the company “to show you more relevant search results and ads, to help you connect with people or to make sharing with others quicker and easier.” ( http://fortune.com/2017/06/28/gmail-google-account-ads-privacy-concerns-home-settings-policy/ ) 라고 하는것이고 사람들은 구글 같은 회사가 사람들의 데이터에 대해 콘트롤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결국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고 생각하게 만드는게 문제 아닐까 싶습니다.

shilph

2018-07-19 10:33:37

그렇죠. 다만 저는 제 데이터를 사용료 라고 생각하고 쓰는거지요.

무료를 원하신다면 더 저렴한 중국제 전화기도 있지요. 안드로이 포크된 것도 있고요. 근데 그 저렴한 제품에는 중국제 백도어가 있는데, 그게 그 할인죈 가격에 대한 비용이고요.

결국은 관점의 차이겠지만, 저는 공짜는 없다는 타입이라서 그런가 봅니다 ㅎㅎㅎ

포트드소토

2018-07-19 02:25:09

EU가 그동안 웹브라우저 빠지고 검색엔진 빠지고 뭐든지 빠진 OS 탑재한 스마트폰만 팔았으면 수긍합니다.

아이폰의 iOS + 사파리는 왜 벌금 안 먹일까요? 아이폰의 음악파는 앱스토어는 왜 괜찮죠? 명백히 경쟁사 음악 판매를 막고있는데요..

이런식이면 나중에 뭐든지 트집 잡을수 있을겁니다. 심지어 운영체제에 계산기 앱 넣어도.. 너희 왜 경쟁사 계산기 앱은 안 넣었냐?  노트장 앱 이건 카메라 앱이건 뭐건.. 왜 경쟁사 앱은 안 넣냐? 뭐든지 가능하죠.

지금 2018년에 더이상 운영체제라는게 완전 코어 OS 만 이루어진 경우는 사실 불가능합니다..

사실 지금의 안드로이드 처럼 다른 경쟁사 앱들을 자유롭게 잘 설치할수 있는 개방형 OS 도 없다고 보는데요.. 

 

 

 

 

physi

2018-07-19 06:58:18

이번 판결이 뜻하는게 껍대기 OS만 팔아라 하는게 아닙니다. 

기본 브라우저로 크롬을 깔아팔던, 파폭을 깔아팔던 상관 없고, 기본 검색엔진을 야후로 하던 구글로 하던 상관 없는데.

이러한 결정의 주체가 제조업체의 자율결정이 아닌 안드로이드를 탑재하기 위한 조건으로 구글이 계약상으로 요구하는게 문제가 되는겁니다. 

소비자의 커스터마이징 권한이 침해되어 문제가 되는게 아니고요(위에 올려주신 스샷과 예는 전부 소비자의 커스터마이징 권한이 막히지 않았음을 보여주는거고요) 제조업체의 커스터마이징 권한이 막힌게 문제에요. 

포트드소토

2018-07-19 10:11:48

아니요.. 잘못 이해하고 계신게... 지금도 세계 어디에서든 어느 제조사든지 구글 안드로이드가 아닌 다른 안드로이드 포크나 심지어 아예 다른 운영체제로 폰을 자유롭게 제조 판매 가능합니다.  중국보세요. 아마존도 보시구요..

EU 의 억지는 오픈소스 안드로이드 AOSP 로 만들어진 폰에도 구글의 앱들을 무조건 허락하라는 거지요..

기술적으로는 어렵지만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EU 의 어떤 폰 제조사가 오픈소스로 어떤 폰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애플에 우리폰에 니네 앱들 넣어줘.. 애플이 싫은데.. 우리는 우리폰에만 넣을거야.. 이런 상황에 EU 가 이건 반독점임 이러는 겁니다..

 

EU 가 대표적인 예로 든게 아마존 파이어 폰 이거든요.. 오픈소스 안드로이드로 만들었지만 구글앱 탑재가 안되거든요.. 구글이 아마존 파이어폰에 앱스토어도 깔아주고 크롬도 공짜로 넣어주고 해야 한다고 보세요?

포트드소토

2018-07-19 10:14:06

그리고 사실 유럽연합이 크롬 과 구글검색엔진 끼워팔기에도 과징금 때린것도 맞아요.

재현아빠

2018-07-19 10:50:47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2374339 중 댓글입니다.

 

안드로이드 제조사들에게 구글앱 선탑재를 요구하면서 동시에 AOSP 안드로이드폰을 조금이라도 만들지 못하게 계약으로 강요했고(삼성 등에서 AOSP 안드로이드 기반 제품이 그래서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그걸 포기하고 아예 AOSP 안드로이드폰만 만들겠다는 제조사(아마존, 중국)들에게는 구글앱 탑재를 금지시켰었습니다. 반독점 위반 문제도 있거니와 안드로이드의 개방 운운하는 구글의 위선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에요.

우리동네ml대장

2018-07-19 16:42:13

구글의 입장을 정리해보면 "안드로이드에 구글앱 넣을려면 AOSP는 포기해" 인데요...  안드로이드를 통째로 무료 제공하는 구글이 할만한 그냥 적당한 요구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저 리플 쓰신 분 포함) 사람들이 생각하는 구글에대한 높은 기대치인데요 ㅎㅎ 기준을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가 iOS랑 윈도우를 지키는거 수준으로 낮춰서 한번 생각을 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그런 점에서는 AOSP를 소스코드 포함 전부 공개하고 상업적인 이용도 허락한게 오히려 대단한거죠. 애플이 iOS 공개는 커녕 다른 폰에 OS탑재조차 허락하지 않는게 아주 주효한 전략이듯이요.

재현아빠

2018-07-19 17:05:20

댓글대로 보면 구글이 경쟁을 제한하는 것은 사실이죠.

가령 어떤 회사가 구글 안드로이드 탑재한 핸드폰을 출시하면서, 저가 제품에는 AOSP를 탑해하고 마소 빙 검색을 넣고 대신 지원금을 받고, 브라우저도 무거운 크롬 대신에 가벼운 제품을 탑재해서 출시하려고 한다면 가능한가요? 현재로서는 어떤 회사에서 구글 안드로이드 제품을 출시하게 되면, 같은 회사에서 ASOP 안드로이드 제품은 못 만드는 것 아닌가요?

포트드소토

2018-07-19 17:25:57

그건 저도 잘 모르겠네요.. 
삼성에서 구글 안드로이드폰과  AOSP폰을 동시에 판매 가능한지는..

뉴스들에 나온 기사들로는 AOSP에 구글이 구글앱들을 기본탑재 허용 안해줬다라는 내용만 있어서요..
 

우리동네ml대장

2018-07-19 21:20:19

리플 쓴 분이 맞다면 그런 제한이 있는 것 같네요. 근데 제 생각은 그것을 감안하고서라도 구글의 안드로이드 정책은 다른 경쟁사에 비해서는 훨씬 개방적이고 그래서 방금 말씀하신 '어떤 회사' 입장에서 선택의 여지라도 있다는거죠. 즉... 구글 탑재하거나 아니면 aosp 쓰거나. 만약 구글이 없었다면 말씀하신 '어떤 회사'는 os부터 개발해야하니깐요. 타이젠이나 바다폰이 지금 나오면 아무도 안사겠죠. 이런 측면에서는 경쟁을 제한한게 아니라 오히려 단말기 제조사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준거 아닌가요? 하지만 구글도 안드로이드 + bing이 나오면 직접적인 경쟁자가 될 수 있으니 그것만큼은 양보할 수 없었나보죠. 이걸가지고 단말기 제조사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준 구글을 탓하기는 좀 무리라는 생각입니다.

physi

2018-07-19 21:55:37

만약에 마소에서 컴퓨터 제조업체들에게 윈도 OEM 탑제하려면 니넨 크롬북 만들지마! 라는 조건을 내걸었다면.. 어땠을까요? 

Acer도, Asus도, 삼성도, HP도.. 윈도 탑제한 노트북 하나 만들어 팔려면, 크롬북을 못만드는... 

헐퀴

2018-07-19 22:03:42

전 이번 벌금에서 EU 쪽의 주장도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이 비유는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폰 만들려면 윈도우즈나 타이젠 폰 만들지마! 한 건 아니니까요. 그렇다고 해서 딱히 맞는 비유가 생각나진 않네요.

physi

2018-07-19 22:15:21

반독점법이 막고자 하는건, 시장의 우월한 지위를 통한 영향력으로 다른 경쟁제품이 시장에서 경쟁 할 수 있는 찬스를 뺏는거지요. 

그런면에서 제가 말씀드린 케이스가 실제로 벌어진다면, 제일 확실한 반독점의 예가 됩니다.

정말 그따구 일이 벌어졌다면, 크롬OS는 지금만큼 자라지도 못했을꺼고요. 그 점에 있어서는 이견이 없으시겠죠?

 

폐쇄형 iOS는 애플 제품에만 깔리고요. 애초부터 다른 제조업체에 제공되지 않으니 논외로 치고요. 

휴대폰 제조업체에서 고려할 수 있는 현실적인 안드로이드 대안 OS는 결국 안드로이드 포크 밖에 없다는점이요. 

 

p.s. 정말 몰라서 묻는건데.. 윈도.. 아직도 전화기 OS 만드나요-_-;;; 노키아 인수가 폭망한뒤 완전 철수로 알았는데요;; 

헐퀴

2018-07-19 22:37:09

대안이 AOSP 밖에 없다뇨. 천만에요. 윈도우즈 폰 7 처음 나왔을 때만 하더라도 이제 안드로이드 끝이라고 하는 사람들 적지 않았습니다. 크롬 OS 처음 나왔을 때와 비교하면 윈도우즈 폰 처음 나왔을 때가 훨씬 더 시끌벅적하고 기대감이 컸어요. 지금이야 망한 걸 아니까 "에이~ 걔는 어차피 안 되는 거였고..." 하는 거죠. LG가 잘 나가던 북미 시장에서 밀리게 된 계기가 안드로이드보다 윈도우즈 폰에 베팅하고 거기에 투자를 늘렸다가 그렇게 됐다는 그럴 듯한 소문도 한참 돌았죠. 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당시에 구글이 "너네 윈도우즈 폰 만들거면 안드로이드 안 줄꺼야."라고 했다면 말씀하신 비유가 맞았겠죠.

physi

2018-07-19 22:57:22

윈도우즈 폰이 아직도 나오긴 나오나보군요. 하나배우고 갑니다.

근데 폭망한건 불변이라..  구글 입장에서는 윈도폰은 안드로이드의 경쟁자로 인식이 안될 듯 하고요.

굳이 제조업체에 AOSP 사용 폰 출시 금지라는 restriction을 둔 결과를 근거로, 거꾸로 구글의 의도와 생각을 추론해 보자면...

'안드로이드의 최고 잠재 적은 결국 AOSP다!' 라고 구글이 인식했음이 제일 합리적일거 같은데요. 이것 이외에 굳이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사용 전화기 제조업체들에게 AOSP 폰 출시 금지를 요구할법한 이유가 있었을까요? 

헐퀴

2018-07-19 23:03:12

윈도우즈 폰은 이제 안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얘기한 건 말씀하신 비유가 맞으려면 윈도우즈 폰이 처음 나와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을 때 구글이 뭔가 대놓고 제약을 걸려는 움직임을 보였어야 했다는 거죠. (유튜브 앱 출시 논란이 있었습니다만 뭐 그건 반독점과는 별개고...)

 

왜 구글이 AOSP 동시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지는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AOSP 폰들을 경쟁자로 보는 건 뭐 자명한 것 같구요. 그렇다고해서 말씀하신 비유가 이 상황에 들어맞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사실 지금 윈도우즈 폰 무시당하지만 리즈 시절 메이저 시장에서는 그래도 윈도우즈 폰이 AOSP폰들보다는 점유율이 높았을 겁니다.

physi

2018-07-19 23:27:21

구글이 AOSP 폰들을 경쟁자로 보는건 자명한것 같다고 말씀하시니까요... 

여기서 안드로이드와 AOSP를 둘다 구글이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살짝 덮어두고 서로 경쟁하는 사이로만 봐서 다시 생각해보세요.  

 

AOSP가 안드로이드 대항마로 기대를 한몸에 받는데, 구글이 뭔가 대놓고 제약을 걸려는 움직임은... 저 비유와 좀 맞을까요? 

헐퀴

2018-07-19 23:30:42

제 생각을 좀 더 상세하게 풀자면 AOSP 자체가 경쟁자가 아니라 메이저 폰 제조사들이 AOSP를 기반으로 자체 OS를 만들어서 구글로부터 독립하는 걸 두려워한다고 봅니다. 즉 메이저 폰 제조사들이 잠재적 경쟁자인 거죠.

 

어쨌든 말씀하신 비유는... 아래 다른 분도 말씀하셨지만 아예 다른 회사의 OS를 막은 걸 예로 드셔서 너무 안 맞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라 생각해주세요.

우리동네ml대장

2018-07-19 22:04:16

정확하게 비교하려면 말씀하신 예시에서 구글 기본 검색인 크롬os를 마소가 만들어서 무료로 제조업체들에게 제공한 경우여야겠죠? 그러면 마소 입장에서도 충분히 이를 금지하고자 노력할 만 하죠. 

포트드소토

2018-07-19 13:14:39

네... 그러니까.. 그런 댓글처럼 주장하는 EU가 억지라구요..
다시 설명드리면요..

안드로이드 자체는 구글이 개발하고 구글꺼입니다. 하지만 오픈소스로 타업체에게도 제공을 하지요. 
구글은 안드로이드의 핵심 소스코드를 AOSP 라고 해서 오픈소스로 타 업체들이 자유롭게 변경하도록 허락합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 Fire OS 처럼요.
두가지를 동일시 하시면 안되요..  Google Android vs AOSP

현재 구글이 뭘 했냐면..

1. Google Android 를 무료로 탑재하면 다른 구글 앱들도 꼭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앱스토어, 크롬, 구글맵, 구글 서치 엔진, 구글 닥 등등.. 그러나 모두 기본앱으로 강제하지는 않습니다. 원하면 모두 경쟁 앱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2. AOSP 오픈소스로 자체 OS를 만든 폰에는 그런 구글 앱들을 무료로 설치해 줄 수 없다.

여기서 구글의 다른 앱들.. 크롬, 맵등등은 오픈소스가 아니고 무료도 아닙니다. 모두 구글의 자산이죠.

EU가 강요하는건


1. 구글 안드로이드 폰에 구글 기본 앱 탑재하지 마라. 경쟁사 기회 박탈이다. 실질적으로 크롬이나 구글 검색엔진바를 없애라는 말이죠.

 

2. AOSP로 다른 회사가 만든 안드로이드 포크 OS 에도 구글의 앱들을 설치할 수 있게 허락해라입니다. 

1번의 경우, 이게 요즘 말이 되냐 이거죠? 요즘 모든 기본은 인터넷인데... 브라우저와 검색엔진을 기본탑재하지 말라니.. 이건 아주 시대를 역행하는 발상..

2번의 경우..

구글은 자기돈 몽창 들여서 안드로이드를 잘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무료로 소스코드도 공개하고 개방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구글 너희 그런데, 너희 앱스토어와 앱을 왜 무료로 안주냐? 너희 위선적이야.. 아주 폐쇄적이고.. 독점적이야...

 

제가 보기에는 물에 빠진 사람 구해줬더니.. 너 지갑은 왜 안주냐? 나 돈 없는데 왜 안 도와주냐.. 너 위선적이야.. 자기만 잘 살려는 부자야..
이런 거로 보입니다만..

히든고수

2018-07-19 13:31:14

확 설득되네요 

 

2번 경우 구글 사장님 말이 

다른데서 만든 안드로이드에 구글앱이 잘 안 돌아가면 

우리가 욕먹는데 니가 책임질겨 

포트드소토

2018-07-19 15:47:36

네 그것도 있구요.. 무엇보다.. 그런 구글 서비스들을 만들고 유지하는 비용이 공짜가 아니잖아요?
구글맵 생각해보세요.. 매일 매일 미국 곳곳에 구글맵 차 돌아다니잖아요.. 그런 모든 비용들이 얼마나 어마어마하겠어요..
그런데, 그런 걸 공짜로 구글이 줄 필요는 절대 없는거죠..
그리고, 요즘같이 보안이 중요한 때에.. AOSP에 구글앱들이 들어가서 어떤 보안문제가 생겨도 구글이 손쓰기가 쉽지 않죠..
기타등등 여러가지 문제가 많죠.. 제일 큰 문제는 모두 다 공짜로 하면 수익을 어떻게 뽑아내느냐..

자유인원조

2018-07-19 15:56:00

구글 안드로이드 폰에 브라우저와 검색엔진을 기본 탑재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구글 자사 제품만 탑재하지 말라는 것이 아닌가요

 

안드로이드 OS와 브라우저 검색엔진은 다른 제품입니다.

 

다른 제품을 끼워팔기하는 것을 하지말라고 하는 것이 왜 문제되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됩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9 16:09:09

ㅎㅎ.. 사실 그 끼워팔기 하지 말라는 것도 웃기긴하지요.. 아이폰 파는데.. 애플에게 너희 브라우저로 크롬도 기본탑재해.. 이런거?

 

그런데.. 왜 이게 요즘 시대에 억지라고 사람들이 생각하냐면요..

 

자유인원조 님이 스마트폰을 사셨어요.. 그런데, 끼워팔기 하지 말라고 하니, 자사 제품은 못 넣고. 당연히 경쟁사 제품을 넣어주긴 싫고.. 
그럼 그냥 탑재하지 않고 스마트폰이 출시 되었습니다...

 

웹브라우저도 없고, 이메일 앱도 없고, 지도 앱도 없고, 문서앱도 없고.. 심지어 앱스토어도 없습니다.

 

자.. 이제 스마트폰 어떻게 쓰실거죠?

 

전화는 걸리고, 쪽지도 보내지는데.. 인터넷도 안되고.. 앱도 못 깔고.. 어떻게 하실거죠?  이게 진짜 소비자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보세요?

 

옛날 EU 가 MS에게 벌금을 때렸던 Windows 와 IE 를 분리하라는 결정과 지금은 그래서 상황이 다른겁니다.. 시대가 바뀌었어요..

mcx5

2018-07-19 16:56:46

EU는 구글서치와 브라우져만 디폴트로 끼워팔기 하지 말라 했는데 왜 여기서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 얘기가 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구글서치와 브라우져가 디폴트로 안들어 있으면 그냥 플레이스토어가서 소비자가 원하는것으로 골라서 깔고 잘 사용하면 됩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9 17:20:18

네 맞아요.. 지금은 사실 구글 서치와 브라우저 넣지 말라는 거지요.. 

그런데, 나중에 playstore 도 빼라고 하면요? playstore 도 구글 회사겁니다. 구글이 사실상 거의 안드로이드 앱 마켓을 '독점'하고 있어요..

나중에 playstore도 안빼면 벌금 매긴다고 하면요?  

그리고, 제가 말하는게.. 그런 디폴트 브라우저와 구글 검색바 안 들어있는 스마트폰이 과연 소비자에게도 이익일까요?  노인분들 다른 브라우저가 뭐가 있는지도 잘 모르실듯 한데요.  
사실, 이전에는 삼성폰이나 그런거 사면 구글 안드로이드 OS 이긴 한데.. 기본 브라우저가 크롬이 아니었어요. 자체 삼성 개발 브라우저..
이걸 일일히 재설치할때마다 기본 브라우저를 크롬으로 바꿔야 해서 사실 약간 불편했어요.

그리고, 무엇보다.. 저는 이제 OS + Web-browser 를 분리하라고 권고하는게 아주 이상하게 느껴집니다만.. 뭐.. 저만 그런지도..

그리고, 이런 독과점 행위를 하고 있는 모든 다른 회사들은 왜 가만 두죠? 
아이폰에도 사파리 빼고 출시하라고 하죠?

자유인원조

2018-07-19 18:17:33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지 않나요?

웹브라우저를 자신들 것만 넣지 말고, 타인의 회사 제품도 넣어주든가

사실 윈도우와 IE분리 결정보다 이번 사건에서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징벌 가능성이 높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세계의 플랫폼이 핵심기업이 되어가면 갈수록 그 플랫폼이 자사 제품 위주로 가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미국도 예전에 영화배급사와 제작사 분리정책도 이것과 유사한 것이고요

저도 개인적으로 구글 웹브라우저 사용하고, 구글 검색하고, 구글 제품을 좋아하지만 잘못된 것은 잘못된 것이지요

 

포트드소토

2018-07-20 11:46:47

아래처럼 어떤 곳에서는 구글스토어보다 다른 스토어가 더 인기입니다.
http://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249
끼워팔기 하지 말라면서 구글 플레이 스토어는 왜 넣어도 되나요?  구글스토어도 넣고, Myapp 도 넣고, Xiaomi 스토어도 넣고.. 경쟁사 스토어 다 넣어야죠? 구글이 앱스토어 독점하고 있는데 어떡하시려구요?

그리고, 누차 다른 분들도 강조하셨지만...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무료라는겁니다. 안드로이드 자체로는 구글이 어떤 수익이 전혀 없어요. 말씀하신대로 하자면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유료로 해야 하는겁니다. 그래서, 저를 비롯해서 모두 걱정하는 거구요..

말씀하신 영화를 보세요.. 배급사와 제작사를 분리하는데..  배급사가 제작사에서 영화를 공짜로 받는다고 생각해보세요. 영화 제작사는 어떻게 먹고살죠?

그리고, 또 누차 말씀 드렸지만.. 이제는 OS란게 따로 독립적으로 있는 시대가 아니라니까요. OS + Web-browser 는 인터넷시대 OS의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이게 무슨,, 삼성이 냉장고 팔면서 우리 갤럭시 폰 사야지만 냉장고 파는...  냉장고 + 폰 끼워팔기... 이런식이 아닙니다.

자유인원조

2018-07-20 12:17:36

포트드소토님

유무료가 아니라 독점과 그 효과의 문제입니다.

독점으로 문제가 심각하다고 유럽은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도 그것에 동의하고요.

또한 OS와 웹브라우저는 다른 제품이라는 것이 EU의 생각입니다.

안드로이드가 무료로 공개되지 않았다면 시장의 대세 OS가 되지 않았을 것이고요

 

안드로이드 OS를 무료로 공개했다면

다른 프로그램을 먼저 깔지 말지는 구글이 아니라 이용하는 기업이 결정해야하는데 구글이  이것은 되고 이것은 안된다 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독점이라는 악영향에 있다는 것이고요. 

 

포트드소토

2018-07-20 12:43:35

OS + Browser 가 요즘 시대에도 일체가 되어야 하는 것인가 마냐는 생각이 너무 다르니, 더이상 논의는 필요없겠네요.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폰 제조사가 다른 프로그램 먼저 깔지 말지 결정할 경우를 위해서, 구글이 안드로이드를 개발하고도 모든 소스코드를 AOSP 오픈소스로 배포합니다.
폰 제조사가 AOSP로 자체 안드로이드 설치하고, MS에서 돈 받아서 Bing + IE 설치하고, 다른 앱스토어 Myapp 설치하고.. 등등 다 원하는데로 하면 되는데요? (지금 아마존이 하는 것처럼요.. EU 주장처럼 정말 아마존 파이어폰이 이러다 망한게 구글 탓이라고 보세요? )

그런데, 지금 상황은.. 구글에게.. OS는 무료로 주면서 (무료가 아닌) 구글앱은 왜 무료로 안줘? 이런 물에서 구해주니 보따리 뺏으려는 상황인데요.. 그러면서, 구글기본앱 왜 설치해? 독점이야.. 이런 말도 안되는...  그냥 EU의 결정자체가 너무 모순적이예요... 너무 양아치적이죠..

구글에게는 구글 OS + 구글앱들 설치하면 독점이라고 하지 말라고 하고..
다른 회사 폰에는 AOSP + 구글앱을 꼭 설치해줘라.. 이게 말이 되나요?

한마디로 구글은 OS는 공짜로 계속 배포하고, 돈은 더 벌지마.. 이런 식인겁니다.
결과는 독점을 없앤다고 벌인 일이 소비자들에게 엄청 피해를 끼칠겁니다.. 무고한 한 기업도 망하게 하고요..

아니면 이걸 강요해서.. 결국
구글은 안드로이드 OS $100 에 따로 팔고..  폰 제조사들은 AOSP 포크로 버전들 난립에.. 
안드로이드 폰들은 사는 것마다.. IE, Yahoo, Bing, Amazon 등등 쓰레기 앱이 20개 30개는 기본으로 깔릴겁니다.. 옛날처럼요.
그리고, 앱스토어도 제각기.. 아마존 스토어, 삼성 스토어, LG 스토어.. 듣보 스토어 등등..  어디서 앱을 다운 받을지.. 안전한지도 전혀 모르고..
이렇게 되던가요..

재현아빠

2018-07-19 17:10:54

1번의 경우에 구글 기본 앱 중에 일부 제품을 제휴 보조금을 받고 다른 제품을 설치할 수도 있다면 아주 저렴한 핸드폰 제공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기본 용량 때문에 모든 구글 기본 앱을 탑재해야할 의무가 없다면요.

 

크롬 대신에 더 가벼운 브라우저 탑재할 수 있다면요. 회사나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더 넚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9 17:30:50

맞아요.. 예를 들어 옛날 안드로이드 초기때 처럼.. 그때는 구글이 힘이 별로 없어서.. 
한국에서 폰 하나사면 쓰레기 앱이 20개는 기본 설치 되어 있었죠.. ㅎㅎ 일일이 지우느라 힘든 기억이.. ㅎㅎ

맞아요.. 폰 제조사가 구글 OS만 쓰고.. 앱들은 구글앱 말고 다른 회사꺼 광고비 받아가면서 대신 깔아주면 제조사들이 돈 더 벌겠죠.. 

그런데요.. 구글이 거기에 대한 답변입니다..  
우리가 자꾸 잊는게.. 구글이 안드로이드 개발하는게 그냥 공짜로 되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ㅎㅎ 구글은 대체 안드로이드를 계속 어떻게 개발하라구요?

Google argues that could hurt its ability to provide Android for free, as its main way of making money from the operating system is through advertising and the sale of content and apps

 

neverlate

2018-07-19 13:47:04

예를 들어 삼성이 자사폰에 깔리는 기본 앱을 customize하기 위해서는

1. OS 코드를 조금이라도 손봐서 새로운 OS를 만들어야 하고,

2. 게다가 다를 구글앱들을 무료로 설치하는것을 포기해야 한다.

이거 맞나요? 이게 제가 제대로 해석한 것이라면요...

1. 핸드폰 제조사가 감당하기엔 무리한 조건으로 보입니다.. 핸드폰 만드는 회사가 엄청난 수의 프로그래머를 보유해야 한다는 얘기인데요.. 삼성이야 큰 회사라 가능할까 합니다만, 다른 중소회사는 어떻게 하나요?

2. 이렇게 무리한 조건때문에 구글 안드로이드에 구글 기본앱 탑재로 갈 수 밖에 없다면,

3. 이로 인하여 구글의 독점적 지위가 더 강화되는 측면이 있어 보입니다.

 

오픈소스 해줬으나 오픈소스의 혜택은 실질적으로 무력화해 놓았기 때문에 그 변명에 설득력이 없네요...

애초에 독점방지법 자체가 해당 기업의 이익을 자유경쟁원리에 반하여 부당하게 침해하는 측면이 강한 법입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경제 전체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이 법의 취지임을 감안하면, 저는 판결이 좀 이해가 갑니다.

스시러버

2018-07-19 14:56:47

1번의 경우 java language 의 특성상 google api 가 탑재된 android os를 이용하면 새로 만들 필요없이 자사의 특성에 맞게 customization이 아주 쉽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경우에 google app 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경우는 오픈소스 버전의. Android 경우 google api 를 사용하는 것을 아예 막아놔서 pure android api 만 사용한 앱들망 쓸수 있고 google map등의 경쟁력있는 서비스들을 아예 사용못하게 됩니다.

 

그리고 오픈소스 버전을 따로 내놓는 이유는 처음에 google이 android를 구입할때 조건 중의 하나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neverlate

2018-07-19 15:16:59

1번이 어렵지 않은 것은 압니다.. 2번이 문제죠.. api까지 막았다면 뭐 말 다 했네요.. (제가 살짝 잘 못 이해하고 답한 것 같은데 제 결론은 같네요..)

결론은 구글 안드로이드로 가지 않고는 핸드폰 제조사가 경쟁력있는 앱구성을 만들어 내는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구글의 독점지위가 원인임과 동시에 구글의 독점 지위를 강화하고 있는게 사실인 것 같고요..

구글이 의도했건 안했건 독점을 제재할 필요성은 있어보이네요..

그동안 구글의 대기업 문어발식 사업확장을 지켜보면서 독점 얘기가 나올걸로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도대체 자잘한 앱까지 손 안대는 앱이 없어요...

 

오픈소스는 위에서 구글 안드로이드가 싫으면 얼마든지 쉽게 떠날수 있는 것처럼 언급이 되는 것 같아서요... 구입할 때 조건이었군요..

포트드소토

2018-07-19 16:18:13

뭔가 잘못 아시는 듯 싶어요.. 
여기 읽어 보세요.  https://namu.wiki/w/%EA%B5%AC%EA%B8%80%20%EC%95%B1%EC%8A%A4
제가 작년에도 자주 AOSP 안드로이드 깔고, 구글 스토어 + 앱들도 잘 깔아서 잘 사용하는데.. 무슨 말씀들 하시는지.. ㅎㅎ

사람들이 안드로이드폰 루팅한 다음에 까는 모든 다른 커스텀 안드로이드 OS 들이 사실 다 이런 AOSP 예요..
CM이네 리니지 OS네.. 이런게 모두 AOSP 요..  여기에  Open GAAPS 라는 걸 따로 까시면 모든 구글 서비스가 다 이용되는거예요..
여기 다운로드 링크요..  https://opengapps.org/
당연히 다른 타회사 안드로이드 앱들도 다 문제없이 돌아가구요..
대체 무슨 API 를 막았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랬다면 그런 커롬질 (커스텀 롬을 바꾸는 것) 들을 사람들이 할리가 없죠..

지금 EU가 우기는건 이런 커롬 안드로이드 (AOSP) 에도 구글앱들을 처음 팔때부터 기본으로 탑재하는걸 허락하라는 거예요...
그런데 이게 웃기는게.. EU 가 우기는 첫번째 주장과 사실은 상충하죠.. 
첫번째 우기는건 왜 구글앱들을 기본으로 탑재해서 독점을 해?   그러고선.. 
폰회사들이 다른 커롬 넣어서 파는거에는 왜 구글 앱 기본으로 탑재 안해줘? 이러는 꼴.. ㅎㅎ

그런데.. 여기 댓글들이 틀린 정보들로 괜히 이야기가 길어지네요..  

 

스시러버

2018-07-20 06:40:54

Google api가 배제된 일반 os에서는 구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api가 빠져있어서 이런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앱들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드신건 google app등을 설치할수 있게 해주는 것이고 그 외의 구글서비스를 사용하는 앱들은 누가 따로 만들어주지 않는이상 일반 android에서는 사용할 수 없죠. 

 

아예 google api가 들어간 안드로이드 버전의 경우 이러한 제약이 없구요

포트드소토

2018-07-20 11:24:09

구글 API 가 배제된 일반 OS라는게.. 지금 다른 커롬 안드로이드 AOSP를 말씀하시는거죠? 정확히 말씀하시는 그런 AOSP가 어떤 것이 그렇죠?
그리고, API 가 빠져있어서 안된다는게 처음 OS 기본 설치시에만 빠져 있다는건가요? 아니면 아예 OS 설치 뒤에서 구글 API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건가요?

스시러버님의 첫 댓글을 보면..  "문제가 되는 경우는 오픈소스 버전의. Android 경우 google api 를 사용하는 것을 아예 막아놔서 pure android api 만 사용한 앱들망 쓸수 있고"

이 말씀은 그런 AOSP 들의 경우 아예 OS 설치 뒤에서 구글 API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거죠?

제가 지금까지.. CM, Lineage OS, Amazon Fire OS 등 가장 널리퍼진 AOSP 들로 해보았는데.. 모두 OS 설치뒤에 Gapps 을 다시 설치하면 다 사용가능했는데요..

예를 들어.. 아래 보세요.. 최근 한창 떨이 판매된 Amazon Fire HD 테블릿에 구글 앱스토어 올려서 모든 구글앱들 다 쓸수 있는 방법입니다. 제가 어제밤에 했는데 잘 됩니다.
http://metafrog.tistory.com/106

대체 다른 안드로이드 앱들과 구글 앱들을 아예 못쓰게 막아 놓은 AOSP 가 대체 어떤 AOSP 인지 좀 알려주세요.

헐퀴

2018-07-20 11:45:13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Google Play Services를 통해 배포되는 구글 전용 API들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제 거의 한 6년 정도 된 것 같은데 구글이 Android 위에 layer를 하나 더 만들어서 Google Play Services라는 이름으로 추가 API들을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가지 목적들이 있는데, 좋은 쪽으로는 오래 된 버전의 Android를 쓰는 기기에서도 Play Services를 통해 코어 API들을 계속 상위버전으로 자동 업글을 해줌으로써 최신 버전의 앱들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게 해주는 게 있구요. 안 좋은 쪽으로 해석하면 앱들이 이 Google Play Services에 의존하기 시작하면서 실질적으로 앱 개발자들의 능동적인 포팅 없이는 AOSP의 앱 호환성이 떨어지게 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Fire OS에서 구글 앱들을 돌리는 방법도 보면 Google Play Services APK를 깔고 시작하죠.

 

전 EU의 독점 판결에 전반적으로 찬성하는 편이지만, 이 부분까지 앞으로 추가 수정을 요구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선 많이 회의적인데, Google Play Services를 단순히 독점 유지 수단으로 보기에는 너무 순기능이 크구요. 이걸 고친다고 하더라도 구글더러 모든 AOSP 기반 OS들에 Google Play Services를 포팅하라는 건 현실적으로 말이 안 되거든요. 아마 Fire OS나 유명 AOSP 포트들은 Google Play Services가 돌아가는데 문제가 없도록 나름 신경을 써서 브랜칭을 했을 겁니다. 이 껀 한정으로는 지금 상태로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구글이 OS 버전을 체크해서 Play Services가 순정에서만 돌아가게 막는다면 모를까...

히든고수

2018-07-20 12:21:19

뭔가 많이 아는 분 말씀이네요 ㅋㅋ

헐퀴

2018-07-20 12:27:22

ㅎㅎ 소싯적에 안드로이드 앱 개발 좀 했고, 저거 때문에 고생(?)도 좀 했어서 당시에 나름 뉴스도 찾아읽고 했걸랑요.

포트드소토

2018-07-20 12:54:33

네 맞아요.. 그래서.. 그런식의 다른 AOSP를 위해서 GAAPS 라는 오픈소스가 있는거죠. 모든 구글앱들 다 설치 가능하고, 앱스토어도 이용가능하고.. 
그런데, 스시러버님은 아예 원천적으로 막아놓으셨다고 하셔서.. 무슨 말씀이신가 해서요..

그리고, 요즘 앱들의 주 수입원이 앱자체보다는 In-app 결제입니다. 보통 게임들 공짜로 풀어주고, 코인이나 물약등을 파는거죠. 
그런 등등의 서비스들을 편하게 하려면 Google Playstore 같은 표준 앱마켓이 있는게 좋습니다.
만약 이런 앱마켓이 20개가 난립하면 그런 게임 개발자들은 그런 20개 마켓과 다 연동되도록 코딩을 해줘야 하구요. 개발자들에게는 지옥일듯..

스시러버

2018-07-20 13:23:54

일반 사용자가 API를 건드릴 일이 있나요? 개발자 측면에서의 이야기이죠. 사용자가 시스템을 tweak 해서 쓰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 입니다. 

포트드소토

2018-07-19 16:25:34

neverlate님 댓글에 답변드리면..

1. OS 코드를 조금이라도 손봐서 새로운 OS를 만들어야 하고, 핸드폰 만드는 회사가 엄청난 수의 프로그래머를 보유해야 한다는 얘기인데요.. 삼성이야 큰 회사라 가능할까 합니다만, 다른 중소회사는 어떻게 하나요?

--> 네.. 다른 중소회사 힘들겠지요. (사실 커스텀 롬 개발이 별로 크게 힘들지는 않습니다. 특히나 AOSP 거의 변경없이 쓰는 경우는요.. 인터넷에서 1명이서 커스터롬 배포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뭐.)  그래서, 구글보고 어쩌라는 거지요?  그래서, 오픈소스로도 다 개방해주고 소스코드 다 주는데.. 어쩌라구요? 구글 프로그래머들이 그런 중소회사 OS 까지 따로 만들어 주라는 건가요? 어쩌라는 건지 좀 이해가 안됩니다.
 

2. 게다가 다를 구글앱들을 무료로 설치하는것을 포기해야 한다. > 이렇게 무리한 조건때문에 구글 안드로이드에 구글 기본앱 탑재로 갈 수 밖에 없다면

--> 다른회사 SW를 왜 무료로 쓸수 있다고 생각하시는거지요? 전 이점이 전혀 이해가 안가는데요..

그리고, 말씀드렸듯이..  구글기본앱들(구글 앱스토어 포함) 을 처음 폰 출하시부터 탑재할 수는 없지만, 나중에 사용자가 무료로 설치할수 있게 구글이 허용합니다.  EU가 기본 탑재 하지 말라면서요?  대체 기본 탑재 하란건지 말라는건지? 헷갈리네요.. ㅎㅎ

neverlate

2018-07-19 16:51:09

구글보고 어쩌라는거냐면요. 독점하지 말라는 걸로 이해합니다. 이유가 뭐던간에요..

포트드소토

2018-07-19 17:02:27

음.. 이유불문하고 독점하지 말라고 하면 뭐 어떻게 답변드릴수가 없네요..

일단 독점이란 것이 자본주의 경제시장에 안 좋은 건 맞습니다. 맞고요.. 
그런데, 제가 경제 전문가는 아니지만 IT 쪽 입장에서 보았을때는 이제 점점 어떤 분야들에서는 소비자들의 권익을 위해서라도 몇가지는 예외적으로 독점을 허용? 방관?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봅니다. 몇가지 예를 들어 보면요...

1. 인텔 x86 -- 독점 맞지요.. 그렇다고 인텔 회사를 2개로 쪼개면?
2. 윈도우 or MS Office -- 독점 맞지요.. 윈도우를 두 회사로 쪼개면?
3. ARM arch -- 독점 맞지요. 모바일 CPU 아키텍쳐를 2개로 쪼개면?
4. 구글 서치 -- 독점 맞지요.. 서치를 앞으로는 google_a.com google_b.com 에서 따로 따로 하게 하면?

이런 IT 에서 독점들이 옛날 철강회사나 통신회사 2개로 쪼개지는 거랑 다릅니다.. 철강회사 공장들 100개를 50개, 50개로 따로 쪼개서 두회사로 생산해도 전혀 문제가 없지요.. 하지만  윈도우를 2가지 다른 버전으로 쪼개면..  문제가 커집니다. 지금 하나 있는것도 힘든데요.. ㅎㅎ 

즉, 이런 어떤 것들은 오히려 점점 독점으로 수렴하고,, 어떤 경우는 독점이 소비자들에게 편한 경우도 있습니다. google_a google_b 두개를 따로 검색하긴 싫으네요.. 

제가 경제쪽 전공이 아니라서.. 잘 설명이 되었나 모르겠네요..

자유인원조

2018-07-19 18:22:02

독점이 나쁜 것이 아니라 독점을 가지고 부당한 행위를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 독금법입니다. 

부당한 행위를 하지 않으면 누구도 규제하지 않습니다.

끼워팔기 하지 말라는 것이 왜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mcx5

2018-07-19 14:44:26

모두가 만족하고 사용하는 구글서치와 크롬이 안드로이드 핸드폰에 기본 탑재되고 원하면 지우거나 바꿀 수 있는데 왜 제재를 하느냐고 반문한다면 이건은 크게 논쟁이 될 수도 없습니다. EU regulartor들은 MS IE건과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는 논리이니깐요. 아시다시피 기본으로 먼가 깔려있으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그것들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일꺼고 그런 pre-install의 행위가 구글의 모바일 검색엔진 독점 (시장점유율 90%)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니깐요. 더군다나 그런 pre-install 행위를 핸드폰 제조사나 통신업체에 돈까지 주면서 유도했거나 시켰다고 EU가 판단했기 때문에 공정한 경쟁을 하지 않았다고 판단한것이죠. 독과점은 우리가 배운것처럼 결국 소비자에게 해로운 것이죠. 지금이야 구글검색이 무료이지만 완전한 독점상황이 된다면 미래에는 $9.99/월 씩 돈을 내면서 써야 할지도 모르는 일이죠.

포트드소토

2018-07-19 16:42:25

여러번 썻지만 그 옛날 OS와 Web-browser를 분리하는 EU의 결정들이 지금 시대에 안 맞다고 봅니다.
그시절 Windows는 그냥 CD나 디스크로 산 SW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순수 OS라고 본다면
현재의 OS에서 인터넷의 비중은 너무나 큽니다. 대표적인 예를 들어.. Chrome OS. 이건 그냥 Chrome Browser가 거의 OS같은 것이 거든요..
그럼 이런 제품은 아예 팔지를 말아야 할까요?

두번째로..기본 탑재로 시장을 독점해다도 말이 안됩니다.
대표적인 Windows 10의 IE를 보세요. 기본 탑재입니다. 심지어 2개나 탑재되어 있지요.ㅎㅎ
그런데 윈도우에서 크롬의 점유율은 이제 거의 70%정도?IE는 15%?정도..윈도우 깔면 제일 먼저 하는게 크롬 다운로드..
독과점 나쁘죠..그런데 그런 독과점을 이루는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면 벌금은 합당하죠..그런데, 그냥 독점을 이루었다고 벌금을 물릴수는 없는겁니다.

그리고...검색이 월$9.99내야하는 미래라..만약에 이런식으로 계속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을 다 막고 광고 수입원도 제재하고 하면..
나중에는 정말 구글이 월$10을 받아야 할지도 모르죠...그런데, 왜 검색 서비스를 꼭 공짜로 써야한다고 보세요?

정말 무엇이 소비자에게 해롭고 이로운 것인지. 이래서 잘 판단해야 하는거죠...

아래 사건들을 보세요..
http://thegear.co.kr/8359
예를 들어 예전에 애플이 애플 워치 출시한다고 경쟁사 페블 스마트 워치 앱을 앱스토어에서 거부했죠..
이런게 독과점질 인겁니다.

구글이 구글 크롬만 스토어에서 다운되게 하고, Bing app을 다운로드 못하게 막았다..이런게 독과점 행위인겁니다.

또는 예전 인텔이 컴퓨터 회사들에게 돈 주면서.. AMD CPU쓰면 우리 것 더 비싸게 사가야 돼..이러면 독과점인겁니다..

구글 안드로이드 OS에 구글 크롬 넣었다?구글 서치엔진바를 상단에 기본 탑재했다?이런게 독과점이라구요?잘 생각해보세요..

포트드소토

2018-07-19 17:36:29

댓글 다느라.. 시간을 너무 썻네요.. ㅎㅎ 저도 이만 물러납니다..
여러 다른 분들이 계속 다른 의견을 다시는 거 보면.. 왠지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어요.. 

구글이 나쁜 방법으로 독과점 한게 맞고.... 기록적인 벌금 맞아야 하고..  
앞으로 크롬이랑 검색엔진 빼고.. 또 앞으로는 삼성표 안드로이드나 LG표 안드로이드.. 중국회사표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OS들이 제각각 다채롭게 폰에 실려서 나오는게 맞는지도 모르겠어요...  안드로이드란 이름도 못쓰겠죠.. 제각기.. 다른 이름 OS들로..
왠지 안드로이드 팬인 저는 그게 슬퍼서 그랬는지도... 

RedAndBlue

2018-07-19 19:06:50

그러고 보면 구글/삼성/애플이 소비자의 감정적인 면을 잘 이끌어 내는거 같아요. 본인과 상관이 없는 (또는 소주주) 기업인데도 emotional attachment가 상당하잖아요.

포트드소토

2018-07-20 12:58:38

그런데 감정적인 부분보다.. EU가 주장하는데로 바뀌면 실제 제 생활에 아주 상관이 있을 것 같습니다.

구글 서비스와 안드로이드 생태계가 무너지면 제 생활에 아주 아주 지장이 많을 것 같네요.  물론 경제적 손실도 더 들겠죠.. 아이폰으로 결국은 옮겨갈테니.. 폰들 살때마다 3배씩 더 비싸게 줘야하니까요.

RedAndBlue

2018-07-20 13:15:38

엥 저정도 가지고 GMS나 안드로이드 라이센싱에 유의미한 타격이 있을 거 같지는 않은데요... 말씀하신대로 iOS 말고 얼터니티브가 없는데 그건 라이센싱이 안되니까요

그대가그대를

2018-07-20 13:36:26

저는 이분야가 아니라 하나도 모르겠는데요, 사용자로서 많이 불편하고 이해가 안갔던 부분이, 기본앱으로 깔려나오는 것들중에 전혀 필요하지않은게 많아요. 이런걸 지울수 없게 되어있더군요. 꼭 필요한 서치엔진등은 이해가는데 이상잡다구리도 많아요. 구글쪽도 있는거 같고 삼성쪽도 있는거 같고, 이도저도 아닌데 로비로 들어왔는지 어쨌는지 하는 게임엡도 깔려요. Preinstall까지는 이해하겠는데 왜 지울수 없게 해놨는지 모르겠어요. 왜 제폰에 아마존 킨들이 있는지, at&t에선 왜 이상한걸 깔아놨는지, 삼성 기어는 왜 삭제가 안되는지 ant radio는 뭔데 안지워지는지... 이렇게 깔아놓고 핸드폰 버벅거리고 용량 부족하데요. Att랑 삼성에는 제돈다주고 서비스 받거든요. 업데이트하면 이상한거 더깔려서 엡데이트 하기 무서워요. 그래서 미루다보면 강제업데이트되어있더군요. 구글이나 삼성, 애플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런 행태가 사용자의 자율성? 선택권을 어느정도 침해한다고 봅니다. 이번 유럽의 구글에 대한 소송과 어느정도 관련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소비자의 한사람으로서 핸드폰 서비스 회사들의 행태에 화가나서 적어봅니다. 이런앱 지울 방법 아시는분 제발 가르쳐주세요 ㅠ 

포트드소토

2018-07-20 16:29:24

대부분 이런게 통신사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다른 회사 광고식으로 돈 받고 앱을 깔아줘서 그런겁니다.

그래서, 귀찮아서 사람들이 아이폰 선호하고, 구글 픽셀폰 (넥서스폰) 선호하는거지요..  

아이폰은 애플정책으로 못깔고 해버렸고.. 구글폰은 통신사가 아니라 구글에서 직접 살 수 있거든요.

또는 이런거 귀찮아서 순정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그래서, AOSP + GAPPS 식으로 커스텀 롬을 까시는 거죠.

이런걸 잘 못하시는 분은.. 그냥 아이폰이나 픽셀폰 사시거나..  또는 어느정도 인기있는 Flagship 폰 사면 그나마 광고앱들이 덜합니다.

결국 돈 많이 내야하는 거지요..  또는 아주 아주 인기없는 저가의 prepaid phone 같은 경우도 거의 광고앱들이 없더군요..

아마도 광고를 넣고 싶어도 못 넣었던 것 같아요.. ㅎㅎ

 

그리고, EU가 주장하는대로 이런걸 제조사들과 통신사들에게 맡기면 더더욱 이런 불편은 심해질꺼라는데 2불 겁니다. 역사적으로 봐도 그렇구요..

그대가그대를

2018-07-25 02:25:28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댓글들을 다 읽어보려했는데 뭔말인지 당최모르겠네요. EU가 주장하는게 그런걸 제조사한테 맡기자, 라는 거라면 결국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주기위한 방향보다는 자본주의 논리만이 남아있는 이래저래 덕지덕지 이상한 디톨트 앱만 잔뜩 깔려있는 폰을 써야만 하는 방향으로 가고있나봅니다. 잘모르는 소비자만 봉 되는건가요. 

욱호

2018-07-25 03:29:38

미국 반독점법은 소비자 권익을 우선으로 고려합니다만 EU는 그런게 없다고 하네요. 

urii

2018-08-15 12:35:03

Hal Varian이라고 구글 chief economist 되기 전에도 이미 유명한 경제학자였던 사람인데요. 이 문제에 대해 어제 글을 하나 썼는데, 대충 읽다가 이 대목에서 갑자기 급 공감이 되더라고요. https://voxeu.org/article/google-android-case-milestone-or-millstone.

 

In fact, in countries where non-Google search engines have a large query share, pre-installation has little impact on usage.  In Korea, the first thing many users do when they purchase a mobile phone is to download Korean language search engines such as Daum and Naver.  In the US, Bing is the default search engine in the Windows Edge browser on the desktop, but many Windows users download and use other browsers and other search engines. 

포트드소토

2018-10-17 09:05:18

결국..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1&aid=0010405311


구글 "유럽 스마트폰에 크롬·플레이스토어 사용료 부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구글 플랫폼·에코시스템 담당 부사장 히로시 로크하이머는 이날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그동안 우리는 안드로이드의 무료 배포를 위해 구글서치와 크롬 등을 스마트폰 등 디바이스에 미리 설치해줬다"면서 "하지만, 새로운 유로존의 규칙에 따라 유럽경제지역(EEA)에는 특허권 사용료(라이선싱 피)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
"이에 따라 오는 29일부터 유로존 29개 국가에서 출시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 깔리는 구글의 플레이스토어, 크롬, 지메일, 유튜브 등에 대해 기기 제조사 측이 일정한 액수의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

ㅎㅎ  결국 EU는 구글에게 양아치 짓해서 삥 뜯으려 했다가 되려 당하는 꼴이네요. 
EU에 팔리는 안드로이드 폰에 구글스토어, 크롬 브라우저 등을 안 넣는 휴대폰 제조사는 없을테니..
결국 EU 소비자가 돈을 더 내서, 구글에게 갖다 바치게 되는군요.
구글은 돈 내지 말라고 했는데도.. 억지로 돈 걷어야 하는 상황? ㅎㅎ

포트드소토

2018-10-17 09:08:1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18&aid=0004226819

Prodigy

2018-10-17 09:25:55

ㅎㅎ 구글이 거대하긴 하네요. 사실 뭐 지금까지 공짜로 주던건데 너희가 우리에게 관세를 물린다면 우린 그 관세를 소비자에게 부과하겠다 이런 건데 그걸 반대하긴 또 어려울거 같으네요.

재현아빠

2018-10-17 13:23:35

소비자가 아니고, 유럽에 기기를 판매하려는 제조사에서 라이센스 비용 받는다는 겁니다.

포트드소토

2018-10-17 13:34:34

그 제조사가 만들어서 갖다 버릴려고 만드는게 아닌 한, 
제조사는 물건을 소비자에게 팔아서 이윤을 남기지요. 결국 최종적으로는 소비자가 내는 것입니다.

Prodigy

2018-10-18 01:37:57

+1

neverlate

2018-10-17 09:39:18

확실한건 구글이 사용료를 받고 싶었는데 좋은일 하는 셈치고 안받아온 건 아니라는거지요. 그들의 전략적 선택으로 안받아 온거고요. 이렇게 돈을 받기 시작하면 다른 곳에 기회와 경쟁이 창출되는 효과를 보겠다는게 독점금지의 핵심 내용으로 이해합니다.

재현아빠

2018-10-17 13:20:59

유럽에서 제조사들은 더 저렴한 안드로이드 폰 제공 가능하겠는데요??

https://www.theverge.com/2018/10/16/17984074/google-eu-android-licensing-bundle-chrome-search

 

To break it down:

  • Android, more formally known as AOSP, or Android Open Source Project, is free.
  • The Play Store and many of Google’s other apps, like Gmail, Google Maps, and YouTube, will be bundled together under a paid licensing agreement.
  • Chrome, in a bundle with the Google Search app, can be added on top of that agreement for free, but it isn’t required.

이 내용처럼 보렴, 전에 이야기했던 것처럼 안드로이드에다가 크롬이며 다 제거하고, 대신 MS에서 지원금 받고 Bing 탑재하고, 대신 구글플레이 설치할 수 있는 방법만 제공하면요.

 

그럼, 제조사는 구글에 라이센스 비용은 제공할 필요가 없고, 다른 업체에서 지원금 받으니까, 더 저렴한 폰 가능해 보입니다.

물론 구입한 사용자가 일부 앱을 추가로 설치해야겠지만요.

 

그리고, 해당 기사에 따르면, 기존에 구글에 제조사에게 제약을 걸었던 것이 맞네요. 구글 서비스 탑재된 폰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른 안드로이드 포크 버전으로는 출시가 금지되어 있었네요.

 

In the past, Google required that companies building phones or tablets that included the Play Store only build phones and tablets that included the Play Store — they couldn’t make other devices with a forked version of Android. Now, that’ll be allowed. So if Samsung wants to ship both the regular Galaxy S9 with Google’s Play Store and some whackadoo Galaxy phone that runs, say, Amazon’s Fire OS, it can now do that in Europe.

 

이제 삼성에서 기존에는 구글 서비스 탑재된 폰 출시하면서, EU에서는 아마존 Fire OS 탑재된 폰 출시가 가능하답니다.

 

저는 기존보다는 현재 조건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101 댓글

Comment Page Navigation

목록

Page 1 / 3837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7056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338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786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7935
updated 115087

포항앞바다에 상당량의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고 하네요

| 정보 155
이론머스크 2024-06-03 11645
updated 115086

첫 집 구매 전 HOA 문서 리뷰: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 질문-기타 3
  • file
살려주쏘 2024-06-06 548
new 115085

진정한 용기란?

| 잡담 14
주누쌤 2024-06-07 1069
updated 115084

언제 사프 다운그레이드하는 게 좋을까요?

| 질문-카드 14
꼬북칩사냥꾼 2024-06-06 1477
new 115083

현재집팔면서 다음집구매에 앞서 질문이있습니다.

| 질문-기타 16
주누쌤 2024-06-07 919
new 115082

이전에 보스의 보스에게 인종차별과 불리 리포트했다고 했던 업데이트 입니다.

| 잡담 7
하성아빠 2024-06-07 636
new 115081

시카고 Navy Pier 불꽃놀이 볼 수 있는 호텔이 있을까요?

| 질문-호텔 3
  • file
CuttleCobain 2024-06-07 175
new 115080

Lease cosign해주는게 크레딧 영향이 클까요?

| 질문-기타 2
고양이알레르기 2024-06-07 234
updated 115079

프랑스/23년10월/17일간/부부/RentCar/프랑스일주,스페인북부,안도라,모나코,스위스서부

| 여행기 38
  • file
Stonehead 2024-06-06 709
updated 115078

강아지 미국 입국 규정 변경 (2024년 8월 1일 이후)

| 정보-기타 10
콩콩이아빠 2024-06-06 1523
new 115077

고등학생 해외 여행시 핸드폰과 DATA 어떻게 하시나요?

| 질문-기타 4
ALMI 2024-06-07 310
updated 115076

현재 보험회사(Farmer’s)보다 AAA 1년치 견적이 $1,000 낮으면 옮겨야 할까요?

| 질문-기타 12
활기찬하루 2024-06-04 1718
updated 115075

Bilt 마스터카드: 친구 추천 가능하신 분들은 이 글에 점을 찍어주세요

| 정보-카드 175
마일모아 2022-03-30 10103
new 115074

[6/7/24] 발느린 늬우스 - 바빠요 바빠. 그래도 발늬는 올라갑니다 'ㅁ')/

| 정보 27
shilph 2024-06-07 950
updated 115073

찰스 슈왑에서 Solo 401k 계좌 열기

| 정보-은퇴 13
  • file
Bard 2024-05-31 1154
updated 115072

(크레딧카드 1년 추가 워런티) 전자제품 수리 견적은 어떻게 받으시나요?

| 질문-기타 3
heesohn 2024-06-06 297
updated 115071

하와이 호텔과 여행 문의 (다음달 처음 방문 계획) ^^

| 질문-호텔 30
Atlanta 2024-06-04 1467
updated 115070

Prepay를 했는데도 차가 없는 Avis에서의 황당한 경험(+업데이트)

| 잡담 29
엣셋트라 2024-05-23 2204
new 115069

출산하게 되면 거의 Out of Pocket Max를 찍게 되나요?

| 질문-기타 42
MilkSports 2024-06-07 1235
updated 115068

엠버시 스윗 힐튼 나이아가라 폭포 30층? 40층? 선택장애 도와주세요

| 질문-호텔 15
  • file
언젠가세계여행 2024-05-22 1008
updated 115067

7월 job 시작합니다. ead 카드가 아직도 안나오고 있는데 이제라도 pp로 바꿔야 될까요? (update: pp 신청함)

| 질문-기타 30
  • file
피피아노 2024-06-05 1909
updated 115066

아플 비즈 델 크레딧과 캐시마그넷카드의 델 오퍼 동시 사용시 문제가 될까요?

| 질문-카드 5
방구석탐험가 2024-04-26 266
new 115065

아멕스 오리발에 당한 것 같습니다.

| 질문-카드 20
미국독도 2024-06-07 1678
new 115064

한국에서 사용할 한국번호 개통하기

| 질문 4
SuN 2024-06-07 332
updated 115063

부에노스 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인터콘티넨탈 후기 (사진있음) 그리고 특이한 환율

| 후기 36
  • file
앵그리불새 2022-01-01 5107
updated 115062

허먼밀러 에어론 구입후기.

| 자랑 67
  • file
nysky 2018-10-05 20235
updated 115061

Google nest Thermostat 교체 후 A/C 작동이 안됩니다

| 질문-DIY 15
  • file
모찌건두부 2024-06-06 832
new 115060

아멕스 카드 보유 가능수 5개 아니였나요?

| 질문-카드 3
보스turn 2024-06-07 947
updated 115059

Amex Hilton 카드 NLL 오퍼 (일반, Surpass)

| 정보-카드 576
UR_Chaser 2023-08-31 63103
updated 115058

[6/13/2024 오퍼 종료 예정] 체이스 사파이어 프리퍼드 75k (지점은 10K 추가) / 사파이어 리저브 75k Offer

| 정보-카드 211
Alcaraz 2024-04-25 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