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401K 지금이라도 S&P 500 에 올인해야 할까요?

파노, 2019-05-21 23:44:04

조회 수
3335
추천 수
0

마일모아는 안지는 꽤 되는데, 여행정보와 신용카드 관련해서만 검색하고 401K관련해서는 검색을 미리 안했었는지 후회하는 한명입니다.

 

미리 알았으면 회사에서 매칭해주는 선까지만 투자할께 아니라 아껴셔 Max까지 하고, 일찌감치 S&P 500에 올인 했을텐데라는 생각도 들지만,

정신건강을 위해서 몇년후에 알게 되지 않을걸 다행이다 생각하고, 그동안 잘 놀러다녔지 않냐라고 생각할려고 합니다. 

 

2011년에 401K 시작할때 (제가 선택했었는지, 디폴트로 선택된건지 기억도 안난다는.....), 2030 펀드(Fee: 0.19%) 에 50%, 자사주 펀드 (Fee: 0.02%) 에 50%씩 투자 되어  있었던것 같습니다. 참 그때는 뭘 몰라도 넘 몰랐었어요.

자기는 Fee가 낮고 주식 비중이 높은쪽으로 옮겨서 수익률이 좋다는 동료의 이야기를 듣고, 2017년에 각각 비중을 25%로 줄이고, 나머지 50%를 Large Cap US Stock Index (Fee: 0.02%)와 Total US Stock Index (Fee: 0.02%)에 (중간에 International Stock으로 잠시 갔다가)  나눠서 옮겨놓았더랬습니다.

 

1번 질문 - 제가 선택할수 있는 23가지 투자 옵션중에는 S&P 500이 안보이는데 (회사에서는 Fidelity를 이용합니다), Bench Mark를 선택해보면 S&P 500나오고 1,3,5,10년 수익률이 거의 비슷한걸 보면 Large Cap US Stock Index이 S&P 500 맞는거죠. ? 

 

11년이나 더 다녀야 하고 그때까지 잘 버틸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은퇴 목표는 현재로는 Pension자격이 주어지는 2030년까지입니다. 

 

2번 질문 - 지금이라도 2030 (수익률이 지난 1년: 6.04%, 3년: 10.42%, 5년: 7.37%, Since Initial Purchase: 9.42%)를 Large Cap US Stock Index로 갈아타는게 맞는걸까요?

2030이 현재 투자하는 옵션중에 수수료가 제일 높고, 수익률이 아주 나쁘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낮아서 옮겨야 할지 고민입니다.

금융위기이후로 지속적으로 올라온 주식이 출렁할수는 있겠지만, 길게 보면 계속 오르는 방향으로 믿고 옮길지, 분산투자라는 의미로 그대로 가져가는게 맞을지 고민이 됩니다.

 

3번 질문 - 자사주펀드 (수익률이 지난 1년:0.92%, 3년: -1.96%, 5년: 2.72%, Since Initial Purchase: 6.45%)를 Large Cap US Stock Index로 갈아타는게 맞는걸까요?

자사주의 경우에는 남들 다오를때 아래표처럼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해와서 (10년을 봐도 폭이 좀 커지만 비슷) 옮기는게 이것도 맞을것 같은데, 지속될지는 모르겠지만,
올해는 뜬끔없이 YTD로 17.17% 수익률을 보여서 15.21%을 보이고 있는 Large Cap US Stock Index보다 더 좋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고, Diviend Yield가 쭈욱 6%가 계속 넘기도 합니다.
회사가 변신을 하고 있는데, 탑매니지먼트가 이야기하는 좋은 방향으로 갈지 아닐지 50대 50정도로 보이구요.
 
저랑 비슷한 고민하시는 분들도 왠지 계실듯 한데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Screen Shot 2019-05-21 at 9.13.20 PM.png

 

50 댓글

느낌아니까

2019-05-22 00:15:25

Total US Stock Index (Fee: 0.02%)가 바로 히든고수님이 항상 추천하던 VTSAX와 비슷한겁니다. 보통 경제성장을 가장 잘 반영하는 total stock index를 가장 많이 추천하고요. 모든 주식을 포함하고 있기때문에 주식에 한해서 분산투자 되는거겠죠? 그리고 total stock이 snp500을 포함하니 snp500을 또 사셨다면, snp500 회사에 중복투자한 꼴이되죠. 

자사주는 지난 5년간 수익율이 3%정도인 반면, vtsax는 47%네요. 

회사의 성장에 믿음이 있다면 은퇴자금이 아닌 여유돈으로 자사주를 사세요. 그리고 은퇴자금은 total stock market index에.

 

하지만 지금이 투자 적기인지는 좀 회의적입니다. 무역협상이 단기간에 해결될거 같아보이지 않아서요.

파노

2019-05-22 00:26:26

Total US Stock Index가 바로 그거군요. 확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P 500이 지난 5년간 11.63%으로 나오니 자사주는 4분의 1정도 수익률이네요. T.T

느낌아니까

2019-05-22 00:30:21

snp 500 index따라가는 VOO etf는 지난 5년간 거의 50% 넘는 수익율이 나옵니다....

파노

2019-05-22 00:41:44

엄청나네요. 검색을 해보니 뱅가드 S&P 500 ETF이네요. 뱅가드에 어카운트만 일단 열어놓았는데, 기억해 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밍키

2019-05-22 07:33:29

한가지 명심하실 것은....어떤 펀드 혹은 인덱스든지 과거의 수익률과 미래의 수익률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잘 모르시고 과거에 수익률이 좋았던 펀드를 선택하시는것 같아요.  

정혜원

2019-05-22 07:40:57

+1

파노

2019-05-22 08:00:56

앗 그렇군요. 갑자기 어려워지네요. 그럼 선택의 기준을 뭘로 삼는게 좋을까요?

urii

2019-05-22 08:06:34

그런 "많은 분"들이 충분히 많은 마켓이라면 과거 수익률도 의미있는 시그널이 될 수 있죠. https://press.princeton.edu/titles/6558.html

파노

2019-05-22 08:28:39

영어책만 펴면 잠이 왜 그리도 잠이 솔솔 오는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어떻게 과거의 데이타에서 예측가능한 전망을 찾아내는지 궁금해지는데 가격이 $65불. 주식 참 어려운것 같습니다.

urii

2019-05-22 09:40:21

아 책 자체는 저자들의 옛날 논문들 모아놓은 거라 요즘 트렌드와도 다르고 아주 테크니컬한 통계학이예요. 인트로 정도는 읽어두면 좋을 것 같아요.

그보다는 동 저자 Lo (AlphaSimplex 창업자/ MIT 교수)의 대중적인 신간(?)이 더 읽을 만합니다. https://www.amazon.com/Adaptive-Markets-Financial-Evolution-Thought/dp/0691135142 (전반부의 요지가 대충 일맥상통해요)

파노

2019-05-22 09:44:38

아 그렇군요. 이 책은 가격이 착하네요. 킨들용으로 사서 간만에 소설이 아닌 영어책 함 읽어볼까요? ^^

밍키

2019-05-22 10:19:33

물론 이런 패턴을 분석해낼수 있는 "고수" 분들은 이런거 활용하셔야죠...^^ 제 코멘트는 평민 투자자 분들을 위한 것이었구요.

혹시 유리님 이런쪽 일하시나요? 

urii

2019-05-23 13:49:09

퀀트 일 하냐고 물어보신거라면 아닙니다^^

딥러닝

2019-05-22 08:11:02

음 저는 snp500에서 거진다 뺏습니다.

장기적으로봤을때 20~30년 나쁘진않겠지만

단기적으로 돈을 잃을수있기때문에요

어리버리

2019-05-22 08:40:39

저랑 똑같으시네요. 근데 전 작년 이맘때 빼서 아직까지도 기다리고 있네요 ㅋㅋㅋ 제가 팔때보다 한 7프로 오른 상태에요.

딥러닝

2019-05-22 08:46:05

저는 올해초에 들어갔다가 4%정도 이득보고 지금은 전체금액의 20%만 snp500에 넣어두고 나머지는 다 머니마켓으로 가지고있습니다.

올해나 내년쯤 다시 들어갈텐데

시기를 잘잡아야겠죠 

파노

2019-05-22 08:46:30

몰빵하라는 의견이 많으실거라고 막연히 생각했는데, 다 빼시고 기다리시는 분들도 계시네요. 워낙 변수가 최근에 많고 출렁되어서 그런가봅니다. 고민해보겠습니다. 두분 모두 의견 감사드려요.

도코

2019-05-22 09:45:27

다 빼고 기다리시는 분은 소수라 생각됩니다.

 

출렁대도 S&P 올해 들어서 14% 넘게 오늘 상태입니다.

 

Market timing의 문제는 언제 뺄지는 물론, 언제 다시 들어갈지도 타이밍을 정하기 어렵습니다..

파노

2019-05-22 10:03:05

다른 401K질문글에서 자주 발견했던 S&P 500으로 몰빵의 조언이 제 글에는 없어서 살짝 의아해 하고 있습니다. ^^

예전에 한국에서 회사 다닐때, 우리사주가 있어서 주식을 한적이 있는데, 타이밍 맞추는건 정말 쉽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도코

2019-05-22 10:08:21

ㅎㅎ 모든 글에 모든 분들이 댓글 달지는 않으니까요;;

 

몰빵하기 힘드시면 본드 비율을 높게 들어가세요.. 어짜피 401k는 주기적으로 넣는 거라서 allocation을 잡아두셔야하겠죠? Cash position으로  갖고 있는 401k를 본 적이 없는데.. 혹시 있으면 신기할 것 같아요.

 

자사주식은 당연히 no no라 생각합니다.

 

혹시 401k에 available한 fund list & expense ratio보여주시면 더 봐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파노

2019-05-22 10:19:29

우와 감사합니다. 스크린 캡춰해서 첨부했습니다. 앞쪽에 회사 이름이 나오는지라 살짝 짤렸습니다.

Untitled.jpg

 

Untitled1.png

 

도코

2019-05-22 10:21:59

왼쪽 펀드 이름이 잘렸는데 죄송하지만 다시 스크린 캡 부탁드려요;;

 

(회사 펀드 나오는 맨 윗 줄은 빼고 스샷 하시면 되겠죠?)

파노

2019-05-22 10:28:30

죄송하다니요. 제가 죄송하네요. 옵션마다 다 회사 이름이 앞에 나와서 캡춰하다보니 잘렸는데요.

위에서 순서대로 xxx Shares Fund (자사주), US Stock Fund, LG CAP US STOCK INDEX, TOTAL US STOCK INDEX, SM & MID US STK INDEX, xxx INTL STOCK FUND, INTL STOCK INDEX입니다  중간에 20XX 선택이 있고, 맨아래는 xxx ASSET ALOC RET, xxx STABLE VALUE, xxx TOT RETURN BOND입니다. xxx는 회사이름이구요.

라이트닝

2019-05-22 10:31:43

 LG CAP US STOCK INDEX, TOTAL US STOCK INDEX, 

 

이 둘 중 하나로 하시면 될 것 같아요.

뭐가 더 낫냐는 취향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파노

2019-05-22 10:47:07

현재 말씀하신 2개에 50%정도 들어가 있는데, 2030과 자사주펀드에 있는 나머지 50%를 옮기기로 결정하면 이 두개중에 하나로... 감사합니다.

도코

2019-05-22 10:35:20

아, 금융회사에서 일하시나보네요.

 

TOTAL US STOCK INDEX = VTSAX/VTI와 비슷하고

LG CAP US STOCK INDEX = VINIX/VOO와 비슷한데,

ER이 0.02%라면 훌륭합니다.

 

저라면 이쪽으로 몰빵... 원하면 TOTAL BOND에 10-20%까지 allocation할 수도요....

파노

2019-05-22 10:52:04

금융회사 다녔으면 그동안 이렇게 401K에 대해서 무지했을리라 없을듯 합니다. T.T

이번 글 쓰면서 그동안 올라왔던 401K관련 글을 읽으면서 0.02%가 좋은줄 알게 되었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도코

2019-05-22 11:00:56

ㅋㅋ 그렇겠네요.

 

회사 이름을 일부러 추가해서 펀드이름을 만들다니... 약간 신기하긴 합니다. 좋은/큰 회사인가보네요.

파노

2019-05-22 11:35:36

다른글들을 계속 읽다보니 회사 이름을 추가한 펀드는 잘 보이지 않긴 하네요. 좋은건 모르겠고 나름 크긴 한것 같습니다.

시골사진관

2019-05-22 08:37:42

6월쯤 좀 안정 됐을때 들어오시는것도 나쁘진 않을것 같네요. 지금은 좀... 

저도 Fidelity 의 VTSAX 같은 FSKAX, FZROX를 좋아합니다만, 꼭 지금 당장 들어가실 거라면 SP500가 (FXAIX) 토탈 보다는 단기간 동안은 나을것 같다는게 제 개인적 생각입니다. 물론 결정은 본인이 하시는 거구요

파노

2019-05-22 08:56:23

의견 감사합니다. 어디로 튈지 모르니 미 대통령에 미중 무역전쟁을 포함해서 변수가 많다보니 전망이 어려운것 같네요.

babybird

2019-05-22 09:46:20

이론상으로 보면 자기 회사에 대한 업무 중 취득한 사적인 정보가 없다는 가정하에 자사주를 보유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개인의 노동 수익 (성과급), 정리해고 대상이 될 확률... 등이 이미 회사의 주가와 사실상 정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론상 그렇다는 것입니다. 

파노

2019-05-22 10:14:21

일리가 있네요. 말씀하신것 외에도 자사주다보니 제가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아도 회사 웹사이트 들어가면 바로 딱 보이고, 타운홀 미팅에서도 자꾸 질문이 나오고 해서 정신건강에도 안좋은것 같습니다.  매해 $1,500 정도 Diviend를 가져다 주긴했지만, 간만에 수익률이 좋을때 팔고 갈아탈까 봅니다.

cashback

2019-05-22 10:00:55

저를 포함해서 많은 분들이 snp500에 몰빵하시는 이유는

 

1. 구체적인 정보가 많지 않고 이경우 대세를 따라가면 적어도 중간은 가고요. 나중에 덜 억울하죠. 

 

2. 타겟펀드가 피가 높고 수익울이 좋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결국은 스탁 본드 비율을 조정하는 건데 차라리 타겟펀드 구성을 보시고 예로 80:20 이렇게 스탁인텍스와 본드 인덱스에 넣는게 맞다고 봅니다. 

 

3. 지금 장이 불안정해서 더 떨어질걸 예측해서 현금비율을 높이는 분들이 계신데요 (사실 저도 지켜보고 있습니다). 사실 이거는 신의 영역이고 엄청난 결단력과 책임감이 따릅니다. 지난 5년간 버블이라고 현금자산 비중을 높이신분들이 계신데 결과적으로 예측이 맞지 않았습니다. 좀더 기다리다가 오르면 옛날생각나서 더 들어가기 힘들어집니다. 이점도 고려하시고요.

 

4. 그리고 자사주는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는것과 비슷하다고합니다. 회사가 망하면 잡도 잃고 자사주도 잃고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적당히 내렸다 싶으면 10년을 생각하고 옮기시는게 어떨까합니다. 

도코

2019-05-22 10:09:41

좀더 기다리다가 오르면 옛날생각나서 더 들어가기 힘들어집니다.

 

아 놔 정곡을 이렇게 찔러주시다니! ㅋㅋㅋ

잔잔하게

2019-05-23 13:55:21

+500 제가 딱 이래요

파노

2019-05-22 10:22:49

자세하고 명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라이트닝

2019-05-22 10:33:42

401k는 특히나 새로 들어가는 돈들은 기다렸다 들어갈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자동으로 물타기가 되니까요.

이미 들어간 돈을 다른 펀드로 옮길 때는 타이밍 보실 필요가 좀 있겠는데, 이것은 잘 찍어야 되어서 이 역시도 적당히 나눠서 들어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나눠 넣었는데 더 올랐다면 싸게 들어간 것만 쳐다보시고요.
나눠 넣엇는데 더 내려갔다면 더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파노

2019-05-22 11:14:25

아래의 모밀국수님글 보고, 라이트닝님 이 글을 보고, 새로 들어가는 돈은 2030에서 Total US Stock Index로 들어가도록 막 변경했습니다. 역시 피가되고 살이 되는 마모입니다. 이미 들어간 나머지펀도를 말씀하신데로 나눠서 옮기는게 중간정도는 하는 방안이긴 하겠네요. 감사합니다.

모밀국수

2019-05-22 10:13:00

몰빵은 매달 넣는걸 s&p500으로 몰빵하라는거고 지금 있는걸 옮기는건 잘 생각해보셔야죠 

무지렁이

2019-05-22 10:31:54

+500

파노

2019-05-22 10:33:48

그런 의미였군요. 그런데 매달 새로 넣는것만 특정한 투자옵션에 넣는 방법이 있는지 찾아봐야겠네요.

모밀국수

2019-05-22 10:36:58

있을거예요 

파노

2019-05-22 11:01:09

다시 한번 저의 무지함을 발견했네요. 당연히 제가 선택한 투자옵션들에 나눠져서 들어가는줄 알았는데, 댓글 보고 Fidelity에 들어가서 다시 메뉴를 찾아보니 Future Investments라는 메뉴가, 매달 제가 내는 금액과 회사에서 매칭해주는 돈이 어느 투자옵션으로 가는지를 선택하는 메뉴였네요. 지금은 무조건 2030이었네요. 

그래서 여러번 2030에 25%정도 투자하게 조정했었는데, 시간이 흐르면 %가 늘어나 있었던거군요. 

RedAndBlue

2019-05-22 11:36:18

자사주는 ESPP 때문에 의미가 있는거지 포트폴리오 과중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요즘은 테크 애들도 전망 불투명해서 베스팅 동시 환매가 트렌드죠.임원들도 그렇게 하고요.

파노

2019-05-22 12:00:42

ESPP는 Empoylee Stock Purchase Plan 인가요? 오늘도 하나 배우네요  감사합니다.

RedAndBlue

2019-05-22 12:30:13

네 보통 자사주 시장가에서 15% 할인해 주거든요. 원래는 성장가도를 달리는 스타트업이 캐시가 없으니까 자주 쓰던 수법인데, 시장가치 수십조 하는 애들이 현금 아깝다고 저런걸 ㅋㅋㅋ

파노

2019-05-22 13:49:55

예전에 다른 미국 회사 다닐때는 401K와 상관없이 회사 주식을 할인된 가격에 사서 팔수 있는 베네핏이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회사는 그건 없고 회사 주식만을 사는 투자상품이 401K에 있는데 할인해서는 사는것 같지는 않네요.

RedAndBlue

2019-05-22 13:51:55

그러면 사실 큰 의미 없죠.

파노

2019-05-22 20:02:02

그쵸? 그나마 6개월안에 고점을 찍고 있어 이 기회에 갈아타는게 맞을듯 합니다.

목록

Page 1 / 3829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5930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59433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0153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194179
new 114868

리츠칼튼이 또 새로운 PP 카드를 보내줬어요.

| 질문-카드 1
어찌저찌 2024-05-30 392
new 114867

한국 호텔 결혼식 최적의 스펜딩 전략 문의

| 질문-카드 2
대학원아저씨 2024-05-30 165
updated 114866

동생 남편감 찾습니다 (공개구혼)

| 질문-기타 91
풍선껌사랑 2024-05-27 14460
updated 114865

빅아일랜드 KOA Hertz Ultimate Choice 생겼어요

| 정보-여행 5
무지개섬 2024-05-29 627
new 114864

Downtown Oakland, CA 근무 환경/치안에 대하여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 질문-기타 11
YUNE 2024-05-29 680
updated 114863

환승 공항에서 환승을 안하고 그 공항에서 출국해도되나요?

| 질문-항공 16
나무늘보집사 2024-05-28 2814
updated 114862

베스트 아이폰딜이 있을가요?

| 질문-기타 13
또골또골 2024-05-23 2197
updated 114861

신라 & 롯데 인터넷 면세점 해외신용카드 사용불가

| 정보-기타 17
동그라미 2020-01-03 5107
updated 114860

어린이 스마트워치 가입은 어떻게들 하세요?

| 질문-기타 20
보스turn 2024-05-28 1102
updated 114859

허먼밀러 에어론 구입후기.

| 자랑 53
  • file
nysky 2018-10-05 18048
new 114858

16oz 고구마 칩 큰백이 어디 코스트코에서 살수 있나요?

| 질문-기타 11
  • file
atidams 2024-05-29 1646
updated 114857

멕시코 치아파스의 마야족 어린이들 만나러 왔습니다

| 후기 7
  • file
낮은마음 2024-05-29 1315
updated 114856

Skypass Select Visa Signature (연회비 450불), 70k 사인업이 있었나요??

| 정보-카드 80
  • file
후이잉 2024-03-29 9169
updated 114855

US Mobile Flex plan 어떤가요?

| 질문-기타 8
  • file
CreditBooster 2024-05-29 475
updated 114854

뉴저지 한국 고기집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질문-기타 28
49er 2024-05-26 2148
updated 114853

Barclays AAdvantage® Aviator 카드 6만 + 1만: 친구 추천 링크 있으신 분들은 이 글에 점을 찍어주세요

| 정보-카드 45
마일모아 2024-05-19 3395
updated 114852

Hilton Aspire Card 리조트크레딧 DP 모음글

| 질문-카드 293
  • file
음악축제 2023-04-04 25204
updated 114851

Subaru Solterra 36개월 노다운 304불로 리스하고 왔어요.

| 후기 5
10년계획 2024-05-29 1376
updated 114850

11월말에 다녀온 알래스카 후기 - 북극편

| 여행기 59
  • file
Wanzizzang 2022-12-07 3393
updated 114849

괜찮은 글로벌 1년짜리 data 전용 e-sim업체 추천 레퍼럴글타레 (마모님 승인 완료)(내용추가)

| 정보-기타 139
AVIATOR 2023-07-17 12643
updated 114848

초보자를 위한 코너: 아무거나 물어보세요 + 아무나 답변해 주세요

| 잡담 3422
  • file
shilph 2020-09-02 76645
updated 114847

(오로라 사진 추가) 11월말에 다녀온 알래스카 후기 - 진짜 오로라, 온천, 빙하편

| 여행기 109
  • file
Wanzizzang 2022-12-07 5701
updated 114846

IHG 카드 취소후 status변경 언제될까요?

| 질문-카드 7
안나야여행가자 2024-04-02 678
updated 114845

신 IHG 카드 처닝 문의

| 질문-카드 31
Mogu 2022-08-19 4712
updated 114844

델타항공 일부 멤버에게 무료 실버 메달리온 업그레이드 제공

| 정보-항공 8
랍스터롤 2024-05-24 3194
updated 114843

테슬라 모델 y 같은차로 트레이드인 하신분 계실까요?

| 질문-기타 22
사장박 2024-05-25 3154
updated 114842

엉불 3장 가능할까요?

| 질문-카드 38
어쩌라궁 2024-05-28 2480
updated 114841

IHG 다이아 티어 받는 방법 문의

| 질문-호텔 27
하얀말 2024-03-07 2558
updated 114840

애플워치로 존2 훈련해보신분들께 심박수 구간 설정 질문드려요

| 질문-기타 12
자본가 2024-05-28 872
new 114839

체이스 샤프 다운그레이드 보통 프리덤 언니로하시나요 아님 플렉스?

| 질문-카드 2
FKJ 2024-05-29 537