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나무/타일 설치시) 휘어진 바닥 준비 요령 및 필요 공구

폭풍, 2021-09-29 22:19:48

조회 수
2083
추천 수
0

집에 여러 리모델링 (거실, 방, 화장실등)하려면 바닥 upgrade (나무, 타일등)가 가장 눈에 돋보이는 부분입니다.

나무/타일을 까는 작업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어려운 점은 바닥에 손상이 있거나, 평평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이것을 무시하고 작업하면 보기 싫은 것은 물론이고, 나중에 타일이 깨지거나 나무가 휘어져서 깨지거나 나무판사이에 층이 생기기도 합니다.

 

여기서 제가 잘 쓰는 방법 한번 소개해 봅니다. (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시공하는 사람의 선택입니다, 왕도는 없다고 봅니다.)

 

많은 업자들이 self-leveling 콘크리트를 쓰는데, 한번 pro/con을 봅시다.

Pro : 쉽다, 한번에 된다, 시공 시간이 짧다. 콘크리트 바닥에는 좋다.

Con: 지진/진동/열팽창 등으로 오래되면 깨지고, 깨지면 가루가 날린다. (가루를 막기위해 underlay 필수), 나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지 못한다. 바닥이 무거워진다.

 

한편 제가 잘 쓰는, 나무를 수선/추가(보강)해서 leveling하는 방법을 보면

Pro: 바닥의 강성을 보강해준다.(본딩을 잘 할경우) 상대적으로 가볍다. Sub-floor 나무와 같은 열 팽창지수를 가져 안정된다.

Con: 작업시간이 많이 걸린다. 콘크리트 바닥에는 못 쓴다.

 

작업 방법  ------------------------------------------------------------------------------------------------

 

아래 그림에서 검은 색 선이 원래 sub-floor인데, 이렇게 휘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수평을 맞출려면 초록색의 수평 라인을 긋고 이밑의 부분을 나무로(또는 self-leveling  콘크리트로) 채워야 합니다. 그러면 너무 많은 양의 나무/콘크리트가 들어가게 되고 작업량도 많아서 고민이 많이 됩니다.

바닥 준비_0.png

 

제가 쓰는 방법은 아래 그림처럼 1) Sub-floor일부를 갈아내고 (보통 1/8인치까지 갈아 냅니다, subfloor가 약해지지 않는 범위내에서요.) 2) 수평(level)을 포기하고 약간의 기울기를 허용합니다. 많은 업자들이 sink/부억 캐비넷 상판만 leveling을 하고 바닥은 flat하게만 합니다. 어차피 바닥은 지진, foundation의 수축/팽창으로 또 기울어 지는 데, 구지 완벽하게 수평 잡을 필요 없다고 봅니다. 3) 본딩능력이 강한 Primer로 칠합니다.(subfloor 썩는거 방지하고, 강성도 좋아집니다.)

바닥 준비.png

이게 1차원 단면을 보면 간단한데, 2차원 평면에 나무를 채울려면 나무 모양을 휘어진 모양에 맞추어 2차원 모양으로 잘 잘라야 합니다. 여기서 작업이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실재 예입니다.

DSC00264s.jpg

 

 

여기 위에 나무나 타일을 깔기위한 backer-board를 깔면 아래 그림 처럼 됩니다.

바닥 준비2.png

 

여기서 저의 공구 선택 방법도 소개해 봅니다.

간단하게 말해, 많이 쓰거나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공구는 비싼거 사구요, 가끔 쓰는 대부분의 공구는 싼거(harbor freight, 대부분 100불 미만) 씁니다.

 

바닥 작업에 쓰이는 공구입니다.

차례대로, Pry bar/망치 - 여러 형태가 있고, 캐비넷/나무/base-board/staple/못 분해 할때 좋습니다.

고무 망치 - 나무바닥 설치시, 옆으로 세게 밀때 필요합니다. (타일은 손으로 밀어도 됩니다.)

Level - 수평재거나, flat 잴때 필수이며, 6ft정도 되는 긴 것이 아주 좋습니다. 짧은 것도 따로 있으면 좋습니다.

Multi-oscillation tool($60) - 아주 좁은 공간에 sanding/grinding하거나, 공간이 없는 곳의 나무(특히 door frame)를 자를때도 씁니다. 있으면 정말 편합니다.

orbital sander($40) - 주로 페인트 전에 벽을 평평하게 sanding할때 씁니다. 많이 빠르게 갈지는 못합니다.

belt sander($50) - 주로 나무의 많이 튀어 나온 곳을 갈아낼때 씁니다. 갈아낼 양이 많을때는 floor edger를 rent해서 쓰시는 것 추천합니다.

paddle mixer - 콘크리트를 물과 반죽할때, 전동드릴에 껴서 씁니다. 당연히 필수 입니다.

전동 드릴/드라이버 set ($200정도)- 자주 쓰기에 좋은 걸로 씁니다.

Trowel - 타일 붙일때 콘크리트 바르는 툴, 타일 사이즈에 따라 다른 톱니 사이즈가 필요합니다.

tile spacer - 타일 간의 간격을 고정해 줍니다.

sponge trowel - 타일 사이의 그라웃(grout)을 집어 넣을때 씁니다.

Worm drive ($200선)- 이거 예술입니다. 톱을 하나만 사셔야 한다면 이거 입니다. 결혼 선물로 미국에서 인기. Skillsaw가 다른 툴은 다 별로 인데. 이 worm drive는 최고 입니다. 저는 더 비싸지만 가벼운 마그네슘 재질을 샀습니다. 큰 합판을 자를때 꼭 필요하고, 그외에도 다양하게 잘 쓰입니다. 반동이 적고 직진성이 좋아 그냥 살짝 밀어 주면 그냥 직선으로 잘립니다. 이거는 약간 큰 사이즈인데, 작은 사이즈도 OK입니다.

Jig saw ($60)- 곡선으로 합판 자를때 쓰는 톱입니다..

Floor wood nailer/stapler($300) - 나무 바닥을 설치한때 바닥에 45도로 못을 박는 특수 공구 입니다.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어  비싼 Bostitch샀습니다. 나무의 두께, 성질에 따라 tool/nail의 사이즈가 바뀝니다. Air tool이라 air compressor 필요합니다.

Nail gun ($60)- 일반적인 nail gun 입니다. base-board나 일반 나무 못질에 씁니다. 나무바닥을 깔때, 위의 전용 45도 nailer가 안 들어가는 구석에 나무를 위치할때 씁니다.

작은 사이즈 드릴/드라이버 ($100)- 작은 스크류 작업할 때 가볍게 씁니다.

Tile saw ($70)- 타일 자를때 씁니다. 먼지 안나게 물 붓고 쓰는 구조 인데, 뭐 쓰기 쉽습니다.

Circular saw ($40)- 위험한 툴입니다. 절때 안 빌려줍니다.(위험해서), 시동할때 반동이 커서 조심해야 합니다. 그냥 나무 쓰레기 버릴때 자르는 용도로 씁니다.

Table saw ($400)- 주로 나무바닥을 긴쪽(rip cut)으로 자를때 씁니다. 나무를 0.5mm정도로 정밀하게 자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싼거 쓰구요, 좀 위험한데(kick-back이라고 나무가 톱니에 맞고 튀어나갑니다.) kick-back방지장치가 있는 것으로 쓰고 있습니다.

Tools_c.jpg그외 사진에는 못 찍었지만 air compressor는 그냥 싼거 3gallon $100짜리씁니다.

miter saw ($500)- 사진에는 없는 데, 나무 바닥을 짧은 쪽으로 자를때(Cross cut) 씁니다. 톱중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45도 등 사선으로 자를때(base board, crown molding_ 꼭 필요하고, 간단하게 나무 자를때도 편합니다. (정밀도때문에 비싼거 씀)

 

결론은 전동 드릴/드라이버, worm-drive saw, Table saw, miter saw만 비싼거 쓰고, 나머지는 다 싼거 씁니다.

15 댓글

calypso

2021-09-30 00:13:39

어쿠..이건 그야말로 신의손이시네요. 금손이신 오하이오님도 입이 쩍하고 벌어질판인데요. 

대단하십니다.

폭풍

2021-10-01 02:27:42

그런데 제 손은 볼품없네요, 먼지/시멘트 묻고, 굳은살 베기고. ㅎㅎ

rondine

2021-09-30 00:13:43

스크랩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번 겨울에 한 번 해 보려구요..

폭풍

2021-10-01 02:28:09

네 일단 해보세요. 시작이 반 입니다.

우찌모을겨

2021-09-30 00:18:54

헉...많이 하지도 않는 내가..몇개 빼고 다있지?

대신 비싼거는 없습니다..

miter saw경우 겨우 몰딩 작업 정도라..

테이블 쏘, 벨트 샌더, 스테블러 정도 뺴고는 다 있는듯..쿨럭..

폭풍

2021-10-01 02:31:02

각기 다른 작업 할때마다, 다른 공구를 사다보니 중복되는 공구도 있고, 거라지는 공구로 위해 있는 듯 합니다.

Californian

2021-09-30 01:34:40

감사합니다. 앞으로 바닥 작업할때, 큰 도움이 될것 같네요..

 

망치빼고, 저는 보쉬 전동 드릴밖에 없네요..  이제부터 조금씩 모아(?) 가야 할까 봐요..

폭풍

2021-10-01 02:32:20

거라지 세일가면 공구를 싼값에 들어올 수 있는 기회가 꽤 있습니다. 저도 몇개는 거라지 세일에서 건져 온 듯.

닥쓰

2021-09-30 06:19:50

정성 가득한 글에 감사드립니다.

Worm drive saw도 결국 웜기어 이용한 서큘러쏘인걸로 아는데 어떤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재가 보기에는 그냥 모터에 직결된 서큘러 쏘를 모터를 90도 돌리고 기어연결 한것인데 뭔가 장점이 있으니 많이 쓰시겠지요?

폭풍

2021-10-01 02:42:46

일단 손에 잡고 합판 통판(4x8 feet)을 한 번 주욱 잘라보면 느낌이 옵니다.

 

장점은 손잡이/톱날 위치가 딱 맞은 곳에 있어서 들면 안정적입니다. 톱날이 왼쪽에 있습니다.(왜 왼쪽에 있는게 좋은지는 구글에..) 무게 중심이 톱날 가까이 있고, 손잡이가 거의 톱날 뒤에 있어서 직선으로 주욱 밀기에 엄청 편합니다.(한손으로 밀어도 직선으로 주욱 잘립니다.) 토크가 커서 톱날이 나무에 끼어서 멈추는 일이 적구요.

 

요즘에 다른 top 브랜드가 일반 sidewinder saw에 손잡이를 비슷한 위치에 만든 saw가 있는 데요, 그래도 worm-drive가 좋습니다. 비교 영상 보시죠. https://www.youtube.com/watch?v=5a4yFB8fID4

 

나드리

2021-09-30 18:20:58

열려주신 글이 너무 도움이 됩니다. 제가 고민하던것중인데 이젠 쯤 이해가 가네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하는지 여줘보고 싶습니다. 쪽지는 사진이 않가나보네요.

 

 

2층이고 아래층은 거실하고 차고에 걸쳐 있습니다. wood subfloor고요. 프래임고치거나 subfloor고치는건 하겠다는 사람도 없네요.  

 

복도에서 오른쪽방으로 향해서 골짜기가  저 있어요..1.25 inch정도가 문 벽주변으로 내려가 있습니다. 방에서 다시 천천히 다시 올라가고요. 노란구역이 다 북쪽 방은 문제가 있어도  그닫 눈에 띄지 않는데, 가구가 기운게 보일정도고요 (오른쪽끝에서 다시 많이 올라감), 특히 복도가 기울어 있는게 눈이 보일정도에요. 화장실부터 방문까지 3feet인데 급격히 내려갑니다. 거기서보터 다시 방끝까지 다시 올라가고요.. 완벽한 수평은 몰라도 눈에 안보일정도면 고치는게 목표에요.   대략 10 피트 정도는 동서방향으로 문제가 되고, 남북방향은 수평이 큰 문제가 없어됩니다.  

 

그냥 나무로 수평을 잡고 위에 다시 hardwood나 그런걸 깔수 있나요?  아니면 수평을 잡고 3/8정도 플아이 우드를 까는게 날까요?..

지금 living은 카펫이 있는데, 표는 않나도 비숫한 문제가 있을꺼라고 봅니다 베이스보드가 수평 않맞는게 보이거든요 . 지금 노란 섹션을 고치더라도  카펫쪽은 트랫짓이 어찌 될지, 화장실쪽은 어떻게 다시 연결이 될지 고민이에요. 업자들은 다들 self leveling cement쓰겠다는데 그건 쯤 아닌듯싶고요.

 

고견있으시면 감사히 듣겠습니다. Screenshot 2021-09-30 091838.jpg

 

폭풍

2021-10-01 03:21:47

제 생각에,  복도와 오른쪽 방 사이의 벽의 밑의층에, 지지하는 벽이나 기둥이(retaining wall/post) 없는 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무게로 subfloor와 subfloor를 지지하는 beam이 휜 것 같구요. 이 beam과 subfloor를 교체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permit이 필요할 겁니다. (혹시 걸을 때 위 아래로 출렁거리면, subfloor 수리도 생각해 보시구요.)

 

1.25인치 높이 정도면 나무로 채워도 될것 같구요, 채우는 나무 합판의 양을 줄이기 위해 어느정도 경사를 남겨 놓는 것(저 처럼)도 방법입니다.

대충 3feet에 1/4"정도는 경사가 있어도 사람이 잘 느끼지 못하니까, 복도의 폭이 3feet이고 높이차이가 1.25"면  벽부근에서 1인치(또는 3/4")까지 나무를 채우는 것을 생각해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저같으면 방/복도/거실 전부다 합판 나무로 채워서 평평(even)하게, 얼마정도 level을 남겨서 나무 채우는 양을 줄이고, 그 위에 좀 얇은 편인 engineered hard wood로 깔겠습니다. (engineered wood라고 다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이 좀 많을 겁니다.

 

나드리

2021-10-08 18:01:14

요즘 통 오질 않아서 감사드리는게 늦었습니다ㅏ. 

프레임을 검사를 시켰는데 문젠 없다는것 같고요 빔이 휜것도 아닌거 같고 그냥 프레임하는애가 한잔하고 일했다는 농담을 하네요.  출렁이지도 않고요. 

완변하게 레벨을 맞추지는 않아도 말씀하신대로 눈에 안보이는정도만 하면 될거 같네요. 인터넷에 보니깐 지붕 슁글로 채우는것도 있네요...고민중입니다. 

말씀하시건 나무로 채우고 그위에 엔지니어링우드를 까는거죠?...전 플라이우드를 하고 해야되는줄 알았는데.그게 더 쉽겠습니다....

폭풍

2021-10-09 20:43:42

합판(plywood)로 바닥 전체를 깔면 너무 일이 크고 무거워지니까, (합판)나무를 잘라서 내려간 부분에만 잘 채우고, 그위에 엔지니어링 hardwood( 또는 pure solid hardwood)를 설치하면됩니다. 엔지니어링 hardwood자체가 plywood이어서 그 밑에 따로 plywood를 전체적으로 깔 필요는 없습니다. Flexible해서 적당한 기울기/휘어짐은 잘 커버합니다.

쌀꾼

2021-09-30 18:48:42

두둥! 넘사벽이네요~! 마무리가 어떻게 될 지 기대가 됩니다! 

목록

Page 1 / 337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7194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462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863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8423
updated 6727

Rio & Conrad Las Vegas 간단후기 (May 2024)

| 후기 12
  • file
kaidou 2024-06-07 905
updated 6726

6개월간 달렸던 뱅보 후기

| 후기 37
Necro 2024-06-05 3669
  6725

Chase ink business 신청하니 증명하라구 이멜 왔어요

| 후기 6
Shaw 2024-06-06 1694
  6724

아멕스 골드 오픈했습니다 (사인업 90,000MR)

| 후기-카드 2
  • file
OffroadGP418 2024-06-07 928
  6723

부에노스 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인터콘티넨탈 후기 (사진있음) 그리고 특이한 환율

| 후기 37
  • file
앵그리불새 2022-01-01 5335
  6722

$100 Delta Stays Credit ​ 후기

| 후기-카드 61
  • file
치사빤스 2024-02-07 6983
  6721

홀로 시민권 선서식한 후기

| 후기 21
Livehigh77 2024-05-17 3607
  6720

런던 여행 3박 4일 후기 - 3인 가족 10살 아이와 함께

| 후기 18
로녹 2024-05-31 1446
  6719

버진마일로 내년 대한항공 비즈 2자리 편도 예약완료

| 후기-발권-예약 23
낮은마음 2024-04-16 5816
  6718

(한국국적) 여권 온라인 갱신/재발급 및 글로벌엔트리 갱신 -ing 타임라인

| 후기 19
냥창냥창 2023-05-18 3259
  6717

외국인용 한국 eSim (010번호, 음성/문자 수신, 음성발신 30분, 데이터 4G LTE 무제한) – for iPhone

| 후기 30
bonanza 2022-06-13 8150
  6716

[costco item] chicken wings

| 후기 47
  • file
요리대장 2019-08-04 3962
  6715

AA 결항 및 환불 관련 기가 막히는 경험들의 연속 (현재 진행 중)

| 후기-발권-예약 14
싹난감자 2024-06-05 1730
  6714

나만 몰랐을것같은 AVIOS 를 PRIVILEGE CLUB 으로 옮겨한 MLE TO BKK 발권기 공유

| 후기-발권-예약 2
  • file
크림슨블루 2024-02-11 1123
  6713

잉크 프리퍼드 인어 간단 후기

| 후기-카드 1
풀소유 2024-06-04 469
  6712

Baker’s Key Largo, Miami Confidante, Thompson Hyatt 후기 (++ 반려견)

| 후기 8
Rockingchair 2024-03-23 1181
  6711

간단한 일본(시부야 & 긴자) 여행 팁 2024 5월 기준

| 후기 25
빚진자 2024-05-28 2266
  6710

의식의 흐름대로 쓰는 후기 (18) - 사진으로 보는 주관적 한국 호텔 후기 2탄 (feat. 반리엇, 르메르디앙, 신라, 그랜드하얏, 부산파크장 등등)

| 후기 41
  • file
미스죵 2024-06-02 2176
  6709

Bilt 카드로 웰스파고 모기지 페이 관련 (시도 예정) -> 업뎃(성공)

| 후기-카드 163
사람이좋다마일이좋다 2022-11-16 13831
  6708

에어 캐나다 후기 2024년 5월 (Air Canada)

| 후기 6
좋은씨앗 2024-06-03 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