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백신에 대한 오해

edta450, 2020-05-10 07:16:09

조회 수
3199
추천 수
0

예전에 다른 커뮤니티에 올렸던 글을 올려봅니다.

---

 

비행기는 인간이 만들어 낸 탈 것 중에서 가장 안전한 축에 속하는 물건이다. 대충 사고가 날 확률이 백만번 탑승에 한 번 꼴이니, 자동차나 기차 등등과 비교했을 때 절대 사망자 수나 주행(비행)거리당 사고율이 비교도 되지 않게 안전하다. 하지만 사람들은 비행기 사고를 자동차 사고보다 훨씬 두려워하고 경계한다. 왜?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단 비행기 사고는 났다 하면 수백명이 죽는 ‘대형사고’가 되기 마련이고, 그 사고난 비행기에 타고 있다면 자기가 어떻게 한들 죽을 수밖에 없는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일게다. 즉 엄청나게 낮은 확률이지만, 통제할 수 없는 위험에 대한 공포가 과대계상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비행기 사고를 피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과연 의미가 있을까? 물론 비행기를 타지 않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가지 않는 것'을 택한다면, 분명히 이 선택은 (교통사고로 죽을) 위험을 줄여주거나 아예 0으로 만든다. 하지만 어쨌든 가야 하는 길이라면? 비행기 대신 자동차나 기차나 배를 타는 건, 아이러니하게도 사고 위험을 높일 뿐이다. 이쯤에서 내릴 수 있는 합리적인 선택은, (막연한 공포는 이성의 끈으로 잘 동여매놓고) 비행기를 타는게 가장 좋은 초이스라면 그냥 비행기를 타는 것이다. 정 마음에 걸린다면 여행자 보험을 하나 들든가.

 

이쯤 되면, 세간의 입씨름을 낳고 있는 소위 '예방접종의 위험성'이 딱 이와 마찬가지 경우가 된다.

 

우선 제대로 된 분석으로 들어가기 전에, 어떤 (제대로 된) 의사도-심지어 현재 쓰이고 있는 백신을 몇 개 만드신 내 옛날 보스도-예방접종이 100% 안전하다는 주장을 하지 않는다는 걸 받아들이자. 모든 의료행위에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있다. 약에 부작용이 있듯이, 백신에도 부작용이 있고 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백신이 듣지 않는 사람도 있고, 백신을 맞을 수 없는 사람도 있고, 백신에 과민반응해서 큰 탈이 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약은, 통계적으로 효능이 부작용보다 크기 때문에 쓸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예방접종의 부작용이, 비행기 사고보다도 훨씬 공포를 과대계상하기 좋은(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는 이익을 과소평가하기 좋은) 조건을 모두 갖췄다는 것이다. 일단 예방접종이라는 것 자체가, 건강한 사람이 아플 걸 대비해서 미리 투여한다는, 일반적인 약과는 정 반대의 컨셉이라는 점이 거슬릴 수밖에 없다. 약은 아픈 걸 낫게 하기 위해서 먹는거고, 그 아픈 게 낫는다면 어느 정도의 부작용(그 약이 항암제냐 두통약이냐에 따라서 감당할 수 있는 부작용이 천지차이이긴 하지만)이 생길 걸 각오하고 먹지만, 백신의 부작용은 멀쩡한 사람이 아프게 된 케이스이니 일단 심리적인 허용 수준이 엄청나게 낮다. 사실 제너가 우두를 자기 아들에게 심던 시절에는 정말 백신의 안정성이라는게 없다시피(...)했지만, 천연두라는 것이 정말 죽을 수도 있는 질병 ('옛날 어린이들은 호환 마마 전쟁등이 가장 무서운 재앙이었으나...'의 '마마'가 천연두이다)이었기 때문에, 말하자면 risk가 큰 대신 benefit도 큰 상황이었던 것이, 현대에 들어서 여러 의료환경의 개선(그중의 1번이 예방접종 그 자체, 그리고 항생제)에 힘입어, 예방접종은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risk를 감당하기 힘든 의료행위가 되어 버린 셈이다.

 

자, 그럼 그 이유가 뭐가 됐던지간에, 당신이 당신의 아이에게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실익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면, 현실적으로 접근을 해 보자. 도대체 예방접종을 맞고 진짜 크게 사고가 날 확률은 얼마인가? 미국에서 vaccine으로 인해 피해를 입고 보상을 받은 케이스가 대충 지난 22년간 2천5백건이 조금 더 된다. ( http://en.wikipedia.org/wiki/Vaccine_injury ) 1년에 100건이 조금 넘는 셈이다. 해마다 미국에서 4백만명에 가까운 신생아가 태어나고, 스케쥴대로 예방접종을 다 맞으면 대충 첫해에만 10번에 가까운 주사를 맞게 되는데, 그러면 주사 한 번의 부작용으로 보상을 받을만한 피해를 입을 확률은 대충 비행기사고와 비슷하거나 살짝 높은 수십만분의 일 수준이 된다.

 

반면에, 현대사회에서 전염병에 걸릴 위험성은 당신의 생각보다 훨씬 높다. 홍역(measles)은 당신이 아이와 함께 저 아마존 정글을 탐험했기 때문에 걸리는 게 아니라(...) 애를 데리고 사람 많은 데 놀러갔기 때문에(디즈니랜드가 말 그대로 홍역을 치렀다!), 아니면 건강검진을 위해 병원에 갔는데 몇 시간전에 병원을 방문한 홍역에 걸린 다른 어린아이 때문에(홍역 바이러스는 공기중에서도 수 시간 살아남는다), 심지어는 학교에 갔다가(예방주사를 맞지 않은 경우, 홍역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경우 감염확률은 90%(!!)에 육박한다) 걸린다. 지구 최고 수준의 방역/역학조사능력을 보유한 (이거 구라인게 판명됨) 미국에서도, 공중에 떠돌아다니는 홍역 바이러스를 실시간으로 캐치해서 소탕할 수는 없거니와, 일단 PCR부터가 NCIS처럼 실시간으로 안 나옵니다. 어쩔; 이미 몸속에 퍼져서 난동을 부리고 있는 법정전염병급 병원균을 피해없이 몰아내는 건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니다. 홍역이 영유아에게 합병증을 동반할 가능성은 30%에 이른단 말이다! 뭐 큰 후유증 없이 살아난다면야 예방주사 맞은 것처럼 면역은 생기겠지만. 몸으로 때워서 배웠어요의 좋은 예

 

 

원래 비행기 얘기로 돌아가자면, 당신의 자녀에게 예방접종을 맞추지 않는 것은, 위에서 말한 비행기의 비유에서 '아예 안 가는 것'이 아니라(많은 부모들이 이렇게 잘못 생각하고 있다!), 비행기가 위험하다며 지금이라도 바퀴는 떨어져 나갈 것 같고 브레이크는 밟히다 말다 하고 엔진은 당장이라도 퍼질 것 같은 고물차를 타고 대륙횡단을 하겠다고 나서는 꼴이란걸 알아줬으면 좋겠다 (antivaxer 부모 밑에서 자라서 매년 온갖 돌림병에 고생한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면 정말… 안타깝다).

 

예방접종의 당위는 여러 차원에서 발생하고, Herd immunity를 유지해서 예방접종을 맞을 수 없는 사회구성원들을 보호하는 것과 같은 윤리적인 당위성도 분명 있다.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국가, 아니 전 세계적 차원에서의 일관성있는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고. 하지만 그런 이타적인 목적을 걷어내도, 예방접종은 당신이랑 당신 자식 좋으라고 맞는거다. 당신의 아들딸들은 앞으로 80년 90년을 더 살아야 하는 존재들인데, 무슨 대단한 걸 먹이고 입히고 할 게 아니라, 그냥 남들 수준의 전염병에 대한 저항력을 심어주는 게 그들에 대한 최선의 투자라는 걸 생각해 주시라. 그 과정에서 발생할지도 모르는 수십만분의 일 수준의, 내가 탄 비행기가 추락하는게 아닌가 하는 수준의 특정할수도 해결할 수도 없는 공포는, 잘 배워서 사리분별 잘 하는 당신 스스로의 이성의 끈으로 잘 묶어두시고.

 

"우리가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두려움 그 자체 뿐이다 (Only Thing We Have to Fear Is Fear Itself)." 

-Franklin D. Roosevelt

 

ps. 백신의 benefit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risk가 아무리 작아도 의학적으로 해당 의료행위는 실익이 없고, 실제로 더 이상 감염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맞을 필요가 없어서 명예롭게 ‘퇴출’된 백신이 있다. 위에서도 말했던, 인간이 박멸한 '아마도 유일한' 질병, 천연두(smallpox)이다.

26 댓글

날아날아

2020-05-10 07:30:21

+100000좋은 글이네요

charged

2020-05-10 07:35:10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손님만석

2020-05-10 07:38:00

좋은 글이네요. 최근에 알았는데 백신의 효과에도 유효기간이 있어서 false confidence를 주는게 한편으로는 또 위험한 생각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부분도 고려해야 할 사항인데 어떻게 해야 할지..

사벌찬

2020-05-10 10:33:28

그러게요. 한국도 요즘은 최근세대는 병원에서 해주는것 같지만 제 세대때는 그런게 없었어서 유학올때 기록 필요해서 이것저것 맞았던 기억이 나는데 미국와서 PCP랑 얘기하거나 느낀게 예방접종 날짜를 잘 남기고 portable하게 해서 이사할때마다 계속 메디컬 레코드랑 따라오더라구요...그거 보니까 언제 뭐 맞아야하는데 boost해야하는지등등 나와서 신기...한번 맞으면 끝인줄 알았는데

요리대장

2020-05-10 08:08:52

쉽고 친절하게 써주셔서, 일요일 아침 편안하게 잘 읽었습니다.

Opeth

2020-05-10 08:15:49

오오 잘 읽었습니다. 

돌핀

2020-05-10 08:34:15

좋은 글 감사합니다!

눈뜬자

2020-05-10 08:35:54

100%공감 되는 글입니다. 

쎄쎄쎄

2020-05-10 08:44:45

맞는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Feelsogood

2020-05-10 08:54:15

좋은글 입니다.감사합니다.

Lalala

2020-05-10 09:24:05

좋은글 감사합니다. 쉽게 잘 설명해주셨네요.

Nbor

2020-05-10 10:19:12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후렌치파이

2020-05-10 12:12:08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읽었어요. 

정혜원

2020-05-10 12:22:56

성인들이 필요한 백신은 뭐가 있나요?

한동안 간염 때문에 난리라서 그때 간염 백신 맞았는데 십년 뒤에 다시 맞으라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자미와

2020-05-10 12:33:57

테타너스 10년 주기, 플루, 대상포진 (50세 이상)정도요.

더운지방 여행 가신다든가 하면 황열병 백신두요.

자궁경부암 백신은 성인이 맞아도 되지만 성경험이 있기 전에 맞아야 하는 거라...

후렌치파이

2020-05-10 12:53:26

flu annually, Tdap every 10 year 정도는 모든 성인한테 맞으라고 하구요, 두종류 pneumonia vaccine (PCV13, pneumovax)는 indication 되시는 분들 (특정지병 있으시거나 65세 이상), zoster vaccine (50세 이상) 이런거 있구요. 대부분 어렸을때 백신을 맞거나 걸린적이 있어서 면역이 형성되어 있지만, titer 검사해서 안나오면 어른도 MMR, hepatitis A or B 맞을수 있구요 (보통 pre-employment physical exam에서 MMR은 MMR 백신기록 또는 타이터로 증명하라는 경우가 많아서요, 아, 영주권신체검사도 그렇군요..). 그리고는 뭐 특정 지역 방문하실때 풍토병을 대비해서 백신을 맞을수가 있죠 (아프리카방문때 yellow fever vaccine). 사실 이제 HPV 백신은 어린이/청소년들이 맞는 경우가 많구요. 

사벌찬

2020-05-10 13:33:00

여행전 필요한 백신 말고는 주기적으로 pcp방문하시면 병원 시스템에서 트래킹 해주는거 같더라구요. 이거 맞을때가 됐다 맞아라 이렇게 노티도 뜨구요.... 아주 작은 pcp오피스면 그런 소프크웨어가 없을수도 있겠지만요. 

베스틴카

2020-05-10 13:54:37

엣따님은 마일이면 마일, 발권이면 발권, 의료면 의료, 글솜씨면 글솜씨

도대체 못하시는 게 뭡니꽈?

마일모아의 AI 임이 학실합니다~~

샹그리아

2020-05-10 14:10:07

감사합니다. 

요즘같은 정보 혼돈의 시대에 큰 도움이 되는 글이네요. 

이슬꿈

2020-05-10 14:44:21

중간 취소선 보니 올리시기 전에 다시 읽어보시고 아 싶으셨군요(...)

edta450

2020-05-10 15:04:02

할말하않(...)

shilph

2020-05-10 18:23:15

백신의 중요성이지요. 뭐 백신이 위험하기는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안맞았다가 걸리면 그야말로 애 목숨 내놓는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 도박" 인거지요.

 

결과적으로는 "애지간하면 진짜 전문가 말은 일단 믿고 듣고, 가짜 전문가가 누군지 잘 판단하자" 인거죠. 그게 의료건, 재정이건, 카드건, 종교건 말이지요

얼마에

2020-05-10 18:53:22

그러면 코로나 초전문가인 WHO를 믿는것으로 하죠

shilph

2020-05-10 20:15:44

러브라이브부터 믿으세요

madison12

2020-05-10 20:00:41

백신이야기를 해 주신 김에 항상 궁금했던 한 가지 여쭤보고 싶어요 !

BCG 예방접종 (결핵)이 한국에서는 신생아에겐 필수이지만 미국에선 필수가 아니어서 안 맞게 되는데요, 한국에서는 결핵환자가 여전히 많아서 접종을 신생아 이후에라도 권하기도 하는데, 미국에서는 생후 4주 이후에는 효과가 별로 없고 접종시 학교 갈 때에 TB test 에서 false positive 나는 등으로 불편함이 많아서 안 권하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알아요.

요런 경우는 그냥 부모의 선택으로 가게 되는 걸까요? 아이가 한국에서 오래 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요.

edta450

2020-05-10 20:29:13

BCG가 같은 백신이라도 국가별 유병률에 따라서 benefit이 있느냐 없느냐가 갈리는 전형적인 케이스죠. 근데 BCG는 주로 아이들에게만 효과가 있는걸로 알려져 있어서, 유년기를 한국에서 보낼 게 아니라면 큰 이득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목록

Page 1 / 3837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7228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489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887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8466
new 115110

Student Loan을 받아서 Vehicle loan을 갚는게 현명할까요?

| 질문-기타 1
마루오까 2024-06-08 138
updated 115109

AMEX BIZ GOLD 매월$20 Flexible Business Credit 어디에 쓰세요?

| 질문-카드 46
꿈꾸는소년 2024-06-01 1333
new 115108

[문의/도움 요청] Vegas 기점으로 그랜드 캐년 주변 돌아보는 2박3일 일정

| 질문-여행 1
Parkinglot 2024-06-08 54
new 115107

Hilton Dining Credit에 대해 Dispute 후기

| 정보-호텔 1
Necro 2024-06-08 302
updated 115106

아멕스 플랫 Saks 크레딧 사용 정보 공유

| 정보 79
역전의명수 2022-08-28 9591
updated 115105

출산하게 되면 거의 Out of Pocket Max를 찍게 되나요?

| 질문-기타 60
MilkSports 2024-06-07 2798
updated 115104

사리/사프/체이스 doordash 60% off x3

| 정보-기타 15
  • file
삶은계란 2024-06-06 2053
new 115103

United/Air Canada vs. American Airlines

| 질문-항공 2
지산댁 2024-06-08 131
new 115102

한국편 : 시그니엘 부산(Signiel Busan), 안다즈 서울 강남(Andaz Seoul Gangnam)

| 여행기 15
  • file
엘라엘라 2024-06-08 980
new 115101

5월말에 옐로스톤 다녀온 이야기입니다.

| 여행기 7
삐삐롱~ 2024-06-08 574
updated 115100

이전에 보스의 보스에게 인종차별과 불리 리포트했다고 했던 업데이트 입니다.

| 잡담 32
하성아빠 2024-06-07 4609
new 115099

올 7월에 제주로 여행가는데요. 어른 4명 아기 1명 파르나스? 신화? 하얐트? 어디가 좋을까요

| 질문-호텔 5
wmami 2024-06-08 260
updated 115098

6개월간 달렸던 뱅보 후기

| 후기 41
Necro 2024-06-05 3829
updated 115097

Amex 카드 할인 오퍼 - 결제 후 클릭하면 적용 되나요?

| 질문-카드 4
CarpeV10 2024-06-07 452
new 115096

Chase Ink Preferred 리컨 성공 사례 공유 (3차 리컨)

| 후기-카드
코코볼 2024-06-08 61
updated 115095

넷플릭스 한국 vpn 어떻게 보시나요..?

| 질문-기타 33
티끌 2021-03-03 14911
updated 115094

울타리 보수시 이웃집과 경비부담

| 질문-기타 21
  • file
doomoo 2024-06-07 1703
updated 115093

사용해 보고 추천하는 Airalo 데이터 전용 전세계 esim

| 정보-여행 204
블루트레인 2023-07-15 15151
new 115092

유럽여행 호텔 - 5인 가족 숙소 문의

| 질문-호텔 5
EauRouge 2024-06-08 348
updated 115091

혹시 집 마루 공사 해보신 분 있나요? 마루공사가 제대로 안 된거 같아요.

| 질문-기타 27
  • file
꼼꼼히 2024-06-03 2612
updated 115090

자동차 에어컨 냄새는 어떻게 없애나요?

| 질문-기타 38
빠빠라기 2022-04-26 5932
updated 115089

[5/28/24] 발전하는 초보자를 위한 조언 - 카드를 열기 위한 전략

| 정보 25
shilph 2024-05-28 1819
updated 115088

잔디 셀프로 하시는 분들 깎은 잔디 처리는 어떻게 하시나요?

| 질문-DIY 23
초밥사 2024-06-04 2732
updated 115087

엘에이 인근 메리엇 85k 숙박권 사용할 최고의 호텔은 어디일까요?

| 질문-호텔 10
또골또골 2024-06-07 1026
updated 115086

Google nest Thermostat 교체 후 A/C 작동이 안됩니다

| 질문-DIY 17
  • file
모찌건두부 2024-06-06 1104
updated 115085

한국->미국 또는 미국->한국 송금 (Wire Barley) 수수료 평생 무료!

| 정보-기타 1298
  • file
뭣이중헌디 2019-08-26 103313
new 115084

AA에서 예약한 알라스카항공 좌석 지정 방법?

| 질문-항공 2
도리카무 2024-06-08 257
updated 115083

7월 말 AA: ORD, PHL, WAS 출발 인천행, 6만 마일에 비지니스. 필요하신분 발권하세요

| 정보-항공 6
  • file
똥고집 2024-05-21 2041
updated 115082

Frontier Airline Baggage Charge

| 정보-항공 8
snowman 2024-06-07 686
updated 115081

장애를 가진 자녀를 위한 준비 -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할까요?

| 질문-은퇴 13
  • file
Jester 2024-06-07 2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