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401K, 403B Contribution Matching은 무조건 하는게 좋은건가요?

포스터스, 2022-03-27 23:16:53

조회 수
3432
추천 수
0

미국 대학교에서 일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는 않았습니다. 대학교에서 403B contribution matching 을 4%를 해줍니다.

아직 나이가 젊다보니 노후는 너무 먼 미래라서 생각을 안해보고 있었습니다.

요즘 렌트비에 생활비도 너무 올라서 월급으로 생활하기도 빠듯하기도하고요.

그런데 Contribution matching은 그냥 제가 제 401K, 403B 계좌에 넣은돈에 맞춰서 회사에서 꽁돈?을 주는건데

 

만약 돈이 필요한 급한일이 있어서 10%의 페널티와 세금을 내고 인출을 하게 되어도 회사에서 맞춰주는 matching이 클수도 있나요?

10%의 페널티와 세금을 내는 불이익이 회사에서 맞춰주는 금액보다 적다면 Contribution Matching은 59.5세 이전에 돈을 뺄 생각이 있어도

무조건 하는게 좋은건지, 제가 놓치고 있는게 있는지 궁금하네요.

 

예) 연봉 $50,000/ 본인 Contribution 4% = $2,000 회사 Contribution matching 4% = $2,000

$4,000 을 59.5세 이전에 출금/ 10% Penalty $400 + 택스 평균 22% $880 합하면 $1280

그러면 회사 매칭을 안받고 현금을 받은 경우는 $2,000, 회사 매칭을 받고 59.5세 이전에 출금한 경우는 제경우 ($4000-1280) 페널티 내고도 $2720.

그럼 페널티 내고도 $720불의 이득

 

이 방법이 맞다면 mathcing contribution은 안좋은점이 하나도 없는것 같은데 혹시 이게 가능한 시나리오인지 그 외 불이익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21 댓글

딥러닝

2022-03-27 23:39:10

너무 복잡하게 계산하지 마시고 매칭해주는 만큼은 넣는게무조건 이득입니다.

그리고 은퇴계좌인만큼 나중에 패널티내고 쓴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그냥 미래에 도움될 자산이라고 생각하시고 모우시면 됩니다.

젋다고 하셨는데 은퇴준비는 젋을때 시작하는게 더욱 이득이 큽니다 작은돈이 30년후에 매년 6프로씩 복리로 붙어서 큰돈이됩니다

케어

2022-03-27 23:40:43

+1 

그냥 은퇴한뒤 꺼내는걸로 하고 일단 4% 씩 넣으세요.

케빈가넷

2022-03-27 23:54:04

+1 guaranteed 수익률이 100%인데 매칭을 마다할 이유가 없지요

포스터스

2022-04-16 17:05:15

복리의 마법을 생각해봐야겠네요

도코

2022-03-27 23:39:38

그러면 회사 매칭을 안받고 현금을 받은 경우는 $2,000 --> 실제로 take home은 $2k 보다 덜 가져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스터스님의 계산법대로 생각해도 $720보다 큰 이득이 됩니다. 근데, 다르게 생각해보면 더 확연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1. $2000을 불입했을 때 바로 100% 수익률을 낸다고 생각하면 더 좋은 대체상품을 찾기 힘들거 같네요

 

2. 그리고 주로 401k/403b에서는 loan옵션이 있어서 급한일 생기면 론을 낼 수도 있습니다. (주로 총 밸런스의 1/2 up to $50k) 그래서 더 저축해둘 수록 비상금 조달에 도움이 됩니다.

 

즉, 안좋은 경우나 불이익은 거의 없습니다. 꼭 생각해내라고 하면 매달 마이너스인 경우면 계속 캐쉬가 시급해지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아무래도 어렵겠네요. 하지만 그렇다면 다른 지출을 줄이거나 소득을 늘리는 다른 방법 (이직, 승진, side gig)등이 중요하겠고, 401k/403b불입을 줄이거나 중단하는 것은 그다지 근본적인 해결책을 장기적으로 제공하지 못할거에요.

포스터스

2022-04-16 17:06:05

100% 수익이면 주식으로는 몇년걸려서 얻을까 말까한 수익인데 그렇게 생각하니 안하면 거의 무조건 손해가 맞군요 ㅎㅎ

kempff

2022-03-28 00:29:53

보통 학교의 경우 vesting 기간이 (2-3년) 있을거에요.. 2-3년 근무하지 않고 다른 직장으로 옮기실 계획이 있으시다면 어차피 받지 못하는 돈이니깐 고민을 해 봐야 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건 무조건 4%이상 넣으셔야죠...^^

포스터스

2022-04-16 17:11:07

2-3년 후에 영주권이 나온다면 이직계획은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곳 가서도? 아마 401K를 해야할거니 내년부터는 신청해야겠네요.

라이트닝

2022-03-28 00:48:10

현금이 없으면 아무래도 좀 아껴쓰시게 되거든요.
401k을 넣으시면 생활이 도저히 불가능한지 한 번 생각해보시고요.
가능성이 있으시다면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딘가 줄일 수 있는 부분을 찾으셔야죠.

은퇴계좌에 넣으시는 것이 가장 쉽게 은퇴하실 수 있는 길인데요.
Taxable에서 같은 돈을 투자해도 그만큼 모을 수도 없고요.
쓰고 싶은 충동을 이기시기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포스터스

2022-04-16 17:11:39

현재의 소비냐 미래의 저축이냐가 제일 큰 고민인것 같아요 ㅠㅎㅎ

쌤킴

2022-03-28 04:06:56

403B도 아마 Loan같은 옵션이 있을거에요. 정 급전이 필요하면 나중에 론으로 (최대 5만불까지) 좀 빌려쓰고 다시 갚으면 되니까 (이자도 다시 은퇴계좌로 들어감), 매칭해서 주는 공짜 돈은 적어도 받는게 좋을 듯 합니당.

으리으리

2022-03-28 05:15:24

위에도 말씀해주셨지만... Matching 해주는 만큼은 어떻게 해서든 넣는게 좋을 것 같아요. 100프로 수익이잖아요.

 

그런데 회사에서 내준 돈이 내 돈이 되는 걸 vesting이라 하는데, vesting조건이 어떤지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데는 즉시인 경우도 있고, 일정 금액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몇 년이 지나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교에서 일하신다고 했는데 포닥같은 경우에는 오래 있지 않을게 뻔한데 4-5년 이후에 vesting된다고하면 matching의 의미가 없지요.

남쪽

2022-03-28 07:40:09

4% Matching 이라는게, 포스터스님 이 하기 싫다고 안 할 수 있는게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한번 확인 해 보세요. Vesting 기간이 중요하긴 한테, 2년 인 곳들도 있고, 5년이 넘어 가는 곳들도 많이 있습니다. 잘 생각해 보세요. 하실 수만 있다면, 몇% 적게 돈을 받아도, 나쁜건 아니죠. 그 만큼 세금도 덜 내기 때문에 (pre-tax), 지금 시작 하시는건 엄청난 기회 이긴 하죠. 

Californian

2022-03-28 07:59:18

저도 403b 넣고 있는데 아마 4%는 최소 의무적으로 넣어야 될거에요.. 저도 초기 몇년 4% 미니멈으로만 했었는데, 미리 좀 많이 넣어놓을걸 하고 후회가 됩니다.. 지금은 403b 15% 넣고 있습니다.. 더 올릴 생각입니다.. 가끔식 어카운트 열어보시면, 불어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그리고 Roth IRA도 맥스하셔야지요..

KoreanBard

2022-03-28 19:23:47

벌어들이는 돈이 일정한 직장인으로써 은퇴를 가장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중에 하나가 401k / 403b 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IRA의 3배 넘게 돈을 넣을 수 있는 데다가 ($6000 vs $20500), 고용주의 매치까지 받게 된다면 이보다 더 좋은 은퇴 저축 수단은 없는 것이죠.

 

'무조건' 하는 것이 좋다라고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열에 아홉은 매치를 받는데까지는 우선 하는 것이 좋다입니다.

회사 매치까지 받을 수 있는데 은퇴 자금을 멈춰야 하는 경우는 손에 쥐어야 하는 돈이 절실하게 필요할 때 입니다.

병원비, 차수리, 집수리 등으로 돈이 필요하고 비상금으로도 부족할 때 401k, IRA 중지하고 돈 모으셔야 하겠구요.

정말 줄이고 줄여서 돈을 아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비가 부족할 때는 401k 중지하셔야죠. 지금 당장 렌트비내고, 전기세 내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혹시 읽어보시지 않으셨다면 관련하여서 아래 두 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말 도움이 되고 가이드가 되는 글입니다.

 

저축 우선순위, 비상금 확보 - 도코님의 글

https://www.milemoa.com/bbs/board/7459856

 

은퇴자금 저축 순위 - 은덕님의 글

https://www.milemoa.com/bbs/board/8164840

 

 

꿈꾸는소년

2022-03-28 19:30:03

pre-tax인 장점이 큰 것 같아요. 과세구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마디로 $4,000 contribute 하시면 대략적으로 그 30% 정도인 $1,200정도 ($4,000 x (federal tax rate + state rate))만큼 세금을 덜 내는 거니까요. tax 혜택 고려하면 contribute 설정하신 금액보다 실제는 조금 적게 paycheck에서 minus 되는거라 보시면 됩니다. 더군다나 최근에 stimulus check, child tax credit 들도 소득기준으로 rule 이 많기 때문에 pre-tax 로 total ajdusted gross income 을 낮춰주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물론 contribute 하자마자 matching 해주는 100% 수익에다 은퇴하실때까지 불어나는 것도 있겠고요. 혹시 목돈을 모으시기 위해서라면 matching 해주는 최소한 4% 은 무조건 하시고 나중에 여유되면 비율을 늘리면서 추가 불입하시는 방법도 있겠네요.

파이짱

2022-03-28 19:30:20

도코님 아래 글도 추천합니다.

도꼰대질 1: 젊었을 때 저축하시오
https://www.milemoa.com/bbs/board/7133127
 

그리고 contribution 과 함께 어떻게 운용하는지도 중요합니다. 보통 401k내에서 본인이 직접 mutual fund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데 젋을 때는 주식 비중이 높은 곳에 많이 할당하는것을 추천합니다.

기다림

2022-04-16 17:23:54

매칭까지는 무조건 하라고 배웠어요.

4% 다 받기위해서는 저희 회사는 5%정도는 해야 된다더라구요. (이유는 모음)

무조건 무조건이야~~~

전자왕

2022-04-16 20:35:15

매칭까지 하라는 글 많은데. 허리띠 졸라매실 수 있으면, 법적 한도 끝까지 밀어넣으세요. thank me later.

세운전자상가

2022-04-17 00:43:09

매칭은 안하면 돈 버리는거죠.

KeepWarm

2022-04-17 04:47:20

매칭까지는 하는게 좋은게, 그 돈이 불어나있기도 하고, 급할때 뺀다의 개념이 일단 자기 자신의 은퇴계좌를 담보로 하는 론이 있기 때문에 그 걱정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베스팅 이전에 나가야해서 사라지는게 아니라면, 남은 돈들은 어차피 퇴사를 해도 롤오버를 해서 찾거나 굴리거나 하면 되기 때문에 매칭 받고 넣어둘수 있으면 넣는게 유리합니다.

목록

Page 1 / 3837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7045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0329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780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7922
updated 115084

Prepay를 했는데도 차가 없는 Avis에서의 황당한 경험

| 잡담 16
엣셋트라 2024-05-23 1911
new 115083

고등학생 해외 여행시 핸드폰과 DATA 어떻게 하시나요?

| 질문-기타 3
ALMI 2024-06-07 216
new 115082

출산하게 되면 거의 Out of Pocket Max를 찍게 되나요?

| 질문-기타 36
MilkSports 2024-06-07 958
updated 115081

언제 사프 다운그레이드하는 게 좋을까요?

| 질문-카드 13
꼬북칩사냥꾼 2024-06-06 1413
updated 115080

부에노스 아이레스 - 아르헨티나 인터콘티넨탈 후기 (사진있음) 그리고 특이한 환율

| 후기 36
  • file
앵그리불새 2022-01-01 5034
updated 115079

허먼밀러 에어론 구입후기.

| 자랑 67
  • file
nysky 2018-10-05 20190
updated 115078

Google nest Thermostat 교체 후 A/C 작동이 안됩니다

| 질문-DIY 15
  • file
모찌건두부 2024-06-06 798
updated 115077

엠버시 스윗 힐튼 나이아가라 폭포 30층? 40층? 선택장애 도와주세요

| 질문-호텔 12
  • file
언젠가세계여행 2024-05-22 847
new 115076

아멕스 카드 보유 가능수 5개 아니였나요?

| 질문-카드 3
보스turn 2024-06-07 825
new 115075

현재집팔면서 다음집구매에 앞서 질문이있습니다.

| 질문-기타 12
주누쌤 2024-06-07 734
updated 115074

Amex Hilton 카드 NLL 오퍼 (일반, Surpass)

| 정보-카드 576
UR_Chaser 2023-08-31 63065
new 115073

진정한 용기란?

| 잡담 9
주누쌤 2024-06-07 604
updated 115072

[6/13/2024 오퍼 종료 예정] 체이스 사파이어 프리퍼드 75k (지점은 10K 추가) / 사파이어 리저브 75k Offer

| 정보-카드 211
Alcaraz 2024-04-25 20683
new 115071

프랑스/23년10월/17일간/부부/RentCar/프랑스일주,스페인북부,안도라,모나코,스위스서부

| 여행기 29
  • file
Stonehead 2024-06-06 622
updated 115070

FoundersCard 12 개월 무료 -CLEAR Plus Member 파트너십

| 질문-카드 6
  • file
cuse 2024-06-06 600
new 115069

[6/7/24] 발느린 늬우스 - 바빠요 바빠. 그래도 발늬는 올라갑니다 'ㅁ')/

| 정보 25
shilph 2024-06-07 782
updated 115068

US bank Skypass 카드 - 승인되고 카드가 닫혔습니다

| 질문-카드 8
보바 2024-06-06 1486
new 115067

장애를 가진 자녀를 위한 준비 -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할까요?

| 질문-은퇴 2
  • file
Jester 2024-06-07 707
new 115066

아멕스 오리발에 당한 것 같습니다.

| 질문-카드 18
미국독도 2024-06-07 1441
new 115065

여러 유럽 호텔과 에어비앤비 묵어 본 후 미국과 다른점들

| 잡담 14
Monica 2024-06-06 1251
updated 115064

강아지 미국 입국 규정 변경 (2024년 8월 1일 이후)

| 정보-기타 8
콩콩이아빠 2024-06-06 1357
updated 115063

[03.11.24 종료] 싸웨 (Southwest): 개인 카드 한 장으로 25년 2월까지 유효한 동반자 패스 + 3만 포인트

| 정보-카드 27
마일모아 2024-02-06 4554
updated 115062

Chase Southwest 카드들 85,000points 사인업 보너스 (6/26까지)

| 정보-카드 10
valzza 2024-06-04 2030
new 115061

AA 수하물 무게초과 규정 엄격하게 처리?

| 정보-항공
상하이 2024-06-07 114
updated 115060

힐튼 포인트 pooling/transfer 잘 되시나요??

| 질문-호텔 8
No설탕밀가루 2024-05-29 707
updated 115059

Bilt 마스터카드: 친구 추천 가능하신 분들은 이 글에 점을 찍어주세요

| 정보-카드 173
마일모아 2022-03-30 10078
new 115058

메리어트 본보이 바운드리스 카드 취소?해지?

| 질문-카드 3
브릴란테 2024-06-07 193
updated 115057

초보자를 위한 코너: 아무거나 물어보세요 + 아무나 답변해 주세요

| 잡담 3451
  • file
shilph 2020-09-02 77102
updated 115056

리엔트리 퍼밋 신청 이후 3달째 업데이트 x. 그냥 기다리면 될까요?

| 질문-기타 10
NCS 2024-06-03 575
new 115055

한국에서 사용할 한국번호 개통하기

| 질문 2
SuN 2024-06-07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